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me screen UI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초

스마트폰의 홈 화면구조에 따른 효율적 UI 방안 모색 (An Examination of an Efficient UI of Smartphone Home Screen Structure)

  • 최진해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37-446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draw an efficient UI design by comparing the usability of App drawer and single-layered home screens, which are smartphone home screens. Background: Because smartphone home screen is frequently used including the installation, deletion, and editing of APPs, it should be designed with easily controllable information structure. There is a need to seek a user-friendly UI by comparing the usability of App drawer and single-layered home screens, of which methods to search Apps are different. There is also a need to examine an efficient UI and the factors to improve from the user perspective. Method: This study targeted 30 Android OS and iOS users to evaluate the App drawer and single-layered home screens, of which UI structures are different. Each participant was instructed to carry out an App searching task and App deleting task, and the execution time and the number of errors were measured. After the tasks were completed, they evaluated satisfaction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Results: In the App searching task with low task level, there was no difference in execution level between the App drawer and single-layered home screens. However, the single-layered home screen showed higher efficiency and accuracy in the App deleting task with high task level. As for the group difference according to use experience, there was no difference in satisfaction among Android OS users, but iOS user satisfaction with single-layered home screen with which they were familiar was higher. Conclusion: As for home screen usability, the single-layered home screen UI structure can be advantageous, as task level is higher. Repulsion was higher, when users, who had used easier UI, used complex UI in comparison with user satisfaction, when users familiar with complex UI used easier UI. A UI indicating the current status with clear label marking through a task flow chart-based analysis, and a UI in which a user can immediately recognize by exposing hidden functions to the first depth were revealed as things to improve. Appl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reference data in designing smartphone home screens. Especially, when iOS users use Android OS, the results are presumed to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predicted barriers.

스마트폰의 UI/UX 향상을 위한 상황인식 프레임워크 개발 및 응용 (Context-aware Framework and Applications for Improving UI and UX of Smartphones)

  • 신춘성;박병하;정광모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97-207
    • /
    • 2014
  • With the recent advance in smartphones, users are allowed to use mobile applications anytime anywhere, and change their way to interact with smart environment and people. As a result, the need for developing context-aware applications on smartphones has a great attention from users and developers. This paper proposes a context-aware framework for supporting UI/UX of smartphones. The proposed framework collects a wide range of sensory data from smartphones and allows developers to analyze and model context models for their desired apps. In addition, it also supports real-time inference within the apps to make them to adapt to context. In order to show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framework, we introduce two smartphone apps: context-aware home screen and automatic detection of smartphone problem use. Therefore, we expect that the proposed framework will help developers easily implement their apps with respect to context-awareness.

정보 가전 제품의 UI 설계 프로세스 고찰 (A Study on the UI Design Process of Informative Home Appliances)

  • 박정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59-67
    • /
    • 2001
  • 컴퓨터를 비롯한 통신의 영역과 가전제품의 영역이 교차되면서 새로운 차원의 정보가전제품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들 제품들에게 있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특히 영상기기류에 장착되는 OSD와 리모컨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핵심적인 요소로서 본체의 매력적인 스타일링 못지않게 심도깊은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OSD 디자인에 대한 담당자나 영역이 불명확하여 회로기술자들이 단순기능의 이전모델부터 해온 경험과 단순한 직관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시각이 아닌 엔지니어의 시각에서 설계하여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업에서의 개발사례를 바탕으로 인터페이스 디자이너에 의한 사용자 중심의 OSD 개발 프로세스를 규명하고 OSD의 특수성 즉 OSD가 제한된 용량의 마이컴과 메모리에 저장되어 제품에 내장되고 디스플레이되는 매체도 해상도에 제약이 있는 TV화면으로 하드웨어적인 사양에 많은 영향을 받으며, 입력장치가 리모컨으로 제한된 수의 입력버튼을 가지고 모든 조작이 가능해야 한다는 점 등 을 고려한 실행단계별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 PDF

실버세대의 스마트폰 사용 지원을 위한 원격제어 UI 어플리케이션 설계 (Design of Remote Control UI Application for Support of Silver Generation's Smartphone Uses)

  • 유재형;윤종원;한창희;권명준;오창헌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09-711
    • /
    • 2018
  • 최근 실버세대의 스마트폰 보급이 증가하고 있으나, 낮은 학습 및 경험 수준, 이해도로 인해 스마트폰 사용 시 어려움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실버세대의 스마트폰 사용 지원을 위한 원격제어 UI 어플리케이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홈 화면에 피쳐 폰의 주요 기능들을 $3{\times}2$ 배열형태로 아이콘을 배열하여 빠른 인지가 가능하도록 하고 Node.js 서버와 Socket 통신을 통한 원격제어를 제공하여 부수적인 기능사용에 어려움을 겪을 시, 원격 제어를 통한 사용 지원이 가능하여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실버세대의 사용성과 이해도를 증대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스마트 폰의 사용자 경험과 플로우 -갤럭시 S8을 중심으로 (User Experience and Flow on Smart-Phone -Focused on Galaxy S8)

  • 이영주;강재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99-204
    • /
    • 2018
  • 기존의 물리적인 홈 버튼이 사라진 스마트 폰이 속속 출시되고 있으며 그로 인해 사용자의 플로우도 변하고 있다. 플로우는 다분히 주관적이며 개인의 성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관성 연구의 방법인 Q방법론으로 스마트 폰 사용자의 플로우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화면의 시작하기 위한 전원을 켜는 방법에 대한 숙련도 부분은 플로우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그 외 새로운 것에 대한 호기심의 발로인 유희성, 그로 인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경험을 얻어가는 도전성 마지막으로 물리적인 버튼 대신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버튼의 사용으로 인한 탐색의 연속성에 있어서는 매우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하드웨어적인 스마트 폰의 변화는 플로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