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mogenate

검색결과 353건 처리시간 0.03초

해산물에서 분리된 식중독세균의 손상 및 회복 -생선 homogenate에서 Staphylococcus aureus와 Listeria monocytogenes의 저온저장중 세균수 변화 - (Injury and Recovery of Pathogenic Bacteria Isolated from Seafoods - Changes in the Viability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Listeria monocytogenes in Some Fish Homogenates during Cold Storage -)

  • 박찬성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61-266
    • /
    • 1995
  • 3 종류의 생선(광어, 새우, 굴) homogenate와 tryptic soy broth(TSB)에 Staphylococcus aureus와 Listeria monocytogenes를 접종하여 35$^{\circ}C$에서의 증식과 냉장(5$^{\circ}C$) 및 동결저장(-2$0^{\circ}C$) 하였을 때 각 세균의 거동을 조사하였다. S. aureus는 생선 homogenate와 액체배지 모두 35$^{\circ}C$에서 큰 차이없이 빠르게 증식하였다. 5$^{\circ}C$에 3주간 저장하였을 때 S. aureus는 1-1.6 log cycle 감소하였으나 -2$0^{\circ}C$에서는 6주간의 저장기간 동안 0.3-1.2 log cycle의 세균수 감소를 나타내었다. L. monocytogenes는 35$^{\circ}C$에서 광어 homogenate, 새우 homogenate와 TSB에서 증식이 빨랐으나 굴 homogenate에서는 유도기를 거친 후에 증식이 진행되었다. 5$^{\circ}C$에서 L. monocytogenes는 광어 homogenate, 새우 homogenate와 TSB에서 3주간 증식이 진행되어 세균수가 3.8-5 log cycle 증가하였으나 굴 homogenate에서는 2.2 log cycle의 증가에 불과하였다. -2$0^{\circ}C$에 6주간 저장하였을 때 L. monocytogenes의 세균수는 광어 homogenate, 새우 homogenate 및 TSB에서 1.5-1.8 log cycle 감소하였으나 굴 homogenate에서는 2.8 log cycle 감소하였다

  • PDF

복어(Takifugu obscurus) 균질액에 의한 MCF-7 인간 유방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 (Suppression of MCF-7 Human Breast Cancer Cell Proliferation by Globefish Takifugu obscurus Homogenate)

  • 김정훈;김정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878-885
    • /
    • 2020
  • Previously, we reported that globefish Takifugu obscurus homogenate suppresses the growth of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 To extend the applications of globefish homogenate, we investigated its cytotoxic effects on human breast cancer cells. To assess the effects of globefish homogenate on growth of MCF (Michigan Cancer Foundation)-7 human breast cancer cells, cell proliferation and colony formation assays were performed using the cell counting and Crystal Violet staining methods. The 50% inhibitory concentration (IC50) of globefish homogenate on MCF-7 cell proliferation was calculated from the sigmoidal dose-response curve. The colony formation assay demonstrated that MCF-7 cells treated with globefish homogenate formed up to 80% fewer colonies than control MCF-7 cells. Treatment with globefish homogenate markedly suppressed the growth of MCF-7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sensitivity of the cells to globefish homogenate was determined by calculating the IC50; in this case, the IC50 was 210 ㎍/mL. Furthermore, significant downregulation of Cyclin D1 expression, along with phospho-Akt and total Akt levels, was observed in MCF-7 cells treated with globefish homogenate.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reatment with globefish homogenate inhibits the proliferation of MCF-7 human breast cancer cells by downregulating the expression of phosphor-Akt, total Akt, and Cyclin D1 proteins.

Tryptic Soy Broth와 생선 Homogenate에 첨가한 Ethanol이 Vibrio parahaemolyticus의 증식과 생존에 미치는 영향 (Inhibition of Vibrio parahaemolyticus by Ethanol in Tryptic Soy Broth and Some Fish Homogenates)

  • 박찬성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12
    • /
    • 1996
  • Tryptic soy broth(TSB)와 광어, 굴 homogenate에 ethanol을 함유하지 않은 경우와 5%의 ethanol(v/v)을 함유한 경우에 ethanol이 V. parahaemolyticus의 증식과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이 세균의 최적온도(35$^{\circ}C$)와 저온(-20, 5$^{\circ}C$) 및 고온(45, 5$0^{\circ}C$)에서 검토하였다. 35$^{\circ}C$에서의 V parahaemolyticus의 증식은 TSB와 광어 homogenate에서 빨랐으나 굴 homogenate에서 약간 느렸다. 5%의 ethanol 존재하에서는 TSB와 광어 homogenate에서 긴 유도기를 거친 후에 증식이 시작되었으나 굴 homogenate에서는 저장초기부터 계속 생균수가 감소하였다. 5%의 ethanol을 함유한 것과 ethanol을 함유하지 않은 액체배지에 $10^{6}$-$10^{7}$ cells/ml의 V. parahaemolyticus를 접종하여 저온(5, -2$0^{\circ}C$)과 고온(45, 5$0^{\circ}C$)에 저장하면서 ethanol에 의한 생존억제 작용을 조사하였다. 5$^{\circ}C$에서 ethanol을 함유한 것과 ethanol을 함유하지 않은 액체배지에서 시료간의 생균수는 현저한 차이가 없었으나 -2$0^{\circ}C$에서는 5%의 ethanol 존재하에서 광어와 굴 homogenate에서 V. parahaemolyticus의 생존이 TSB에 비하여 현저히 억제되었다. 45$^{\circ}C$와 5$0^{\circ}C$에서 D-value는 ethanol을 함유하지 않은 경우와 5%의 ethanol을 함유한 경우 모두에서 굴 homogenate가 TSB와 광어 homogenate에 비하여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45$^{\circ}C$와 5$0^{\circ}C$에서 ethanol을 함유하지 않은 각 액체배지에서의 D-value는 5%의 ethanol을 함유한 각각의 액체배지에서의 D-value보다 1.9-3.5배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

복어 균질액의 Caco-2 인간 결장직장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에 대한 연구 (Inhibitory Effect of Globefish Homogenate on the Growth of Caco-2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

  • 김정훈;정구준;김정호
    • KSBB Journal
    • /
    • 제32권3호
    • /
    • pp.212-217
    • /
    • 2017
  • Colorectal cancer is a leading cause of cancer mortality worldwide. Many studies show that most cases of human colorectal cancer arise from adenomatous polyps, which are usually dysplastic, nonmalignant precursor lesions; however, accumulation of multiple somatic mutations leads some to develop into advanced adenoma, which ultimately progresses to an invasive colorectal cancer. Notwithstanding the efforts made to improve chemotherapy, most colorectal cancers are unresponsive to this form of treatment, and malignant colorectal cancers remain incurable. To reduce the incidence of colorectal cancer mortality, further studies to improve colorectal cancer treatment are needed. Here, we show that Globefish homogenate suppresses the growth of Caco-2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 and that the homogenate inhibits Caco-2 cell prolifer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se data suggest that Globefish homogenate may suppress colorectal cancer development.

Hydrolysis of Esters and Amides of 20R- and 20S-Dihydroprednisolonic Acid in Rat Serum and Liver Homogenate

  • Yeon, Kue-Jeng;Byun, Si-Myung;Lee, Henry J.;Lee, Sean-Hyang;Kim, Hyun-Py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2권2호
    • /
    • pp.68-72
    • /
    • 1989
  • The hydrolysis rates of ester and amide derivatives of 20-dihydroprednisolonic acid were measured in rat serum and liver homogenate. The hydrolysis rate of the esters in serum was found to be faster than that in liver homogenate on the basis of blood volume and liver weight, while the amide derivatives showed much slower change. And it is also found that the size of substituents at C-21 and C-20 configuration expressed considerable effects on the hydrolysis rate of these derivatives.

  • PDF

미치광이풀 모상근 배양에서 Tropane Alkaloids 생산성 증진을 위한 최적 생물학적 엘리시터 선발 (Selection of Optimal Biotic Elicitor on Tropane Alkaloid Production of Hairy Roots in Scopolia parviflora Nakai)

  • 정희영;강승미;강영민;김용덕;양재경;정영관;최명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358-363
    • /
    • 2003
  • 미치광이풀의 모상근 뱌양에 의해 의학적으로 중요한 물질인 scopolamine과 hyoscyamine 생산을 증진시키기 위해 3종의 곰팡이와 1종의 효모 유래의 생물학적 elicitor를 supernatant와 homogenate의 형태로 처리하였다. Elicitor 중 Candida albicans는 supernatant와 homogenate 모두 scopolamine 생산성을 증가시켰다. Fusarium solani의 homogenate와 C. albicans의 supernatant 처리로 hyoscyamine 함량이 증가되었다. 그러나 나머지 fungus strain도 대조구에 비해 tropane alkaloids의 생산을 다소 증가시켰다. 본 연구에서는 C. albicans가 tropane alkaloids 생산에 적합한 elicitor임으로 구명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미치광이풀 모상근 대량배양에 의한 tropane alklaoids 대량생산에 기여할 것이다.

간효소에 의해 대사된 양격산화탕의 저산소/재관류로부터 PC12 세포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 of Yangguksanwha-tang Metabolized by Liver Homogenate on Hypoxia-reperfusion Induced PC12 Cell Damage)

  • 소윤조
    • 약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97-102
    • /
    • 2005
  • The protective effect of Yangguksanwha-tang (YST) against hypoxia-reperfusion insult was investigated in PC12 cells. To elucidate the mechanism of the protective effect of YST, cell viability, the changes in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glutathione peroxidase, catalase, caspase 3 and the production of malondialdehyde were observed after treating PC12 cells with YST which was metabolized by rat liver homogenate. Pretreatment of YST with liver homogenate appeared to increase its protective effect against hypoxia-reperfusion insult. The result showed that YST had the highest protective effect against hypoxia/reperfusion at the dose of $2\;{\mu}g/ml$ in PC12 cells, probably by recovering the redox enzyme activities and MDA to control level.

백서 뇌 피질 Homogenate 내 ATPase 활성도에 미치는 수종 최면제 및 안정제의 영향 (Effects of Various Hypnotic and Tranquilizer on the Homogenate ATPase Activity of the Rat Brain Cortex)

  • 이양희;한동대;정연구;황동수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6권1호
    • /
    • pp.27-31
    • /
    • 1972
  • The activity of Mg and Na-K activated ATPase of homogenate from rat brain cortex was measured in vitro under the variety of conditions. The effects of various hypnotic and tranquilizer such as phenobarbital, amobarbital, diazepam, promazine and chlorpromazine on the activities of both ATPase was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was summarized as follows. 1. Na-K ATPase was slightly inhibited by phenobarbital and amobarbital while Mg ATPase was moderately activated by these drugs. 2. Both Mg and Na-K ATPase activities were markedly inhibited by diazepam. 3. Promazine and chlorpromazine markedly inhibited both Mg and Na-K ATPase activitie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remarkable correlation between hypnotic or tranquilizing potency and ATPase inhibition could be observed.

  • PDF

간독성과 병리학적인 면에서 노두 사포닌의 효과 (Effects of Rhynchosia molubilis Saponin on Hepatotoxicity and Pathology)

  • 하배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86-191
    • /
    • 2006
  • 이 연구는 $CCl_4$로 유도된 간독성에 노두 사포닌의 간 보호 효과를 연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SD-Rat를 2주 동안 노두 사포닌 100 mg/kg이 되도록 복강 내에 투여하였다. 14 일째, $CCl_4$를 투여하고 12시간 후에 에테르 마취 후 간과 혈청을 분리했다. AST, ALT는 대조군에 비해서 노두 사포닌군이 65.56%와 59.04%로 억제되었다. MDA 수치는 대조군과 비교해서 노두 사포닌군의 간 homogenate에서 53.74% 억제되엇고 미토콘드리아에서는 89.86% 억제 되었다. SOD의 활성은 대조군과 비교해서 노두 사포닌군의 간 homogenate에서 42.51 % 억제되었고, 미토콘드리아에서는 38.42% 억제되었다. GPx의 활성은 대조군과 비교해서 노두 사포닌 군의 간 homogenate에서 72.74% 억제되었고, 미토콘드리아에서는 72.68% 억제되었다. $CCl_4$으로 나타난 간세포의 괴사와 울혈이 노두 사포닌군 에서는 조직실험결과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데이터는 $CCl_4$로 유도된 간독성을 노두 사포닌이 보호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이는 간독성에 대한 보호효과를 가진 약물 소재 개발에 이용될 수 있다.

수생산물의 생산과 관리에 관한 기초연구 : ELISA법을 이용한 Edwardssiella tarda의 직접 검출 (Study on the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aquatic animals : direct detection of Edwardsiella tarda using an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 정순윤;손상규;정준기;허민도;정현도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75-86
    • /
    • 1997
  • 어류의 감염 조직으로부터 edwardsiellosis의 원인균인 Edwardsiella tarda를 whole cell 자체로 직접 검출할 수 있는 solid phase ELISA법을 연구하였다. A. hydrophila ATCC7966, V. anguillarum HUFP5001, Y. ruckeri 11-4, E. ictaluri 및 Streptococcus sp. NG8206 등의 어병세균에 대해 ELISA법으로 실시한 교차반응 분석에서 A. hydrophila ATCC7966 균주와 V. anguillarum HUFP5001 균주가 E. tarda Edk-2에 대한 토끼 항혈청에 대해 높은 교차반응을 나타내었으나, 항혈청을 A. hydrophila ATCC7966 FKC로 흡착시킴으로써 교차반응을 제거할 수가 있었다. 그러나, 응집항체가 측정 결과와는 달리, ELISA 분석에서는 E. tarda 분리 균주간의 교차반응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issue homogenate내에 있는 항원을 검출함에 있어, 조직내의 지질이나 단백질 성분이 함께 분석용 plate에 coating되어 감도가 훨씬 감소하므로 ELISA법의 적용을 위해서는 감염 조직의 homogenate를 PBS에 100배 이상 희석한 후 진단을 실시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issue homogenate내에 있는 생균을 항원으로 하여 직접 검출할 때에는 검출한계가 $1{\times}10^3$ cells/ml로 나타나 FKC 항원의 사용에 비하여 더 증가된 감도를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본 ELISA법은 양식장에서 발생한 edwardsiellosis를 진단함에 있어서 특이적이고 신속하며 민감한 방법으로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