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me Economics curriculum perspective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1초

중학교 가정과 교수와 기술화 교사 및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교육과정 관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spectives on Curriculum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and Technology Teachers by Socio-demographic Variables)

  • 박명주;유태명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9권11호
    • /
    • pp.161-174
    • /
    • 2001
  • In the 7th curriculum revision, Home Economics and Technology are combined into one subject, Practical Arts(Technology Home Economic), from 5th to 10th grad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wamine what perspectives home economics teachers and technology teachers have on curriculum.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to the 297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and technology teachers across the nation,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their perspectives on curriculum by independent variabl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Both groups of home economics teachers and technology teachers supported interpretive, emancipators, and technical perspective on curriculum in the order named. 2) Teachers who have teaching experience of 21 years or more showed higher orientation toward technical perspective than those who have teaching experience of 10 years or less in assumptions on society, educational goal, Knowledge, and teaching-loaming method. 3) Public school teachers showed stronger orientation toward technical perspective in assumptions on teaching-learning method, and toward emancipatory perspective in assumptions on society. 4) Teachers who majored in or took charge of Technology generally had strong orientation toward technical perspective, whereas those who majored in or took charge of Home Economics oriented more toward interpretive or emancipatory than technical perspective.

  • PDF

A Critical Review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Research Based on a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 Yoo, Taemyung;Lee, Soo 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15권1호
    • /
    • pp.23-37
    • /
    • 2014
  • This study critically appraised the accumulated articles based on the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on Korea's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55 articles published from 1993 to 2011 were identified and placed into three categories: Critical science paradigm, practical problem-focused curriculum, and systems of action. The common result across categories was that some authors did not fully understand the concepts of practice, a practical problem-focused curriculum, the practical reasoning process, and the systems of action. A positive outcome of including a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in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will be seen when systems supporting this perspective, such as those providing more specific information on a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and the relevant textbook accreditation standards, are available. We present a proposal based on considerations of a national curriculum, teacher education, relevant philosophical perspectives, and classroom practice.

숙의를 통한 비판과학 관점의 통합 지향적 가정교과 교육과정 개발 (Integrative Home Economics Curriculum Development from a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through Deliberation)

  • 주수언;유태명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3권4호
    • /
    • pp.447-461
    • /
    • 2015
  • This study developed an integrative curriculum design plan for Home Economics through a deliberation method. This study established a research framework to integrate the deliberation models of Schwab, Walker, and Reid that inherited the intellectual tradition of curriculum deliberation along with the practical reasoning process of Brown and Paolucci from a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The practical research problem was formulated as "What should be done to develop a Home Economics integrative curriculum?" To address this practical research problem, deliberation with deliberators of each small, medium, and large groups was processed for the development of integrative curriculum design plans. An initial proposal was developed from small group deliberation processes. An initial proposal was examined and an alternative plan was developed from medium group deliberation processes. An alternative plan and its consequence were re-examined from large group deliberation processes. The authors finalized a proposal organized on four valued ends of self-formation, intersubjectivity, social action, and life skills. A practical problem focused integrative curriculum was developed and proposed to pursue the four valued ends. The suggested final practical problem focused curriculum demonstrates the power of Home Economics to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individuals, families, and society as well as the practical empowerment of students.

『기술.가정』 교과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요구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Teachers and Related Variables on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 이연숙;조재순;곽노선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4
    • /
    • 2002
  • The goal of the study is to find the necessary measures to facilitate a desirabl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by reflecting the Perception and needs of the teacher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urriculum content. professionalism of the teacher realistic operations of the school . and the administration of the school system.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research are as follows : 1) The background knowledge and characteristics of the two curriculums are different. and in addition there is a negative perception due to the fact that it is hard to facilitate a class with just one teacher. 2) The issues that were most serious to teachers were professionalism of the teacher. qualification of the teachers. and teaching method. Also the teachers lacked in confidence in teaching and the curriculum itself. 3) In regards to qualifications of the teacher the teachers requested that teachers should have single qualification in 'Technology(or Home Economics)'or dual qualifications in both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As for teaching methodology responded that from the teacher and student perspective the teaching should be divided whereas from the school's perspective the responsibility should be Put on a single teacher. 4) Teachers responded tha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eacher, parent or student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should be separated into two subjects.

  • PDF

"기술.가정" 교과 운영에 대한 교사, 학교장, 교육 전문직의 인식과 요구 (The Perceptions and Needs Teachers, Principals and Educational Specialists on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 곽노선;조재순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7호
    • /
    • pp.127-140
    • /
    • 2002
  • The goal of the study is to find the necessary measures to facilitate a desirabl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by reflecting the perception and needs of the teachers, principals, educational specialis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urriculum content, professionalism of the teacher, realistic operations of the school, and the administration of the school system. The research was executed through mail surveys to nationwide junior high school technology teachers, home education leachers, principals and to educational specialist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 integration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was perceived to lessen the burden of students. However the background knowledge and characteristics of the two curriculums are different, and in addition there is a negative perception due to the fact that it is hard to facilitate a class with just one teacher, 2) The issues that were most serious to teachers, principals and education specialists were professionalism of the teacher, qualification of the teachers, and teaching method. 3) In regards to qualifications of the teacher, the teachers requested that teachers should have single qualification in'Technology(or Home Economics)'. The principals were of the similar opinion but the educational professionals wanted dual qualification for both'Technology'and'Home Economics'. As for teaching methodology all 3 groups responded that from the teacher and student perspective the teaching should be divided whereas from the school's perspective the responsibility should be put on a single teacher. 4) Teachers responded tha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eacher, parent or student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should be separated into taro subjects. On the other hand the principals and educational specialists agreed that from their own perspectiv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should remain an integrated subject and the teaching should be done by one teacher but replied that from the student or parent perspective division of responsibility in teaching would be appropriate.

신규임용교사의 H-PCK 형성과정 탐색: 2017 부산지역 가정과 신규임용 교사를 대상으로 (The Research on H-PCK(Pedagogical Contents Knowledge in Home Economics Education) formation process of 2017 Novice Teacher in Busan)

  • 김남은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6권3호
    • /
    • pp.247-262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ocess of PCK formation for 2017 novice teachers in Busan. This study was conducted parallel to quantitative research using the H-PCK measurement tool as well a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rough an open questionnaire and after-interview. Consequently, the H-PCK level of novice teachers was 3.51. The knowledge of perspective on home economics education (KP) was 3.87, knowledge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KC) was 3.37 and the knowledge of home economics instructional strategies (KI) was 3.39. Study participants reported that curriculum knowledge, curriculum content knowledge, and teaching strategy knowledge were formed through preparation for appointment; however, it was not possible to judge if PCK was formed for the restructuring ability or the reconstruction ability. Knowledge related to curriculum content was learned through teacher training, internet teacher community, and internet information materials. Knowledge of teaching strategies was learned through 1-2 teaching consulting or peer scholarship.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university curriculum (such as expansion of curriculum education, expansion of experience in teaching practice, and actual case study) order to form PCK. Second, it should be developed and operated various training programs for the forma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knowledge. Third, it is necessary to organize a nationwide system to support the mentor.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study PCK analysis for each unit and topic as well as to explain methods that can be provided to field teachers.

가정교과의 내재적 목적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Intrinsic Aim of the Secondary Home Economics Subject Matter)

  • 홍은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65-84
    • /
    • 2008
  • 가정교과는 역사적으로 '가정생활의 향상'이나 '가정생활에서의 문제 해결 능력 함양' 등 외재적 목적에 의하여 정당화 되어왔지만, 가정교과의 현실적 상황은 가정교과의 교육내용 자체의 가치에 의한 정당화와 내재적 목적에 대한 이론적 규명을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가정과교육의 내재적 목적을 규명하기 위하여 가정교과의 교육내용으로서 가정학의 지식을 가르치는 것이 교육철학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관점을 받아들일 때, 가정학은 가정생활 현상에 관한 독자적인 개념, 원리, 지식을 체계화한 '지식의 구조'이며 가정교과의 교육내용으로서 고유하고 독자적인 의미를 가진다. 가정과교육의 내재적 가치와 목적은 이러한 교육내용 안에 들어 있으며, 그 교육내용에서 논리적으로 추론되어 나온다. 가정교과의 내재적 목적은 학습자가 가정교과의 교육내용을 잘 이해하여 일상생활의 사태를 가정학적 관점으로 바라볼 수 있는 안목을 형성하고 확장해나가는 데 있다. 학습자는 이러한 '지적 안목'을 바탕으로 가정생활의 실제 사태에서 주어진 상황을 제대로 '해석'하고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가정생활에 대한 지적 안목'은 가정생활과 관련된 모든 생각과 말과 행동의 원천이 된다는 점에서 가정생활에서의 실제적 문제 해결을 의미 있게 하는 토대가 된다. 따라서 종래의 가정과교육내용이 가정생활에 관한 단편적인 지식이나 사실로 파악되었다면, 가정생활에 대해 폭넓은 안목의 형성에 기여하는 가정학의 지식의 구조로 새롭게 해석되어야 한다. 나아가 가정학 지식의 이해가 학습자의 '가정생활에 관한 지적 안목'으로 통합되도록 가르친다면 가정과교육의 내재적 목적이 실현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가정과교육과정 구성요소의 내적 일관성 검토 및 대안 : 의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Review and Alternatives to the Internal Consistency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Components : Focused on the Clothing & Textiles Area)

  • 오경선;하지수;이수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9-75
    • /
    • 2017
  • 본 연구는 가정과교육과정에 내재된 신념과 가치를 바탕으로 의생활 영역에서의 가정과교육과정 구성요소의 내적 일관성을 검토하고 대안적 예시 제안을 통해 교과의 정당성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비판과학 관점이 내재된 2007 개정과 2009 개정, 2015 개정 가정과교육과정의 의생활 영역에서 가정과교육과정 5가지 구성요소-가족, 사회,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수방법-에 대한 가정(assumption)이 어떠한 관점을 취하고 있는지 검토하고, 그 결과에 기초한 의생활 교육내용의 예시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07 개정부터 2015 개정 가정과교육과정까지의 의생활 영역에서 가정과교육과정 5가지 구성요소 중 가족, 사회, 교육목표, 교수방법에 대한 가정(assumption)은 비판과학 관점을 취하였고, 교육내용에 대한 가정(assumption)은 전통적 관점을 취하였다. 이에 가정과교육과정 구성요소가 내적 일관성을 지니기 위해서는 교육내용에 대한 가정(assumption)은 '가족의 일'로서 의생활 문제를 다루도록 전환시켜야 하며, 가족과 교육목표, 교수방법에 대한 가정(assumption)에서는 가족행동체계와 교사의 역할에 대해 보완시켜야 할 필요가 있었다. 둘째, 논의된 결과를 토대로 가정과교육과정 구성요소의 내적 일관성에 기초한 의생활 교육내용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비판과학 관점으로 의생활 교육내용을 제안하였다.

해석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 가정과교육 의생활 문화 영역의 교육과정안 개발 및 적용 (Home Economics Curriculu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lothing Life Culture Area Based on the Interpretive Perspective on Educational Curriculum)

  • 배현영;이혜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1-47
    • /
    • 2008
  • 본 연구에서 해석적 관점이란 인간의 행동이나 신념, 역사적 문화적 결과물들에 대한 의미이해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역사적 문화적 지식을 토대로 이야기를 나누는 과정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자기이해에 도달하게 된다는 교육과정의 관점을 의미한다. 개발 교육 과정안은 교육목표, 내용체계, 수업지도안, 교수-학습 자료로 구성된 것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 해석적 관점을 중심으로 가정과교육 의생활 교육과 관련 있는 주요 개념들을 가정(假定)하고 역사 문화적 자료를 토대로 의생활 문화 영역의 교육내용을 구성함으로써 의생활교육 내용의 변화를 시도하였으며 시험적 수업 적용 결과도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한 교육과정안의 장점으로는 학생들은 전통문화를 인식하고 의생활을 통해 자신이 누구인지 어떤 존재인지에 대해 해답을 찾는데 도움이 되었고 교육내용이 새로운 지식으로 인식되었으며 학습 동기 유발에 도움이 되었고 해석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 수업내용이 진정한 실천을 위한 반성, 진정한 인식의 도달을 위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 문제점으로는 가정과교사들 스스로 의생활의 역사적?문화적 자료에 대한 이해와 수업준비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고 역사와 사회와 더 관련이 있다고 생각한다는 것과 내용체계의 주제에 담을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 PDF

중학교 가정과 교사의 교육과정 관점과 주거교육 가치관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Perspective about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Housing Education Value)

  • 이연정;조재순;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19-232
    • /
    • 2007
  • 본 연구는 가정과교사의 교육과정 관점과 주거교육가치관 요소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이들의 관계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자료는 전국에서 중학교 가정교과의 주생활 영역을 지도하고 있거나 지도해 본 경험이 있는 교사를 상대로 e-mail과 방문을 통해 설문지로 수집하였으며, 207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WIN(ver.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 t-test, ANOVA와 scheffe,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교사의 교육과정 관점은 실존적 관점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구조적 관점, 전통적 관점의 순으로 높았다. 전통적 관점은 교사의 연령과 교직경력이 많고 남녀공학보다는 남학교나 여학교 근무 교사가 그리고 사립학교에 다니는 교사가 높았다. 실존적 관점은 여교사, 가정교육전공, 대학원 재학 이상 학력, 공립학교에 다니는 교사가 높았다. 구조적 관점은 여교사, 연령이 적고, 가정교육전공, 그리고 대학원 재학 이상의 학력을 지닌 교사가 높았다. 둘째, 가정과교사의 주거교육가치관 요소의 일반적 경향은 9개 요소 모두 평균 이상이었다. 그 중 주거의 생태학적 요소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경제적인 요소, 사회심리적 요소, 공간계획적 요소, 지역환경적인 요소, 진로교육적인 요소, 문화적 요소, 주거관리적인 요소, 주택정책적 요소 순이었다. 가정과교사의 일반적 특성 중에서 전공자격, 최종학력은 5개의 주거 가치관 요소와 차이를 보였으며 학교 형태는 4개, 가족수, 소득수준, 교직경력은 각각 2개씩, 그리고 성별, 결혼여부, 거주주택 유형, 연령은 각각 1개씩의 주거가치관 요소와 차이를 보였다. 가정교육 전공 교사가 사회심리적 요소, 경제적인 요소, 지역환경적인 요소, 생태학적 요소를 기술교육 전공 교사보다 중요하게 생각한 반면 기술교육 전공 교사는 주거관리적 요소를 가정교육 전공 교사보다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최종학력에 따라서는 대학원 재학 이상인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보다 사회심리적 요소, 지역환경적 요소, 생태학적 요소, 주택정책적 요소, 그리고 문화적 요소를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학교 형태에 따라서는 여학교에 근무하는 교사가 남학교나 남녀 공학에 근무하는 교사 보다 사회심리적 요소와 주택 정책적 요소를 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여학교나 남녀공학에 근무하는 교사는 남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보다 지역환경적 요소와 생태학적 요소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셋째, 가정과교사의 교육과정 관점과 주거교육가치관 요소와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전통적 관점은 주거교육가치관 요소 중 오직 주거관리적 요소와 관계가 있었으나 그 정도는 낮으며 실천적 관점과 구조적 관점은 주거가치관의 각 요소에 따라 약간 다르기는 했으나 주로 보통의 관계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