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engseong Reservoir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초

횡성호 수질모의를 위한 QUAL2E 모형의 적용 (Application of QUAL2E Model for Water Quality Simulation of Hoengseong Lake)

  • 김상호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651-660
    • /
    • 2009
  • Detailed flow analysis in river is essential to increase the accuracy of water quality simulation since flow variation depends on many factors such as cross sections, channel slopes, and bed materials. In the QUAL2E stream water quality simulation model, the hydraulic coefficients are assigned to the reach that is collection of computational element using the hydraulic coefficient. This study developed a module that can incorporate the results of non-uniform flow analysis and assign such information to each individual element. Model application focused on the upstream of the Hoengseong reservoir including the reservoir where significant flow change is expected. Comparing with original QUAL2E model the developed module improved the result of water quality simulation without considering the relation of flow velocity and flow depth in terms of flow rates.

강원도 섬강 (횡성호) 유역의 하천생태계 조사 (A Survey of Ecosystem Structure in the Watershed of the Seom River and Hoengseong Reservoir, Kangwon Province, Korea)

  • 신재기;김영성;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49권2호
    • /
    • pp.130-141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structure of river ecosystem in the watershed of the Seom River and Hoengseong Reservoir located in Hoengseong of Kangwon Province from February to October 2007. Topics of the survey were mainly rainfall, discharge, water quality in abiotic factors and attached algae, benthic macroinvertebrates, fish, birds and mammals of flora and fauna in a biotic factors, respectively. Specifically, the Seom River could be seen as a typical flow rate of the stream is controlled to the effect of the dam. Basic water qualities were great to seasonal effects, it was relatively clean. Diatom Achnanthes, Cymbella, Gomphonema, and Navicula were distributed predominantly in the periphytic algae. Benthic macroinvertebrates were mostly aquatic insects and freshwater shellfish, the aquatic insects were abundant Ephemeroptera and Trichoptera. Freshwater fish was the dominant Zacco platypus, fish species varied toward the downstream. Birds were mainly observed in four species, and species Egretta garzetta, which was distributed in a wide area of the Seom River. In mammals, Lutra lutra of Mustelidae was identified that the number of inhabit widely. In aspects of the ecological trophic level, the Seom River was maintained at a relatively stable state in the producer and the consumer relation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useful data for understanding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lotic and lentic ecosystems.

우리나라 다목적댐 인공호들의 규모에 따른 연별.계절별 수질변이 및 상.하류간 종적구배 특성 (Interannual and Seasonal Variations of Water Quality in Terms of Size Dimension on Multi-Purpose Korean Dam Reservoirs Along with the Characteristics of Longitudinal Gradients)

  • 한정호;이지연;안광국
    • 생태와환경
    • /
    • 제43권2호
    • /
    • pp.319-337
    • /
    • 2010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인공호들에서 연별 계절별 수질변이 특성 및 상 하류 간 수질의 종적구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03~2007년의 자료(물환경정보시스템)의 월별, 연별, 공간별(유수대, 전이대, 정수대)의 수질자료를 비교 평가하였다. 10개의 물리적, 화학적, 생물적 수질 변수를 이용하였으며, 인공호들의 일반 수질 특성, 수리수문학적 수질 특성, 시간적 수질변이 특성, 공간적 수질 변이 특성을 분석하였다. 저수면적, 유역면적, 유입량, 방류량을 기준으로 9개의 인공호에 대하여 유사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대형인공호(충주호, 대청호, 소양호), 중형인공호(안동호, 용담호, 주암호, 합천호), 소형인공호(횡성호, 부안호)로 크게 3개 그룹으로 나누어졌고, 유역 크기별로 비슷한 수질 양상을 나타냈다. 홍수의 해(2003년)와 가뭄의 해(2005년)로 대별하여 수질 자료를 분석한 결과, pH, DO, BOD, SS, TN, TP, CHL, EC는 Rz에서 Lz으로 갈수록 값이 감소하였고, SD는 LZ으로 갈수록 값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인공호내의 영양물질과 부유물질의 침강작용 및 광제한으로 인한 CHL의 감소가 SD 값의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되었다. 각 지점별 pH, DO, SS, SD, EC는 가뭄의 해인 2005년에 컸고, BOD, COD, TN, TP, CHL은 홍수의 해인 2003년에 높게 나타났다. 공간적인 수질분포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9개 인공호의 Rz, Tz, Lz에서의 TN, TP, CHL, SD의 수치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TN, TP, CHL은 Rz에서 Lz으로 갈수록 침강작용에 의해 그 값이 감소하였고, SD는 반대 양상을 보였다. TN과 TP 사이에서 상관 관계를 분석한 결과, 두 수질 변수 사이의 상관성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 인공호의 CHL-SD 모델에서 Rz, Lz의 경우를 제외하고, TP-CHL, CHL-SD는 유의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TP-CHL의 상관관계는 중형인공호의 Rz ($R^2$=0.2401, p<0.0001, N=239)에서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CHL-SD의 상관관계에서도 중형인공호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TP-CHL의 상관관계와는 반대되는 역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대청호, 안동호, 횡성호를 Rz, Tz, Lz에서 수질자료를 분석한 결과, 대청호에서 수질자료의 값이 구간별로 큰 변이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대청호가 대형인공호로서 구간 간 거리가 멀고, 수심이 깊어 Rz, Tz, Lz의 구간 간 특성이 뚜렷하게 구분된 것으로 사료되었다.

국내 6개 다목적댐 저수지의 담수 전·후 수질 비교평가 (Water Quality Assessment for pre and post-Impoundment of 6 Multipurpose Dam Reservoirs in Korea)

  • 박재충;신재기;송영일;정용문;송상진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1호
    • /
    • pp.89-96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s the variations of water quality caused by the dam construction on the river. Six dams-Yongdam, Miryang, Hoengseong, Boryeong, Jangheung and Buan- constructed recently in Korea were selected for the study. Chemical oxygen demand(COD) was increased in the initial stage of water storage at dams compared to the lotic(river) environment, but after 3 years it was maintained lower and stabilized concentrations. Five dams except for Jangheung Dam were maintained Ia~Ib grade conditions under the water quality criteria of Korea. The concentrations of total nitrogen(T-N) were decreased under the lentic(reservoir) environment compared to the river status. Total phosphorus(T-P) was decreased 13~63% at the reservoir condition. We concluded that increase of COD concentration was due to the debris organic materials of the land, but temporary phenomenon. T-N and T-P concentrations were decreased at the lentic condition compared to the lotic.

포획도구에 따른 횡성호내 어류채집 효과분석 (Sampling Effects on Fishing Gears in the Hoengseong Resevoir)

  • 장영수;이광열;최준길;서진원;최재석
    • 생태와환경
    • /
    • 제39권2호통권116호
    • /
    • pp.245-256
    • /
    • 2006
  • 삼각망(fyke net)과 삼중자망(trammel net)의 망목을 달리하여 횡성호에서 2005년 4월부터 10월까지의 기간에 포획된 어류는 총 8과 22종 8,626개체였고, 생체량은 122.9kg이었다. 이중 삼각망에서 8과 21종 8,168개체가 출현하였고 생체량은 96.6kg이었고, 삼중자망에서 6과16종 458개체였고 생체량은 26.3kg이었다 분석결과 삼중자망이 삼각망에 비하여 출현종, 개체수, 그리고 생체량 모두 현저하게 낮았다. 한편 출현종의 수는 망목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망목이 작은 삼각망은 작은 치어부터 대형어류까지 모두 채집할 수 있어 그 지역의 세부적인 어류상을 정성적으로 분석하는데 알맞을 것으로 보이고 삼충자망은 적절한 크기의 망목을 사용할 경우 조사지역의 출현종을 파악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요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한강수계 댐 연계 운영 최적화 (Optimization of Multi-reservoir Operation considering Water Demand Uncertainty in the Han River Basin)

  • 정건희;류관형;김중훈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89-102
    • /
    • 2010
  • 미래의 기후조건과 생활패턴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미래용수수요 또한 불확실성을 가지며, 이는 충분한 용수공급을 목적으로 하는 댐 운영에 어려움을 초래한다. 따라서 가용 수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충분한 용수분배를 하는 동시에, 홍수와 가뭄에 대한 대비까지 가능한 댐의 운영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미래의 불확실한 용수수요량을 정확히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저수지의 운영을 통한 저류량을 1단계에서 결정하고, 2단계에서 용수수요에 따른 용수공급량과 하천유지유량을 결정하기 위한 최적화 모형을 2단계 추계학적 선형계획법을 이용하여 구축하고, 목표저류량과 실제 저류량의 차이, 용수공급과 하천유지유량의 부족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저수지 운영 규칙을 최적화하였다. 또한 가뭄시 보다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저수지 운영을 위해 댐저류량에 따라 댐 계획방류량을 일정비율 줄여주는 Hedging Rule을 사용하여 모형의 적절성과 적용성을 향상시켰다. 제안된 모형은 한강수계의 댐들 중 다목적댐인 충주, 횡성, 소양강 댐과 용수전용댐인 광동 댐, 그리고 발전용 댐이지만 비교적 큰 저류용량을 가진 화천 댐을 연계 운영 대상으로 하여, 미래 용수수요량 시나리오를 고려한 최적화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든 시나리오에서 생공용수, 농업용수, 하천유지용수 공급량을 대부분 만족시킬 수 있었고, 댐의 저류량 역시 갈수기 용수공급에 대비하여 홍수기인 6월 말에서 9월 중순에 저류량을 확보하면서도 홍수피해저감까지 고려하는 운영이 가능하였다. 이는 다목적 댐들의 연계운영을 위한 저수지 운영규칙결정에 매우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강원도 횡성지성 백로의 소장 흡충류 감염상태 (Trematode infections in the small intestine of Egretta alba modesta in Kangwon-do)

  • 양용석;안영겸;윤무부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9권3호
    • /
    • pp.227-234
    • /
    • 1991
  • 1990연 6월부터 9월 사이에 강원도 횡성군의 백로 서식지에서 12마리의 중대백로를 포획하여 소장 내의 흡충류 감염 상태를 조사하고 아울러 검출된 흡충의 형태 특징을 관찰하여 종을 분류한 결과 5종의 흡충 Metagonimus sp. (67%), Centrocestus armntus(67%), Echinochasmus japonicus(50%), Strigea falconis(83%)와 Diplostomidae요(33%) 감염이 분류동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중대백로는 인수공통기생충의 보유숙주로서 중요한 인체 기생충의 매개조류임을 알 수 있었다. Key words: Metagonimus sp., Centrocestus armatus, Echinochasmus iaponicus, Strigea falconis, Diplostomidae, Egrets, Hoengseong-gun (Kangwon Province)

  • PDF

물 부족량 공급 운영 방식에 의한 다목적댐 물 공급의 안정성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Water Supply for a Multi-purpose Dam by Deficit-Supply Operation)

  • 이동률;문장원;최시중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7권2호
    • /
    • pp.195-20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물 부족량 공급 운영 방식(deficit-supply)에 의해 다목적댐을 모의 운영하고 그 결과 얻어진 저수량을 기반으로 댐별 물공급의 안정성을 평가할 수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을 16개 다목적댐에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를 통해 댐별 물 공급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소양강댐, 충주댐, 횡성댐, 안동댐, 임하댐 및 합천댐의 안정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섬진강댐과 부안댐의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부안댐은 신뢰도, 회복도, 취약도에 있어 가장 낮은 수준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고 있어 물 공급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