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ly Idea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초

A Study on Design Concept of an App with Matching Enneagram and Character

  • Park, Jongji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4권1호
    • /
    • pp.19-24
    • /
    • 2022
  • "Know thyself" is one of the most famous ancient proverbs. We need to know ourselves to understand others and find true ourselves. Enneagram is one of the tools we can use to do it. It has drawn more and more attention from people by its effectiveness and spiritual depth. It has been widely promoted in both business management and spirituality contexts. It has many concepts to be understood. Holy ideas and virtues are understood to be restored to find our true self which is the purpose of using the Enneagram. Actually, holy ideas and virtues are similar with character qualities which comprise character. In this paper, holy ideas and virtues are matched with corresponding character qualities. To promote transformative process of character development through Enneagram, an app was designed. It has 2 levels. Level 1 is to find personality type and show corresponding character qualities of 9 personality types to users. Level 2 is to find subtypes and Enneagram Levels of Development for further purpose.

한국의 온라인 종교문화에 대한 시론적 연구 - 온라인 종교활동과 종교적 표현상의 특이 사례를 중심으로 - (Online Religious Culture in Korea: Focusing on Religious Activities and Special Cases of Religious Expression)

  • 심형준;이원섭;오준혁;이유나
    • 대순사상논총
    • /
    • 제45집
    • /
    • pp.187-226
    • /
    • 2023
  •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서 일상을 살아가는 시대에 종교활동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을까? 서구의 디지털 종교나 디지털 원주민의 종교활동에 대한 연구를 보면 전통적인 종교활동이 퇴조하고 가볍고 쉬운 형태의 종교활동이나 관념이 부상한다고 한다. 한국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바로 그러한 의문을 가지고 온라인 환경에서 한국 사람들의 종교적 활동과 표현 양상을 살펴본다. 본 연구에서는 크게 네 가지의 종교(적) 활동 및 종교적 표현에 주목한다. ①교단 종교(개신교, 불교, 가톨릭)의 온라인 종교활동, ②비교단 종교(사주, 타로 등)와 관련된 온라인 종교활동, ③온라인 성지와 소원 댓글(채팅), ④ 유행했던 종교적 신조어(지름신, 갓생). 이러한 검토를 통해서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에 종교적 관념과 실천 양상이 제약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단순한 형태의 종교적 관념과 활동의 부상이 디지털 미디어 및 디지털 콘텐츠 소비 특성과 상관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 S. Eliot의 "The Waste Land"에 나타난 주제와 형식 (Theme and Form in T. S. Elopt's "The Waste Land")

  • 양현철
    • 영어어문교육
    • /
    • 제4호
    • /
    • pp.249-267
    • /
    • 1998
  • "The Waste Land" is Eliot's best known poem. It was first published in 1922 and became a famous poem in modem poetry by the 1940's. The poem is a statement of his personal experience with spiritual crisis, this simple outline is complicated and universalized by being set within the structure of 'the Fisher King legend'. The fisher King legend was studied by Miss Weston in From Ritual to Romance and Sir James Frazer in The Goldon Bough which traced the vegetation myths. It explained the cycle of the seasons in relation to the death and rebirth of a god. The god died in the winter with the death of the vegetation and was reborn in the spring with the rebirth of the vegetation. Sir James Frazer reaced these ancient rituals within the Christian world. He indicated that the death and rebirth of Christ falls within the pattern of this ancient ritual. Also Miss Weston transformed that ancient ritual into Christian terms, and connected it with the Quest for the Holy Grail. Eliot used not only the title, but the plan and a good of the important symbolism of the poem from these two books. "The Waste Land" is a difficult one because of the numerous interruptions in the narrative. On the superficial level, the story covers a 12-hour period in a day. It is also in "the stream of consciousness." It might be called the internal monologue; that is, "the free association of ideas in the mind of the narrator," Eliot experiments with both the idea of time and with the stream of consciousness, He employs a number of quotations and allusion from the Classic literature. So, his technique in "The Waste Land" consists of the juxtaposition of the present with mythcism and religious symbolism derived from the past. The structure of the poem is built out of the contrasts in time. The poem illustrates his conception of the past as an active part of the present. "The Waste Land" has "a symphonic structure" composed of five parts, which are linked by the repeated themes. The theme is the death and salvation of the Waste Land. It is drawn from the Fisher King myths. Moreover, he has absorbed into the structure of this poem the language, phrases, and associations of other writers. It gave the poem the universality both of theme and of pattern. Also, his intricate and fine techniques added the universality to the poet's personal material. At last, the verse pattern of the poem follow the same basic structure as the thematic patterns. Again in symphonic style, the verse varies from section to section. The interruption of real time is associated with the flow of consciousness. Though the poem is a complex structure, there are the interweavings of a great deal of ideas into a simple, brief statement. By these poetic techniques the poem manages to have good harmony and unity between the thematic pattern and narrative structure. "The Waste Land" therefore, became the greatest poem in the 20th century modern world.

  • PDF

해원상생사상의 평화적 가치와 현대적 의의 (The Value of Peace and the Modern Significance of Haewon Sangsaeng)

  • 배규한
    • 대순사상논총
    • /
    • 제40집
    • /
    • pp.1-38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강증산(姜甑山, 1871~1909) 성사(聖師)의 해원상생(解冤相生)사상에 관한 평화적 가치를 모색하고, 그 현대적 의의를 조명하는 것이다. 증산은 구한말인 1871년 탄강하여 1909년 화천할 때까지 광구천하의 인류대망을 실현하기 위해 천지인 삼계를 근원적으로 혁신하는 천지공사(天地公事, 1901~1909)를 실행한 역사적 대종교가로 관련 종교계와 학계에서는 평가하고 있다. 증산의 주장은 크게 두 가지로 집약할 수 있다. 하나는 낡은 질서의 청산과 새로운 세상의 도래를 예시하는 '후천개벽사상'이고, 다른 하나는 인류 구제와 세계평화의 근본원리인 '해원상생사상'이다. 여기에서 '개벽'은 "적극적 평화에 대한 종교적인 표현"과 다름 아니고, '해원상생'은 "전세계의 평화이며 전인류의 화평" 원리이다. 특히, 해원상생은 대순진리회의 종지로서 대순사상의 근간을 이루는 주요사상이며, 증산의 천지공사를 관류하는 요체라 할 수 있다. 오늘날 해원상생은 공존과 상생, 평화를 말하는 담론뿐만 아니라 학술의 장에서도 다양하게 논의되거나 인용되고 있다. 해원상생은 구체적으로 세계갈등, 지역갈등, 문화갈등, 이념갈등, 빈부갈등, 세대갈등, 인종갈등, 종교갈등 등과 같은 세계사적 갈등구조에서부터 현대사회에 노정된 다양한 상극적 구조와 부조화 영역에서 학술적으로 심도있게 논의되고 있다. 이와 관련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주로 인간, 신명, 후천선경, 이상사회, 세계평화 등의 주요한 가치에 천착하고 있으며, 실천윤리, 실천철학, 실천원리, 관계의 조화, 윤리적 이상, 새로운 질서원리, 항구적 평화 등으로 조명되고 있다. 특히 해원상생의 윤리·철학·질서·원리로서의 의의는 인간과 세계에 대한 사랑·공존·조화·평화 등의 의미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인간·신명·후천선경·이상사회·세계평화 등에서 그 가치가 발현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그간의 연구를 토대로 증산의 해원상생사상의 계승과 정립에 관한 사상적 연맥을 살펴보고 그 평화적 가치를 검토해봄으로써, 오늘날 해원상생의 원리와 사상이 세계와 인류에 던지는 그 현대적 의의를 모색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