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me Automation System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33초

직렬통신과 Visual Basic을 이용한 Home Automation System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Serial Communication and Visual Basic)

  • 지준근;이광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2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2463-2465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Home Automation을 위한 하드웨어와 제어용 프로그램의 개발에 목적을 두었다. Home Automation에 쓰인 하드웨어 부분에서는 8051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사용했다. 본 논문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플랜트끼리의 통신 알고리즘이며, 일반 가정용 IBM PC의 USB 포트를 이용한 화상 전달방법이다. 화상 전달에 필요한 DLL부분은 C++로 제작되었으며 전체적인 제어용 프로그램은 비주얼툴인 Visual Basic으로 제작하였다. 하드웨어는 각각의 플랜트에 따라 각각의 구동부가 있으며 몇몇 구동부에는 다중 통신을 위한 8051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있다. 이 모든 장치의 데이터 흐름을 알 수 있도록 PC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며 PC와 직렬 통신을 통해 이 모든 것이 이루어진다.

  • PDF

KNX-ZigBee 게이트웨이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KNX-ZigBee Gateway)

  • 이우석;홍승호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720-729
    • /
    • 2011
  • The demand for wireless technology in home automation systems has recently been increasing due to several advantages such as installation cost reduction, easy placement, easy extension, aesthetic benefits, and mobile device connectivity. Among the many wireless technologies, ZigBee is one of the most useful for home automation; a wireless home networking system can be configured using ZigBee alone. Compatibility with conventional home networking systems that are based on wired media, however, is not supported. KNX is a mature protocol for wired media that is recognized as an international standard. This paper proposes a KNX-ZigBee gateway to interface between KNX and ZigBee systems and thereby enable integration of wired and wireless home automation systems.

웨어러블 환경에서의 수족사용 불능자를 위한 홈오토메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User interface of Home-Automation for the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in wearable computing environment)

  • 강선경;김영운;한대경;정성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87-193
    • /
    • 2008
  • 웨어러블 환경에서 사용자가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기술들이 최근 많이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족이 불편한 사용자가 웨어러블 환경에서 EOG 감지 회로와 사람이 인지 가능한 마커를 이용하여 홈오토메이션을 직접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는 지시 장치로 EOG 감지 회로를 사용하고, 사용자가 다루고자 하는 홈오토메이션 기기에 해당되는 마커를 눈의 움직임을 이용해 사용자가 선택하면 선택된 마커를 인식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 명령을 홈오토메이션 제어장비에 보냄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EOG 감지 회로와 마커 인식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수족 사용이 불가능한 사용자도 눈동자의 움직임만으로 홈오토메이션 조작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 PDF

보안을 위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개발 (Home Automation System Development for Security)

  • 황병곤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9-15
    • /
    • 2008
  • 본 논문은 보안이 강화된 홈 오토메이션 분야로서, 비디오 도어폰의 카메라와 캠으로 획득된 영상을 DVR 장치로 보내어 이들을 저장하고 조회하는 기능을 개발하는데 있다. 특히, 외출 중 방문객이 초인종을 누르면 방문객의 영상을 자동 저장함으로써 방문객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부재중 집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들 정보는 홈 오토메이션 및 웹 기반 시스템을 이용하여 인터넷으로 실시간 확인할 수 있다. 부재중 집에 이상 징후가 발생할 경우 휴대폰으로 집 주인에게 상황을 문자 전송할 수 있는 홈 시큐리티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PDF

스마트 폰 기반 홈 자동제어시스템 설계 및 구현 (A Home Automation system based on Smart phone)

  • 장용재;박경욱;이성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589-594
    • /
    • 2011
  • 스마트 폰 또는 홈 네트워크 기술은 지속적으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기술로, 삶의 질을 한층 더 높게 만들어 준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폰을 통해 스마트 홈을 제어 하는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구현된 스마트 홈 시스템은 홈 노드 구조물, 원격 스마트 응용 시스템, 홈 서버 제어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홈 노드 구조물은 침입 감지, 가스 검출 및 밸브 제어, 도어 락, 자동커튼, 환풍기 제어 및 On/Off 제어 모듈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듈들은 홈 서버에 의해서 제어 된다. 홈 서버는 사용자가 직접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원격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홈 자동제어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스마트 아웃렛 시스템을 위한 무선 센서네트워크 프로토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ireless Sensor Network Protocol for a Smart Power Outlet System)

  • 정한수;문정호;박성욱;이형봉;박래정;정태윤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291-300
    • /
    • 2012
  • This paper deals with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ireless sensor network protocol for smart power outlet system capable of fire detection, power monitoring, standby power cutoff, and home automation. The proposed protocol integrates both the CSMA and the TDMA protocols for low power consumption and good scalability. A prototype smart power outlet system employing the proposed protocol and a simple home automation network including the power outlet system have been implemented for evaluating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protocol The result shows that the proposed protocol allows the power outlet system to be scalable with high power efficiency.

Web Based Smart Home Automation Control System Design

  • Hwang, Eui-Chul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1권4호
    • /
    • pp.70-76
    • /
    • 2015
  •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provides and increases security as well as convenience for humans.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y directly affects the standard of life thanks to smart home automatic control systems. This paper describes a door control, automatic curtain, home security (CCTV, fire, gas, safe, etc.), home control (energy, light, ventilation, etc.) and web-based smart home automatic controller. It also describes the use of ARM (Advanced RISC Machines) for automatic control of home equipment, a Multi-Axes Servo Controller using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nd PLC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Additionally, it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a HTML editor using web auto control software. The tab loading time (7 seconds) is faster when using ARM-based web browser software instead of Chrome and Firefox is used because the browser has a small memory footprint (300M). This system is realized by web auto controller language which controls and uses PLCs that are easier than existing devices. This smart home automatic control technology can control smart home equipment anywhere and anytime and provides a remote interface through mobile equipment.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가정용 원격 검침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ome Telemetering System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 유영호;신일식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9권6호
    • /
    • pp.678-684
    • /
    • 2005
  • In this Paper telemetering system for home automation is Proposed and implemented. Proposed and developed systems are composed with a home server and a few clients which send metering data of gas electric power water and home security to home server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Management computer located in office of apartment complex collects all kinds of measured home data from each home server with multi drop communication by UDP Protocol A simple ASK method is used for power line communication Collected data from each home can be used for issuing the bill of each house and web service.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nder laboratory environment using various kinds of electric home appliances to ascertain the performance.

전력선 Modem과 Telephone을 이용한 가정 자동화 시스템의 실현 (Home Automation Implementation using Power Line Modem and Telephone)

  • 최승지;김한수;박종연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1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5)
    • /
    • pp.43-46
    • /
    • 2001
  • This paper has been studied a implementation Home Automation by PLM and Telephone system. The PLM is composed of FSK IC-chip and the circuit for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In this paper load control was made with PIC16F84A and its communication speed was 1200 baud rat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