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ongcheon

검색결과 258건 처리시간 0.035초

홍천 계방산지역 내 강수의 산성도와 이온 균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idity and Ion Balance of Wet Precipitation in Mt. Kyebang Area, Hongcheon)

  • 윤희정;이승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6호
    • /
    • pp.712-71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청정지역인 홍천 계방산지역내의 장거리이동에 따른 대기오염물질의 유입정도를 알아보고자 이 지역 내의 강수를 채취하여 산도(pH) 및 이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자료에 대한 이온수지와 전기전도도(EC) 검토에서 신뢰성이 확인되었고 홍천 계방산지역 내 강수산도(pH)는 산성우의 기준이 되는 pH5.6 이하의 범위인 pH5.0~5.5 범위에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대체적으로 강수량이 많을수록 이온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산성원인물질의 증감과 중화물질에 따라 강수산도(pH)의 증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강수중 이온성분의 조성비율을 살펴보면 음이온은 $SO_4^{2-}$$nss-SO_4^{2-}$, 양이온은 $NH_4^+$$nss-Ca^{2+}$가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특히 대기오염물질 배출원이 거의 없는 홍천 계방산지역에서 인위적 오염물질인 $SO_4^{2-}$와 토양의 유입원인물질인 $Ca^{2+}$의 농도가 높았던 결과를 통해 이곳의 강수 화학성이 장거리 이동성 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적정 용수 공급량 산정를 위한 추계학적 저수용량 모델 (Stochastic Reservoir Model for the Estimation of Optimal Water Supply)

  • 장인수;박정규;유일준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9-38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present methodology-for the estimation of optimal water supply from an impounding reservoir. The stochastic reservoir storage model presented in this paper is believed to be rational in that. the probability of reservoir depletion (return period) is to be calculated for the various monthly demands and storage capacities. The monthly flows are used to derive the reservoir storage capacity-monthly demand-probability curves at Dalcheon damsite and Hongcheon damsite in Han river basin.

  • PDF

Erwinia chrysanthemi에 의한 무 세균성 무름병 (Bacterial Soft Rot of Radishby Erwinia chrysanthemi)

  • 박덕환;서상태;이흥구;최국선;임춘근
    • 식물병과 농업
    • /
    • 제5권1호
    • /
    • pp.61-63
    • /
    • 1999
  • Bacterial soft rot was observed on radish grown in Hongcheon, Kanwon-Do, Korea. The soft rot symptoms began as small water-soaked lesions. The water-soaked lesions enlarged rapidly in roots and produced a foul odor. When roots were affected in the field, the shoots also became infected and watery, causing infected plants to wilt, disorganize, and die. The causal organism was isolated from the lesions, and the identified as Erwinia chrysanthemi based on the morphological,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E. chrysanthemi is first described bacterium which causes bacterial soft rot on radish in Korea.

  • PDF

강원도 홍천강 유역에 서식하는 수달의 서식지이용에 관한 연구 (Studies on river otter habitat use pattern on Hongchun river in Gangwon province)

  • 박보현;이상돈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413-418
    • /
    • 2012
  • 본 연구는 수달이 선호하는 서식환경 알아보기 위하여 수달의 배설물을 이용한 서식 환경 분석과 육안 분석 방법을 수행하였다. 강원도 홍천군 화촌면 일대의 홍천강 상류 수계인 내촌천과 군업천 두 하천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였다. 2009년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2010년 11월 총 8회의 조사기간 동안 총 478개의 수달의 서식흔적 (배설물, 분비물, 족흔 등)을 발견하였다. 수달의 서식흔적이 발견되는 지점의 하천환경은 대체로 하천의 깊이가 얕은 곳(0.5-1m)과 유속이 느린 곳(5m/sec)으로 나타났다. 또한, 바위와 기반암에서 많은 서식흔적을 발견하였지만, 제방과 같은 인공구조물에서는 거의 서식흔적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수달의 서식환경과 식이물 분석을 통한 수달의 생태학적 연구는 수달 개체군의 보전과 수달 서식지의 보호를 위한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오음산(강원, 홍천 및 횡성)의 관속식물상 (Flora of the vascular plants of Oeumsan Mountain (Hongcheon-gun and Hoengseong-gun, Gangwon-do))

  • 김경아;천경식;유기억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48-64
    • /
    • 2018
  • 강원도 홍천군 및 횡성군에 위치한 오음산(930 m)에 대한 관속식물 조사를 2016년 3월부터 2017년 9월까지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 분포가 확인된 관속식물은 98과 301속 436종 4아종 57변종 12품종으로 총 509분류군이었다. 특산식물은 9분류군이었으며, 멸종위기야생식물은 2급에 1분류군이었고, 희귀식물은 8분류군이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로는 V등급 1분류군, IV등급 4분류군, III등급 9분류군, II등급 19분류군, I등급 24분류군으로 총 57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귀화식물은 생태계교란야생식물 2분류군을 포함하여 총 35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도시화지수와 귀화율은 각각 6.9%와 10.9%로 산출되었다.

지역별, 연령별 산양삼의 광합성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otosynthetic Rates of Panax ginseng in the Different Age and Provinces)

  • 서세명;우수영;이동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3호
    • /
    • pp.357-361
    • /
    • 2007
  • 연구지는 6지역의 우수재배지역을 선정하여 기존에 재배활동을 하던 곳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홍천, 상주, 진안, 풍기, 함양 그리고 상주인근의 밭인삼 재배지역을 조사지역으로 선정하였다. 각 지역별로 $20m{\times}20m$의 방형구를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월평균 기온은 산지인삼이 생육을 시작하는 5, 6월에는 상주지역의 온도가 가장 높았다. 그러나 7월과 8월의 온도는 함양과 홍천지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홍천지역의 강수량은 생육과 관련 있는 6, 7월 무렵에도 다른 지역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풍기지역의 일사량은 5월과 6월이 다른 지역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모든 지역에서 광합성능력은 연령이 낮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다.

지역 및 고도별 산불로부터 온실가스 배출량 분석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Forest Fires Depending on Region and Altitude)

  • 박영주;이해평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82-188
    • /
    • 2012
  • In this study we analyzed carbon emissions of leaves of a Pinus densiflora which is vulnerable to a forest fire using the cone calorimeter in order to analyze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forest fires depending on region and altitude. Fuels were collected from 9 regions[Hongcheon(Gangwon-do), Chungsong(Gyeongbuk-do), Yanhpyeong (Gyeonggi-do), Jecheon(Chungchongbuk-do), Gongju(Chungcheongnam-do), Wuju(Jeollabuk-do), Youngam(Jeollanam-do), Busan and Jeju-do)] and 9 altitudes(80 m, 450 m, 900 m, 1000 m, 1100 m, 1200 m, 1300 m, 1400 m and 1500 m) and then, carbon dioxide and carbon monoxide emissions contained in a weight of 50 g of fuel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ere differences in carbon emissions by regional groups, as the average carbon dioxide and carbon monoxide emissions in 9 regions were nearly 43.5929 g to 52.8868 g, and 0.8842 g to 3.6422 g, respectively. Busan and Jecheon had relatively higher carbon dioxide emissions and especially, Busan had 1.23 times higher carbon dioxide emissions than Jeju-do. Also, Gongju, Chungcheongnamo Province and Busan had relatively higher carbon monoxide emissions and especially, Gongju and Pusan had relatively higher carbon monoxide emissions and especially, Gongju had 4.12 higher carbon monoxide emissions than Hongcheon. In addi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carbon emissions too depending on altitude, since carbon dioxide and carbon monoxide emissions in 9 altitudes were respectively, 40.7015 g to 68.9297 g and 1.3923 g to 12.2918 g. At the altitude of 80m, carbon dioxide and carbon monoxide emissions were respectively, 68.9297 g and 12.2918 g, and at the altitude of 450m, carbon dioxide and carbon monoxide emissions were respectively, 65.5115 g and 11.2497 g. These results show that pine trees at the lower altitude discharge relatively more carbon. It is considered that this analysis on carbon emissions depending on region and altitude can be effectively used for predicting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establishing statistical data from forest fires in each region and altitude.

강원도 홍천강 유역의 수달 서식지 이용 (Use of stream environment by river otters in Hongcheon river, Gangwon Province, Korea)

  • 이상돈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02-406
    • /
    • 2015
  • 본 연구는 강원도 홍천강 유역에 서식하는 수달이 선호하는 지역을 파악하기 위해 수달의 배설물을 이용하여 하천환경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수달의 배설물은 영역표시 및 서식지이용에 대한 근거로 활용되기 때문이며, 이를 통한 하천의 주요 서식지를 확인할 수 있다. 내촌천과 군업천의 수달은 2009-2011년 총 8회 기간에 478개의 서식흔적이 발견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조사되었으며 서식지 이용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분산지수를 활용하였다. 두 하천 모두 계절적 이용의 변화가 나타났으며, 분산지수 값 1은 배설물이 집중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하천 이용이 임의적이 아닌 것임을 나타내었다. 수달은 하천 주변의 5m 이내의 지역이며, 어류와 잔목이 풍부한 수변지역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달의 서식지 이용에 대한 정확한 환경조건을 파악하기 위한 모델의 개발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골재용 암석의 광물학적 및 역학적 특성과 콘크리트용으로서의 적합성 연구 (Mineralog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ome Rocks as Aggregates and Their Suitabulity for Concrete)

  • 진호일;민경원;연규석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83-193
    • /
    • 1998
  • 이 연구는 몇 가지 종류의 골재용 암석들에 대한 광물학적 및 화학적 특성을 구명하고, 이들과 물리적.역학적 특성간의 상호관계 및 콘크리트용 골재로서의적합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 암석들의 광물학적.화학적 및 물리적.역학적 특성 등을 고려할 때, BJ 채석장에서 채취한 화강암과 KB, HI, SK 채석장에 채취한 호상 편마암, 홍천강변에서 채취한 규암 등은 파동소광을 보이는 석영이 다량 함유되어 광물학적으로 알칼리-실리카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시멘트 콘크리트용 골재로 사용하는 것보다는 다른 용도의 골재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SY채석장에서 채취한 석회암의 경우에는 알칼리-탄산염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백운석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골재로 이용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KB채석장에서 채취한 안구상 편마암과 SA 채석장에서 채취한 섬록암은 흑운모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콘크리트의 강도를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용도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으나. HI 채석장에서 채취한 안구상 편마암과 홍천강변에서 채취한 편마암 등은 광물학적 및 역학적 특성 등을 고려할 때 어떠한 용도의 콘크리트용 골재로 사용하더라도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