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mogenizer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29초

MWNT/PMMA 나노복합재료 제작시 MWNT의 분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persion of Multi-walled Nanotube of MWNT/PMMA Nanocomposites)

  • 김현철;이상의;김천곤;이정주
    • 한국복합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합재료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9-32
    • /
    • 2003
  • Multi -walled carbon nanotube(MWNT)/poly(methyl methacrylate) composites were fabricate d through film casting. Manufacturing process was established using a ultrasonic cleaner and a homogenizer. Acetone was used as a solvent to melt PMMA and mix with MWNT. The ultrasonic cleaner performed an important role in producing MWNT/MMA nanocomposites. Ultrasonic energy was utilized to disperse MWNT in acetone. Also, melting PMMA in acetone and mixing MWNT and PMMA were achieved using the homogenizer. It was confirmed that the nanohlbes were well dispersed in PMMA according to SEM images.

  • PDF

비 유지방 분말크림 제조시 유화 안정성의 비교 (A Comparison of Emulsion Stability as Non-Dairy Coffee Whitener Preparation)

  • 이병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91-98
    • /
    • 199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emulsion stability according to the quantity of emulsifiers and the pressure of homogenizer in coffee whitener prepa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 1. To obtain a standard emulsifier, the ratio of mono and triglycerides(Atoms 150), sorbitan monostearate (Span 60) and polyoxylene(20) sorbitan monostearate(Tween 60) was 60 . 20 : 20 and the optimum quantity was about 0.9fS for stable emulsion. 2. Characteristics as coffee whitner were markedly improved when the pressure of homogenizer was 200∼250kg1cmz and homogenizing times are over 4. 3. The good whitening capacity was showed when fat glouble's average diameter was under 0.5 Um.

  • PDF

Synthesis of $La_{1-x}Sr_xCoO_3$ (x≤0.2) at Low Temperature from PVA-polymeric Gel Precursors

  • 권호진;박동곤;국승태;박휴범;김건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8권12호
    • /
    • pp.1249-1256
    • /
    • 1997
  • Single phase La1-xSrxCoO3 (x≤0.2) was synthesized as a uniform sized 100 nm particulates with relatively high surface area of 20-30 m2/g, at low temperature (≥600 ℃), from a polymeric gel precursors prepared by using poly(vinyl alcohol) as homogenizer. No minor phase developed during the crystallization when polymer/metal mole ratio was higher than 3. As the polymer/metal mole ratio was raised in the gel, the amount of carbonaceous residues in the amorphous solid precursor prepared by heating the gel at 300 ℃ increased. Most of the residues were eliminated by exothermic thermal decomposition around 400 ℃. The amount of residual carbon (less than 1%) left in the crystalline La1-xSrxCoO3 decreased as more polymer was used, eliminating detrimental effect which might be posed by using large amount of organic homogenizer. The crystal structure of La1-xSrxCoO3 synthesized at temperature lower than 800 ℃ was observed to be shifted from rhombohedral to more symmetric cubic. The structure shifted back to rhombohedral as the cubic sample was annealed at 1000 ℃.

초음파 무화 및 사이클론을 이용한 분산된 나노입자의 여과법 (Filtration of dispersed nanoparticles using cyclone and ultrasonic atomization)

  • 정지희;김무준;김정순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9-15
    • /
    • 2022
  • 기존의 나노입자 현탁액의 분산과정의 한계를 극복하여 단분산된 나노입자만으로 이루어진 현탁액을 얻기 위하여, 기존의 방법으로 전분산 처리된 현탁액을 다시 초음파 무화효과 및 사이클론을 이용하여 여과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평균직경 250 nm인 Al2O3나노입자로 0.5 wt%인 현탁액을 만들어 초음파세척기 및 호모지나이저를 이용하여 각각 전처리 분산된 현탁액에 대하여 제안한 여과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초음파세척기로 전처리 분산한 경우 단분산된 나노입자 현탁액으로 여과하기 위해서는 종속 연결된 사이클론이 3개가 요구되는 반면, 호모저나이저로 전처리 분산된 현탁액의 경우는 2개의 사이클론으로도 가능함을 확인 하였다. 초음파 무화기 주파수의 조정과 사이클론의 설계 변경에 의해 다양한 종류의 나노입자에 대한 여과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전극 혼합 방식의 차이로 인한 특성 변화 최적화 (Optimization of Characteristic Change due to Differences in the Electrode Mixing Method)

  • 김정태;카르로스 타파라 음푸푸니;이범희;유선율
    • 전기화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10
    • /
    • 2023
  • 리튬 이차전지의 4 대 구성요소에 포함되는 양극은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를 담당하는 중요한 구성요소에 속하며, 보편적으로 제작되는 양극의 습식 제작 공정에는 활물질, 도전재, 고분자 바인더의 혼합 과정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하지만, 양극의 혼합 조건의 경우 체계적인 방법이 갖추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제조사에 따라 성능의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따라서, 양극의 슬러리 제작 단계에서 정돈되지 않은 혼합 방법의 최적화를 진행을 위해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THINKY mixer와 homogenizer를 이용한 LiMn2O4 (LMO) 양극을 제조해 각각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각 혼합 조건은 2000 RPM, 7 min으로 동일하게 진행하였으며, 양극의 제조 동안 혼합 방법의 차이만을 판단하기 위해 다른 변수 조건들은 차단한 후, 실험을 진행하였다(혼합 시간, 재료 투입 순서 등). 제작된 THINKY mixer LMO (TLMO), homogenizer LMO (HLMO) 중 HLMO는 TLMO보다 더 고른 입자 분산 특성을 가지며, 그로 인한 더 높은 접착 강도를 나타낸다. 또한, 전기화학적 평가 결과, HLMO는 TLMO와 비교하여 개선된 성능과 안정적인 수명 주기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수명특성평가에서 초기 방전 용량 유지율은 HLMO가 69 사이클에서 TLMO와 비교하여 약 4.4 배 높은 88%의 유지율을 보였으며, 속도성능평가의 경우 10, 15, 20 C의 높은 전류밀도에서 HLMO가 더 우수한 용량 유지율과 1C에서의 용량 회복률 역시 우수한 특성을 나타냈다. 이는 활물질과 도전재 및 고분자 바인더가 포함된 슬러리 특성이 homogenizer를 사용할 때, 정전기적 특성이 강한 도전재가 뭉치지 않고 균일하게 분산되어 형성된 전기 전도성 네트워크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으로 간주된다. 이로 인해 활물질과 도전재의 표면 접촉이 증가하고, 전자를 보다 원활하게 전달하여 충전 및 방전 과정에서 나타나는 격자의 부피변화, 활물질과 도전재 사이의 접촉저항의 증가 등을 억제하는 것에 기인한다.

균질기와 초음파 동시 분산을 통한 나노콤포지트의 구조적, 열적, 기계적특성 (Structural,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Nano Composites according to Homogenizer and Power Ultrasonic)

  • 염규호;박광식;최성조;전상훈;곽영훈;박재준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2-82
    • /
    • 2010
  • 에폭시메트릭스 내에서 초음파 및 균질기를 이용하여 층상실리케이트 마이크로 입자의 균질분산을 위하여 사용하였다. 초음파와 균질기를 동시에 사용하여 최적의 적용시간과 충진나노입자 충진함량과의 관계를 연구하기위하여 구조적 특성으로 X-RD, 열적특성으로 DSC, 열적 기계적 특성으로 DMA를 사용하여 특성을 평가하였다. 충진함량 변화에 대해서 층상실리케이트의 층간사이 간격의 변화는 반비례하는 특성을 나타내었고, 충진함량이 증가됨에따라 자체만으로는 크게 응집된 입자의 분산이 미약한 결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Homogenizer와 동시에 분산할 때는 충진함량이 크게 증가하여도 균질한 분산이 이루어졌다.

  • PDF

유화제 종류에 의한 Water/Oil 에멀젼 연료의 유화 안정성 (Emulsion Stability of Water/Oil Emulsified Fuel by associated with Emulsifiers)

  • 김문찬;이창숙;박해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95-403
    • /
    • 2008
  •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emulsified fuel were studied. The emulsified fuel which was composed of water and diesel was manufactured by using homogenizer and ultrasonic generator. The more the percentage of water contents increases, the more the density increases to the emulsified fuel. However, the viscosity increased in the 60% of water contents and decreased in the 70% of water contents because the O/W type was formed. The 3 minutes's ultrasonic waves during the irradiation time was appropriate of 16,000 rpm. And the energy density of ultrasonic waves was 87.5J/g. The emulsion stability has improved in the lower temperature, the lower percentage of water contents, and the most stable emulsion state was obtained from 20%(w/w) of water contents. Also, the emulsion stability was related to the HLB values of emulsifiers. Especially, the HLB values of emulsifier were appropriate from 4 to 7 values.

물리적 변성 쌀전분과 호화 쌀전분의 생리적 효과 비교연구: 성장 능력과 장기의 생리적 기능 (Comparative Growth Performance and Physiological Function of Physically Modified Rice Starch and Gelatinized Rice Starch in Growing Rats)

  • 장문정;김명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592-600
    • /
    • 2003
  • Male rats were fed a purified diet containing one of 3 experimental diets, gelatinized rice starch that was not modified physically (RC), gelatinized physically modified rice starch using ultrasonic homogenizer(RU), gelatinized physically modified rice starch using hydroshear homogenizer(RH) during 28 days. RC was used as the rice starch control. Feeding a physically modified rice starch (RU) caused an increase in liver weight and RH increased RNA and protein contents in kidney significantly although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food intakes compared to feeding a RC diet. The wet weight of liver, kidney and heart were higher in RU. The wet weights of fecal output of the rats fed RH was greater than in rice control group. The gut transit time was longer in the rats fed RH than in the rice control group significantly. Serum GOT, GPT, total bilirubin concentration were tended to be lower and blood urea nitrogen was significantly lower in RH group. The maturation index of kidney was higher in RU than in RC. These results suggest that physically modified rice starch improved growth performance and physiological functions in organs of growing ra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