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locene climatic optimum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초

해수면 변동으로 본 한반도 홀로세(Holocene) 기후변화 (Holocene climate characteristics in Korean Peninsula with the special reference to sea level changes)

  • 황상일;윤순옥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35-246
    • /
    • 2011
  • 해안충적평야에서 얻은 연대측정 자료와 미화석 연구 결과 및 퇴적상을 통해 복원된 홀로세 해수면변동 곡선은 기후변화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6,000~5,000년 전은 '해진극상기'이며 '기후최적기'로서 중부유럽에서 여름기온은 현재보다 2~3℃ 더 높았다. 당시의 한반도 해수면은 현재보다 0.8~1.0m 더 높았으며, 현재보다 더 온난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한반도에서는 2,000~1,800년 전에 해수면이 현재보다 1.1~1.3m 더 높은 수준에 도달하였으며, 기후최적기에 버금가는 정도로 온난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서브보레알'에는 중부 유럽의 기온이 현재보다 2~3℃ 더 낮았음에도 불구하고, 이 시기 우리나라의 해수면은 현재보다 높았다. 홀로세 중기 이후 해수면이 가장 낮았던 2,300년 전 경에도 현재와 유사한 고도에 있었다. 이와 같은 사실에서 볼 때, 한반도에서 복원된 해수면변동 곡선은 한랭한 시기의 기후환경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몽골 북부 흡수굴호의 홀로세 동안의 고환경 변화 (Holocene paleoenvironmental changes in the Lake Khuvsgul, Northern Mongolia)

  • 어르헌셀렌게;카시와야;오치아이;크리워너거브;나카무라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8-36
    • /
    • 2008
  • The present study has focused on the environmental changes and evidences for sedimentation in the Lake Khuvsgul catchment during the Holocene period, inferred from short core sediment (BO03) from the eastern shore of Borsog Bay, which were analyzed in order to review records of the Holocene climatic evolution and Holocene history in Northern Mongolia. For the purpose of reconstruction of natural phenomenon that occurred in the lake catchment system during the Holocen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including HCl-soluble material, biogenic silica, organic matter and grain size distribution of minerals in the core sediments have been analyzed in this study. The vertical variations in composition for these properties show distinctly that five lines of paleoenvironmental evidence occurred in the lake catchment during the Holocene. A modified age model resulting from AMS carbon dating for the BO03 core sediment shows timings of these environmental events at 9.5 Kyr BP, 8.0 Kyr BP, 5.6 Kyr BP and 3.2 Kyr BP, respectively. Paleoenvironmental changes in the Lake Khuvsgul catchment system during the Holocene highlight distinctive features of the hydrological regime and geomorphologic evolution in the lake catchment due to regional landscape and global climatic changes corresponding with the Holocene optimum and thermal optimum. In particular, the change of hydrologic regime based on the sedimentological evidence has been caused by not only overland flow due to melting water, but also base flow due to thick permafrost around Khuvsgul region.

  • PDF

Climatic Changes During the Past 400,000 Years

  • Yi, HI-Il;Shin, Im-Chul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8권2호통권23호
    • /
    • pp.23-31
    • /
    • 2004
  • Temperature variations, and carbon dioxide and methane concentrations are summarized during the past 400,000 years. Atmospheric temperature varied approximately within $10^{\circ}C$ during the past 400,000 years. Most of the time during the past 400,000 years, temperature was lower than today except 410000, 320000, 250000, and 125000 years ago. Temperature was slightly higher or at least similar to today during the time period of 410000. 320000, 250000, and 125000 years ago.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varied between 180 and 300 ppm, and the methane concentration varied between 40 and 700ppb. The present atmospheric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s 375 ppm and methane is 1750 ppb. Temperature was 5-$7^{\circ}C$ lower than today during the Last Glacial Maximum(18,000 years ago) and the Younger Dryas(10,000 years ago). Temprature was varied within $1^{\circ}C$ during the past 10,000 years. Especially Middle Holocene Climatic Optimum(6,000 years ago), Medieval Warm Period (500-1,000 years ago), and Little Ice Age(100-500 year ago) were global climatic events. In general, mechanism for the Middle Holocene Climatic Optimum, Medical Warm Period, and Little Ice Age can be explained by the solar insulation, however their exact mechnism is not well known.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during the past 400,000 years never reached the current value of 375 ppm. Furthermore, the current methane concentration never reached during the past 20Ma. However, current temperature value has happened several times during the past 400,000 years. The implication of this is unsolved question so far. This should be challenged in the near future.

  • PDF

홀로신 중기 광주광역시 연산동 일대의 고식생 및 고기후 변화 (Mid-Holocene palaeoenvironmental change at the Yeonsan-dong, Gwangju)

  • 박정재;김민구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14-425
    • /
    • 2011
  • 광주광역시 화전 유적지의 습지 퇴적물에 화분분석, 수침목재 동정, 그리고 기초적인 퇴적물 분석 등을 수행하여 얻은 결과를 토대로 이 지역의 홀로신 중기 고식생 및 고기후를 유추해 보았다. 약 8200 ~ 6800년 전에는 홀로신 기후최적기에 비해 기후가 다소 건조하여, 참나무 개체수는 상대적으로 적었고 다양한 수목들이 함께 서식했다. 약 6800 ~ 5900 년 전은 홀로신 기후최적기로 온난 습윤한 기후가 강화되면서 참나무속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었으며 저습지의 면적이 감소하였다. 6100 년 전 경에는 한반도 남동부에서 홀로신 기후최적기의 지속으로 극상림에 가까운 삼림이 형성되었다. 약 5900 ~ 4700 년 전에는 기후가 냉량건조해지면서 극상림인 참나무숲의 면적뿐 아니라 전체 삼림 면적이 감소하였다. 이 시기 말미에는 기후의 일시적인 호전으로 오리나무숲이 팽창하였다. 마지막으로 약 4700 ~ 3300 년 전에는 오리나무의 세력이 감소하고 참나무가 우점했으며 상대적으로 건조한 기후가 지속되면서 삼림의 밀도는 낮았다.

태안 의항 해안의 홀로세 해수면 변화와 지형 형성과정 (Holocene Sea Level Change and Geomorphic Process of the Uihang Coast in Taean)

  • 이광률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1-39
    • /
    • 2021
  • Gaemok, the place name of Uihang-ri, Sowon-myeon, Taean-gun, Chungnam, indicates a tombolo. This study estimated the Holocene sea level change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coastal landforms of the Gaemok and Hwanyeong Tombolos in the Uihang coast. The tombolos seemed to form at approximately 3.4 ka and the average sea level at that time was estimated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present by ca. 1 m. The Gaemok area was a separated island from the Taean peninsula during the Holocene Climatic Optimum. At approximately 3.4 ka when the sea level rose again after the fall, the Gaemok area was tied to the land by formation of the Gaemok and Hwanyeong Tombolos. The falling or fluctuating sea levels after 3.4 ka have shaped the present coastal landforms.

홀로세 중기 이후 신두리 해안사구의 성장 : 기후변화 및 해수면 변동과의 관련 가능성 (Mid- to Late Holocene Progradational Pattern of Shinduri Dunefield: Implications for Sea Level and Climatic Changes in the Western Coast of Korea)

  • 홍성찬;최정헌;김종욱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87-98
    • /
    • 2010
  • 서해안 중부에 위치한 신두리 해안사구는 길이 3km, 최대폭 1km의 면적에 세립질의 모래로 이루어진 지형으로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 이 해안사구지대의 수평적인 성장 패턴을 파악하기 위해 하나의 대상단면을 선정하여 지표투과레이더(GPR, Ground Penetrating Radar) 탐사와 광여기루미네선스(OSL,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연대측정을 실시하였다. 이들 결과에 따르면 신두리 사구퇴적층의 성장 방향은 육지에서 해안방향으로 전진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이들 사구퇴적층은 OSL 연대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대략 4ka 이하의 것과 6ka 이상의 것으로 구분되며 약 6800-3700년 전 사이에 성장이 정체되었거나 이전에 형성된 퇴적층이 침식되었던 사건이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기별 사구의 형성과정의 차이는 약 6~7000년 전에 있었던 홀로세 고해면기의 영향과 약 4500년전에 있었던 기후변화로 인한 해빈으로부터 퇴적물 공급량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북극해 스발바드 군도 피오르드에서 일어난 홀로세의 빙해양 퇴적작용과 고기후적 의미 (Holocene Glaciomarine Sedimentation and Its Paleoclimatic Implication on the Svalbard Fjord in the Arctic Sea)

  • 윤호일;김예동;유규철;이재일;남승일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8권1호
    • /
    • pp.1-12
    • /
    • 2006
  • Analyses of sedimentological and geochemical parameters from two radiocarbon-dated sediment cores (JM98-845-PC and JM98-818-PC) retrieved from the central part of Isfjorden, Svalbard, in the Arctic Sea, reveal detailed paleoclimatic and paleoceanographic histories over the last 15,000 radiocarbon years. The overconsolidated diamicton at the base of core JM98-845-PC is supposed to be a basal till deposited beneath pounding glacier that had advanced during the LGM (Last Glacial Maximum). Deglaciation of the fjord commenced after the glacial maximum, marked by the deposition of interlaminated sand and mud in the ice-proximal zone by subglacial meltwater discharge, and prevailed between 13,700 and 10,800 yr B.P. with enriched-terrigenous organic materials. A return to colder conditions occurred at around 10,800 yr B.P. with a drop in TOC content, which is probably coincident with the Younger Dryas event in the North Atlantic region. At this time, an abrupt decrease of TOC content as well as an increase in C/N ratio suggests enhanced terrigenous input due to the glacial readvance. A climatic optimum is recognized between 8,395 and 2,442 yr B.P., coinciding with 'a mid-Holocene climatic optimum' in Northern Hemisphere sites (e.g., the Laurentide Ice sheet). During this time, as the sea ice receded from the fjord, enhanced primary productivity occurred in open marine conditions, resulting in the deposition of organic-enriched pebbly mud with evidence of TOC maxima and C/N ratio minima in sediments. Fast ice also disappeared from the coast, providing the maximum of IRD (ice-rafted debris) input. Around 2,442 yr B.p. (the onset of Neoglacial), pebbly mud, characterized by a decrease in TOC content, reflects the formation of more extensive sea ice and fast ice, which might cause decreased primary productivity in the surface water, as evidenced by a decrease in TOC content. Our results provide evidence of climatic change on the Svalbard fjords that helps to refine the existence and timing of late Pleistocene and Holocene millennial-scale climatic events in the Northern Hemisphere.

Chronology and environment of the Palaeolithic and Neolithic cultures on the southern Russian Far East

  • Kuzmin, Yaroslav V.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39-56
    • /
    • 2002
  • The results of geoarchaeological studies of the prehistoric cultural complexes on the Russian Far East (Primorye, or Maritime Province; the Amur River basin; and Sakhalin Island) are presented. Upper Palaeolithic sites are dated to ca. 40,000-10,500 B.P. They existed during the mild climate of the Chernoruchie interstadial (ca. 40,000-21,000 B.P.); during harsh climate at the Last Glacial Maximum, ca. 20,000-18,000 B.P., in several places on the Russian Far East (Primorye, Amur River basin, and Sakhalin); and during climatic amelioration in the Late Glacial time, ca. 16,000-10,500 B.P. The earliest Neolithic sites, represented by Osipovka and Gromatukha cultures, existed at ca. 13,000-10,000 B.P. in the environment of coniferous forests with admixture of broadleaved taxa. Since ca. 8000 B.P., Neolithic cultures appeared in all of the Russian Far East. They existed until ca. 3000 B.P., first during the Holocene Climatic Optimum, ca. 8000-5000 B.P., in the environment of coniferous-broadleaved forests, and later, at ca. 5000-3000 B.P., in the environment of birch-oak and coniferous forests.

  • PDF

한반도 홀로세 기후최적기 잔존집단의 식물지리학적 연구 (Phytogeographic study on the Holocene hypsithermal relict plant populations in the Korean peninsula)

  • 김진석;정재민;김선유;김중현;이병윤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08-221
    • /
    • 2014
  • 홀로세 기후최적기는 후빙기 동안에 가장 온난했던 시기로서 현재의 기온보다 $1-4^{\circ}C$ 높았다. 남방계식물들은 홀로세 기후최적기에 북쪽 또는 해발고도가 높은 지역으로 분포가 확장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남해안아구 또는 남부아구가 주 분포역이고 주 분포의 북방한계선에서 100 km이상 격리된 잔존집단이 존재하는 근거리 산포형의 남방계식물을 '기후최적기 잔존종'으로 규정하였다. 식물상 자료, 표본정보, 생태학적 연구 자료와 현장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기후최적기 잔존종을 선정하고 이들의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화분층위학과 고생태학적 연구 자료를 근거하여 본 가설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히어리, 소사나무, 노각나무와 같은 홀로세 기후최적기 잔존종은 기후최적기 동안에 북쪽으로 이주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남극반도 서 대륙붕의 빙해양 퇴적물의 규조군집 특성과 고해양 변화 (Diatom Assemblages and its Paleoceanography of the Holocene Glaciomarine Sediments from the Western Antarctic Peninsula shelf, Antarctica)

  • 신유나;김예동;강천윤;윤호일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6권3호
    • /
    • pp.152-163
    • /
    • 2001
  • 남극반도 서 대륙붕의 흘로세 빙해양 퇴적작용과 고해양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 서 대륙붕에서 얻은 두 개의 코어퇴적물에 대하여 C-14 연대측정, 퇴적학 및 지화학 특성과 규조군집 특성을 조사했다. 분석 결과, 코어는 크게 세 개의 퇴적상으로 구분되었다. 코어 최하부는 사질과 각력이 많고, 분급이 불량한 다이아믹튼으로 구성된다. 이 퇴적상이 유기물과 규조각이 적고, 사질함량과 평균 입도의 변화가 큰 것으로 보아 빙붕 밑에 발달한 기저쇄설층으로부터 역의공급을 받아 퇴적된 다이아믹튼으로 해석된다. AMS C-14분석 결과 이 퇴적상은 11,000 yrs BP전 까지 빙붕 아래에서 퇴적되었으며, 특히 11,500${\sim}$12,700 yrs BP동안에 기온의 하강으로 빙하가 다시 진출함에 따라 유기물이 급격히 감소하고, 접빙종의 산출이 급증한 것으로 보인다. 시기적으로 이 기간은 북대서양 일원에서 일어났던 영거드라이아스 냉각기와 잘 대비된다. 다이아믹튼 바로 위에 나타나는 규조질 이토가 유기물과 규조각이 최대이며, 접빙종의 산출이 최소인 점으로 보아, 이 퇴적상은 원양환경에서 일차생산력의 증가로 형성된 많은 양의 유기물이 해저로 공급된 결과로 보인다. AMS C-14분석 결과, 유기탄소 함량이 최대이고, C. resting spore의 산출빈도가 최대인 구간의 퇴적시기는 9,000${\sim}$2,500 yrs BP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이 시기는 흘로세 중기에 오늘날보다 더 따뜻했던 고열기와 잘 일치한다. 코어 최상부의 규조질 사질 이토가 아래의 규조질 이토에 비해 접빙종의 산출과 사질함량이 많은 것은 빙하 진출로 인해 육상기원 물질의 공급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AMS C-14분석 결과 상부 퇴적상의 퇴적시기는 2,500yrs BP경으로 나타났으며, 이 시기는 남극반도 지역에서 홀로세 말에 있었던 신빙하기(neoglacial)의 출발과 일치한다. 남극반도서 대륙붕에서 얻은 이상의 연구 결과는 향후 남반구에서 흘로세 동안에 일어났던 천년단위의 고기후 변화와 그에 따른 고해양 변화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