• 제목/요약/키워드: Horizontal bearing capacity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33초

사질토 지반에 위치한 해상풍력발전기 석션기초의 복합하중에 대한 안전성 평가 (Safety Evaluation of the Combined Load for Offshore Wind Turbine Suction Foundation Installed on Sandy Soil)

  • 박정선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3권5호
    • /
    • pp.195-202
    • /
    • 2021
  • 해상풍력발전기는 바람 및 파도, 구조물 자중에 의해 수직-수평-모멘트의 복합하중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소해석으로 사질토 지반에 설치된 해상풍력발전기 석션기초의 복합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산정하였다. 또한 복합하중이 작용하는 중의 석션기초 주변 지반의 응력상태를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유한요소해석 결과를 토대로 수평 및 모멘트 지지력 산정식과 복합하중에 대한 안전성을 평가하는 지지력 포락선 식을 제안하였다.

An experimental and numerical analysis of concrete walls exposed to fire

  • Baghdadi, Mohamed;Dimia, Mohamed S.;Guenfoud, Mohamed;Bouchair, Abdelhamid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77권6호
    • /
    • pp.819-830
    • /
    • 2021
  •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concrete load bearing walls in a structure under horizontal loads after being exposed to real fire, two steps were followed. In the first step, an 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on the thermo-mechanical properties of concrete after heating to temperatures of 200-1000℃ with the purpose of determining the residual mechanical properties after cooling. The temperature was increased in line with natural fire curve in an electric furnace. The peak temperature was maintained for a period of 1.5 hour and then allowed to cool gradually in air at room temperature. All specimens were made from calcareous aggregate to be used for determining the residual properties: compressive strength, static and dynamic elasticity modulus by means of UPV test, including the mass loss. The concrete residual compressive strength and elastic modulus values were compared with those calculated from Eurocode and other analytical models from other studies, and were found to be satisfactory. In the second step, experimental analysis results were then implemented into structural numerical analysis to predict the post-fire load-bearing capacity response of the walls under vertical and horizontal loads. The parameters considered in this analysis were the effective height, the thickness of the wall, various support conditions and the residual strength of concrete. The results indicate that fire damage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lateral capacity and stiffness of reinforced walls for temperature fires up to 400℃.

교량용 탄성받침의 설계압축응력에 대한 고찰 (The Design Criteria of elastomeric Bearing for Highway Bridges)

  • 전규식;이병진;조해진;정명호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II)
    • /
    • pp.481-488
    • /
    • 1998
  • Elastomeric bearing is used as one of the most useful way for isolation structures, because the horizontal stiffness is much lower than the vertical stiffness. In the design criteria of Elastomeric bearing, the stability of the bearings is evaluated by shear strain due to compression, lateral displacement, and rotation. The question how soft rubber can sustain heavy structure is now able to be solved by Ultimate capacity test of Laminated Elastomeric Bearings, which results 1,200kg/$\textrm{cm}^2$ of the max. compressive stress and this shows what a sufficient safety factor Elastomeric bearing has !

  • PDF

PAR에 의한 강관 말뚝의 극한 수직 및 수평 지지력 예측 (Prediction on Ultimate Vertical and Horizontal Bearing Capacity of Steel Pipe Piles by Means of PAR)

  • 최용규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3권4호
    • /
    • pp.13-24
    • /
    • 1997
  • 말뚝 해석 프로그램인 PAR에 의하여 말뚝의 극한 수직 및 수평 지지력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현장에서 수행된 말뚝재하시험 결과들을 이용하여 PAR에 의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PAR에 의해 해석된 말뚝의 극한지지력은 정재하시험에서 구한 지지력에 대하여 약 15%이내의 오차범위에 들었다. 또한, 강관말뚝들에 수행된 정재하시헙, 정.동재하시험 그리고 PDA 결과들을 비교하였으며, PAR에 의해 극한지지력을 예측하였다. PAR을 이용하면 말뚝의 축방향 하중의 분포를 예측할 수 있었으며, 여기서, 하중전이해석도 근사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다.

  • PDF

LPLi 연료펌프 적용을 위한 저어널 베어링의 설계 적합성 해석 (A Design Fitness Analysis of Journal Bearings for LPLi Fuel Pump Application)

  • 이안성;김창업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25권5호
    • /
    • pp.324-329
    • /
    • 2009
  • In this study a complex design fitness analysis of journal bearings is carried out for the LPLi rotary-vane fuel pump application, as an external and horizontal installation, in LPG vehicles. Bearings considered in the analyses are plain and 3-axial groove journal bearings. Upon reflecting the fact that the primary failure mode of bearings in the application is a premature friction and wear failure of bearing metal due to a very low viscosity of liquid fuel LPG as a bearing lubricant, the performance factors of bearings used in an evaluation process of design fitness are a load carrying capacity and vibration suppression ability relative to a rated speed. At this time the design variables of bearings are a radial clearance and length. Results show that, in terms of both of the load carrying capacity and vibration suppression ability, the plain journal bearings are superior to the 3-axial groove journal bearings and among the plain bearings the smaller the bearing clearance (5>10>$15\;{\mu}m$) is and the longer the bearing length (6<8<10<12<14 mm) is, the better the bearing performance is.

경험식을 통한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에 대한 수평지반반력계수와 수평거동 영향범위의 평가 (Evaluation of Lateral Subgrade Reaction Coefficient Considering Empirical Equation and Horizontal Behavior Range of Large Diameter Drilled Shaft)

  • 양우열;황태현;김범주;박성백;이강일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1-11
    • /
    • 2020
  •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의 수평지지 특성은 말뚝의 강성, 인접지반의 수평지반반력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특히 말뚝설계 시 많이 활용되는 경험적인 수평지반반력계수는 그 결과의 값에 따라서 지지력의 차이가 크므로 수평지지력을 평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에 대한 지반반력계수의 평가가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말뚝의 취약부인 수평하중에 대한 영향범위와 최대 모멘트의 발생위치는 서로 상관관계가 있을 수 있고, 수평하중에 대한 말뚝의 보강영역을 판단하는데 주요 고려사항임에도 기존 연구에서는 이 관계에 대해 평가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의 수평지반반력계수를 평가하고, 말뚝의 영향범위(1/β)와 최대 모멘트의 발생위치(zm)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에 대한 현장시험과 비선형 해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의 수평지지력은 경험식을 통한 산정결과에 따라 최대 190%정도 차이를 보였다. 또한, 말뚝의 수평거동에 대한 영향범위와 최대 모멘트의 발생위치의 관계는 지반조건에 따라 선형적 관계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지반특성에 기초한 모형 연성방호책 지주의 정적 및 동적안정성 평가 (Static and Dynamic Stability Evaluation of Model Guardrail Posts Based on Geotechnical Properties)

  • 임유진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233-245
    • /
    • 2009
  • 연성방호책 지주(post)의 설계 지반물성치를 파악하고 이를 이용한 해석방법을 수립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공내재하시험(PMT)의 사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공내재하시험 결과를 이용하여 지주의 휨모멘트 및 하중-변위관계를 예측할 수 있는 해석방법의 수립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모형지반과 모형지주를 이용한 정재하시험을 실시하여 하중-변위의 발생패턴과 크기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공내재하시험 해석방법으로부터 구한 결과값과 비교하여 공내재하시험 해석방법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모형차(bogie)를 이용하여 모형 지주에 대한 충격시험을 실시하여 지주주변지반의 파괴형태를 파악하였으며 측정된 최대감가속도로부터 정적지지력 대비 동적지지력의 발생크기를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시험 및 해석결과로부터 공내재하시험이 방호책 지주와 도로지반 사이의 역학적 상호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한 합리적인 시험방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파일길이비와 파일설치각도에 따른 마이크로파일 수평지지특성 (Horizontal Bearing Characteristics of Micropiles with the Length Ratio and Installation Angle of Pile)

  • 오정배;황태현;허인구;신종호;권오엽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1권6호
    • /
    • pp.5-13
    • /
    • 2015
  • 언더피닝 공법으로 주로 활용된 마이크로파일은 신설 구조물지지와 사면안정 등 활용목적에 따라 현장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활용됨에도 불구하고, 마이크로파일의 수평지지특성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파일설치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마이크로파일의 수평지지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모형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결과, L/d ${\leq}20$의 경우에는 $\theta$ = $+30^{\circ}$, L/d ${\geq}60$인 경우 $\theta$ = $-30^{\circ}$인 마이크로파일의 수평지지력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질토 지반에서 말뚝 캡 크기가 무리말뚝의 동적거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ynamic Behavior on Changing Pile Cap Size of Pile Group in Sandy Soil)

  • 이현근;안광국;강홍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0권8호
    • /
    • pp.5-12
    • /
    • 2019
  • 상부구조물은 여러 개의 말뚝 기초를 말뚝 캡으로 연결한 무리말뚝이 사용되고 있다. 무리말뚝 설계 시 상부구조물의 연직 및 수평하중은 말뚝 기초가 지지할 뿐 말뚝 캡의 지지효과는 무시하였다. 그러나 최근 상부구조물의 연직하중에 대한 안정성 범위에서 말뚝 기초의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말뚝 캡의 지지효과를 반영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수평하중에 대한 말뚝 캡의 지지효과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평 지진 하중을 받는 무리말뚝에서 말뚝 캡의 변화가 무리말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무리말뚝의 말뚝 캡 크기를 변화시켜 진동대 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말뚝 캡의 크기가 상부구조물 및 무리말뚝의 동적 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말뚝 캡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지반 구속 효과로 인해 지반과 말뚝 기초가 일체 거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