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me Automation System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31초

안드로이드 OS를 이용한 가정 자동화용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Embedded System for Home Automation using Android OS)

  • 이철희;박형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4574-4577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USN(Ubiquitous Sensor Network)에서 사용되는 홈네트워크의 구조를 분석하고, 가정 자동화를 위한 임베디드 시스템을 안드로이드 OS상에서 구현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홈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무선통신을 이용하므로 설치의 어려움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집을 구성하는 전자적인 컴포넌트에 따라 미리 정의해 놓은 아이디 기반으로 가정 자동화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또한, 가정 자동화에 적합한 데이터 구조를 정의하고 패킷의 구조에 따라 안드로이드 OS기반의 응용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가정 자동화를 위한 임베디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Development of Education System with Intelligence Home Automation

  • Kim, Do-Hwan;Kim, Eun-Suk;Kang, Sun-Duk
    • 정보학연구
    • /
    • 제10권3호
    • /
    • pp.1-14
    • /
    • 2007
  • We have studied the methods to connect homes with a digital network and apply home automation to education. We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integrated education where public education at school can be extended to home. The hardwares related with home automation are continuously in development. We have demonstrated the materials appropriate for the levels of individual students with home network information, and studied methods of education.

  • PDF

The Development of Mobile USB Home Control System

  • Kim, Hee-Sun;Kim, Yong-Seok;Lee, Chang-Goo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3년도 ICCAS
    • /
    • pp.2155-2158
    • /
    • 2003
  • A term of home automation that was in fashion only a few years ago has not been used any more. Nowadays, We have been used a term of home network or digital home than home automation much. While internet infra is diffused at home, data network corp., communication corp., electric appliance corp. and home automation control system corp. which we did not mind each other particularly constructed consortium, and they have designs on home network market. Also, cellular phone's growth tried home networking by using not only wired internet but also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Regardless, many solutions are coming out it is few to be applied to real life because the standard is not determined with the protocol each other. Therefore, we developed home network system using USB(Universal Serial Bus) that has the possibility most in home networking standard. The mobile USB home control system is excellent at expansibility and portability. Also we can complete low cost and stable system using an embedded system.

  • PDF

위치 정보를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Location-aware Service)

  • 박우출;윤명현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312-314
    • /
    • 2005
  • We have implement indoor positioning system to supply orientation information, We have used ultrasound in indoor positioning system for distance and orientation measurements, then propose a set of methods to calculate orientation from an array of well placed ultrasonic sensors operating in the indoor positioning system, We have design and implement a indoor positioning system using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and demonstrate end-to-end functionality of the system, We have implement ZigBee based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location-aware System.

  • PDF

Testbed Development for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Bluetooth Wireless Network

  • Lee, K.Y.;Choi, J.W.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3년도 ICCAS
    • /
    • pp.2408-2412
    • /
    • 2003
  • Recently the idea of a home automation has been an important issue in many publications and home appliances companies. Home automation is a house or living environment that contains the technology to allow devices and systems to be controlled automatically. Remote and local control are useful to keep home comfortable and to support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people. In this paper, we discuss possible developments of Bluetooth wireless technologies and describe the hardware for devices and software for the considerations of a home automation system. Finally, we have validated the testbed by simulating in the Bluetooth home network.

  • PDF

홈 자동화를 위한 지능적인 상황인지 시스템 (Intelligent Context-Aware System for Home Automation)

  • 신상욱;임태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74-82
    • /
    • 2007
  • 상황 인식을 통한 지능적인 시스템은 홈 자동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강조된다. 본 논문에서 홈 자동화를 구현하기 위하여 홈 내부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사건들을 사용자 각각에 대하여 다양한 장치를 이용하여 케이스 별로 수집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케이스 별로 저장된 데이터를 트레이닝 데이터로 이용하여 신경회로망 알고리즘으로 학습을 시켜서 지능적인 홈 자동화 시스템을 구현한다. 이러한 지능적인 홈 자동화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적절한 상황에 적절한 서비스를 스스로 판단하여 제공함으로서 거주자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A Case Study on an Internet-based Home Automation Control

  • Cho, Young-Jo;Kim, Hyo-Sup;Lee, Guhn-Song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2년도 ICCAS
    • /
    • pp.55.3-55
    • /
    • 2002
  • 1. Introduction 2. Trends in Home Automation 3. Elementary Technologies 4. Fuctional Requirements 5. A Design of Network-based Home Automation System 6. Concluding Remark

  • PDF

PLC 기반의 Home Network를 기존환경에 바로 도입 가능한 Home Automation System 연구 (A Construction of HA System that introduce Home Network of PLC base in existing environment)

  • 신경철;오용선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5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20-328
    • /
    • 2005
  • 디지털 시대가 본격화 되면서 가정의 정보가전 기기들이 디지털 가전기기로 바뀌고 이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구성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홈네트워크(Home Network)와 가정자동화(Home Automation)를 구축하려는 바람으로 일고 있다. 하지만 이 새로운 시스템은 현재의 가정에 도입하기에 엄청난 초기비용과 전문기기의 필요성, 그리고 설치를 위한 까다로운 문제 등 제약사항이 너무나 많다. 또한 가정자동화의 기본 바탕인 자동화 설비기기 의 중요성은 부각되지 않은 채 주요 가전기기의 자동화 기술만 홍보하고 있어 기 건축된 아파트나 가정에서의 가정자동화 시스템의 도입은 다른 세상 이야기와 같다. 본 논문에서는 전문적인 가정자동화기가 아직 갖추어져 있지 않은 범용적인 일반가정에서 PLC 기반의 통신기술을 사용하여 새로운 배선공사 필요 없이 모듈화된 설비기기로의 교체와, 또한 기존의 가전기기를 최대한 활용하여 전용기기 못지않은 가정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방향과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로 인해 전체적인 시스템 초기 구축비용 면에서도 저렴해 지고, 쉬운 설치와 사용방법으로 인해 가정자동화 시스템의 보급에 큰 기여를 할 것이다.

  • PDF

스마트 홈을 위한 CAN 기반 화재 감지 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CAN-based Fire Detection System for Smart Home)

  • 이경창;김정희;이홍희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734-741
    • /
    • 2004
  • This paper presents a network based fire detection system using CAN, in order to evaluate feasibility of home automation protocol for smart home. In general, because a traditional fire detection system has an analog transmission method with 4-20mA current, it has several shortcomings such as weakness to noise. Hence, as an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system, this paper presents the architecture of CAN based fire detection system and the design method of CAN communication network. Also, the performance of the suggested system is evaluated through an experimental testbed. Especially, CAN has several advantages such as low cost and easiness of implementation compared to Ethernet or ARCNET, which are low layer of BACNet. Therefore, if CAN is adopted as low layer of BACNet, the home automation system is implemented more effectively.

유비쿼터스 기반의 홈 오토메이션 (Home Automation System based on Ubiquitous)

  • 이정익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3039-3042
    • /
    • 200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홈 자동화 시스템은 임베디드 시스템에 LabVIEW PDA 모듈을 사용해 원거리 제어가 가능하고, PDA 장비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데모 장비이다. 모든 작동 프로그램은 LabVIEW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각 임베디드 시스템은 개인용 PC와의 배선 없이 스스로 동작하는 모드로 이루어져 있다. 이 홈 자동화 시스템은 무선 랜(802.11b)을 통한 PDA의 LabVIEW에 의해서 통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