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story of social welfare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22초

지역사회기반 참여와 사회생태적 관점에서 본 국내 쪽방지역 주민의 건강증진 역량강화 방안 (Trends and implications of Jjok-Bang research in South Korea based on the perspective of Community-Based Participation and the Social Ecological Model)

  • 김진성;허현희;정혜주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79-92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rends of jjok-bang research based on the perspective of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and Social Ecological Model and to provide information for future public health interventions, policy designs, and policy implementations. Methods: Studies used in the systematic review are published from 1999 to 2014 and searched using key words such as 'jjok-bang' and 'single room occupancy' us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electronic databases. However, there were no studies from abroad published during this period. Search in domestic databases such as KCI, KISS, RISS generated 119 studies. In this paper, 20 cases which meet the criteria of the systematic review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Results: The contents of research included are the life of jjok-bang inhabitants(9 cases), the demand for welfare services(4 cases) and welfare need(2 cases), mental health(1 cases), and the history of jjok-bang formation(4 cases). Fourteen cases of empirical study were analyzed focusing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and Social Ecological Model. Some of research was carried out forming a partnership with various community partners and this trend increased since 2008. There are high frequency of intrapersonal level and interpersonal level studies. However, studies looking at the organization, community or policy level were relatively few. Conclusions: Future studies of jjok-bang area should consider the various social determinants which affect the health delivery system, community organization and policies, as well as individual or community level.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의 서비스 연계실태 및 연계관련 요인 (A Study of Influencing Factors on Linking Services among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 박미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1권
    • /
    • pp.63-91
    • /
    • 2002
  • 본 연구는 정신보건기관에 근무하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 170명을 대상으로 서비스 연계실태 및 연계관련요인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첫째로 연계정도는 정보교환과 클라이언트 의뢰에서 높았으며, 자금동원과 공동협의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기관유형별로는 정신의료기관과 정신보건센터 및 사회복귀시설에서 일하는 사회복지사들의 연계가 가장 빈번하였다. 또한 접촉은 전화로, 연계경로는 기관 홍보물과 친분에 의해, 접촉대상은 일선 담당자인 경우가 많았다. 둘째,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연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고, 그 주요 이유를 클라이언트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제공이라고 하였다. 또한 연계활성화를 위해서는 정보체계의 구축 및 연계대상기관의 확대, 기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셋째, 개인요인과 조직요인에 따른 연계의 차이에서는 여성보다 남성이, 학력이 높을수록, 관리자급인 경우, 정신보건경력이 높을수록, 자격증이 있는 경우(이상 개인요인), 그리고 소재지가 농어촌이고, 사회복귀시설과 정신보건센터인 경우, 주요대상이 만성 정신장애인인 경우(기관요인)에 연계가 높았다. 넷째, 연계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개인요인으로 정신보건경력 및 현 기관경력, 학력이, 그리고 조직요인으로 기관소재지 및 기관유형, 기관연도가 의미 있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정신보건서비스 연계를 위한 공식적 협의체 및 정보망을 마련하고, 연계를 정신보건 사회복지사의 공식업무로 인정하며, 나아가 연계내용과 대상을 확대할 뿐 아니라, 정부지원 하에 시범적 연계사업을 계획하는 방안을 강구할 것을 제안하였다.

  • PDF

'실존적 자기조절(existential self-regulation)' 측면에서 본 여성노인도박자의 삶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Elderly Female Gamblers' Life History: On the Aspect of Existential Self-regulation)

  • 상종열;차명희
    • 한국노년학
    • /
    • 제38권3호
    • /
    • pp.607-625
    • /
    • 2018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근현대사를 관통하는 삶을 살아온 70대 중반의 여성도박자의 이야기이다. 구술을 바탕으로 해석한 자기이해의 삶의 이야기(life story)를 통해 그녀를 이해하고 도박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찾아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실존적 자기조절'이라는 개념을 제시하였으며 내러티브적 인터뷰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 된 자료는 맨델바움(Mandelbaum)이 제시한 삶의 영역, 전환, 적응이라는 분석틀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자의 자기서사(self narrative)는 '정신적 결핍을 돈과 자녀교육으로 충족하고자 함', '정신적 결핍을 도박으로 해소하고자 함', '정신적 결핍에서 자유로워짐'으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도박이 가지는 의미는 실존적 공허를 달래주는 위안거리, 삶을 피폐하게 만드는 걱정거리, 일상의 무료함을 달래주는 소일거리로 변형되었다. '실존적 자기이해를 통해 도박충동을 조절하는 생애 사건은 두 번째와 세 번째 단계에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여성노인도박자를 위한 자서전 쓰기나 성찰 프로그램의 도입을 제시하였다.

여섯 번의 수감 생활을 한 여성 노인의 생애사 재구성 (Study of Life History of Elderly Women who had Six Times of Imprisonment)

  • 양은숙;이동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210-226
    • /
    • 2018
  • 본 연구는 생애 통상 여섯 번의 수감 생활과 삼청 교육대 입소 경험이 있는 한 여성 노인의 삶을 생애사적 관점으로 살펴보았다. 생애사 텍스트는 만델바움(Mandelbaum, 1973)이 제시한 삶의 영역, 전환점, 적응의 순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삶의 영역은 보조 공원시절의 노동 착취, 미군 전용 클럽에서의 호스티스 생활, 교도소 수감생활, 삼청 교육대 경험, 장애인 남성과의 결혼 생활, 농업 노동자의 생활로 나타났다. 삶의 전환점은 보조 공원 겸 가사 도우미 취업, 교도소 입소, 생계를 위한 호스티스의 삶, 국가 폭력에 의한 삼청 교육대 입소, 장애인 남성과의 결혼과 이혼, 농업 노동자로서의 사회복지 서비스 거부로 나타났다. 적응 전략은 보조 공원 시절의 철저한 순응, 소년 교도소 시절의 과장된 위약적 행동, 호스티스 집창촌 성매매 여성으로서의 돈 버는 기계, 장애인 남성과의 결혼 후 현모양처로서의 적응, 자영업자와 농업 노동자의 저항적 적응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들은 연구결과에 의해 사회적 낙인과 함께 여성 수용 경험자들의 트라우마에 대해 논의를 하였고 여성 출소자의 사회 재적응을 도울 수 있는 상담심리차원의 제언을 하였다.

황혼이혼 여성노인들에 대한 생애사 연구 (A life history study on the elderly women who have divorced)

  • 김소진
    • 한국노년학
    • /
    • 제29권3호
    • /
    • pp.1087-1105
    • /
    • 2009
  • 본 연구는 황혼이혼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황혼이혼을 한 여성노인들의 이혼결정과 이혼 이후의 적응과정 및 내용을 살펴보고, 황혼이혼 여성 노인들의 구체적 삶에 대한 이해의 기반을 조성해 그들의 적응을 도울 수 있는 실천적 개입 프로그램 마련에 기여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론들 중 하나 인 생애사 연구로 접근했다. 연구에는 3명의 황혼이혼여성 노인들이 참여했고 일대일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했다. 수집된 자료는 Denzin(1989)이 제시한 분석방법을 원용하여 범주적 내용분석을 했다. 연구결과에서는 참여자들의 이혼 전·후의 주요 생애주제와 이혼 이후의 삶 적응을 분석하여 공통의 주제를 발견했는데 그것은 '문화체계로 굳어진 가부장제'와 '편견과 억압속의 분절된 삶'이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황혼이혼 여성노인들을 위한 자조모임과 특화된 개입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미취학아동 어머니의 모자보건관련 특성, 양육부담감, 사회적지지에 대한 사회계층별 비교 (Comparison of Maternal Health Related Characteristics, Child Rearing Burden, and Social Support in Mothers of Preschoolers - According to Socioeconomic Status -)

  • 방경숙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3권4호
    • /
    • pp.390-398
    • /
    • 2007
  • Purpose: This comparative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differences in maternal health related characteristics, child rearing burden, and social support depending on economic status. Method: Using home visits, data were collected from 100 poverty stricken mothers, 51 in the extremely poor group and 49 in the low income group, and 200 mothers of a general group being seen in one public health center. The instrument used for this study was a self-report questionnaire to identify maternal health variables including child rearing burden and social support. Results: Parent's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and primary caregive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ocioeconomic status. Poverty stricken groups showed poor rates for prenatal checkups, lower Fe supplementation, and more artificial abortions and history of cesarean section. Continuing breast feeding as planned was significantly lower for mothers with low economic status. Present health problems of the mother, child-rearing burden, and social suppor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pecial attention and interventions for the poverty stricken groups is important to improve maternal and child health status.

  • PDF

노인자살의 이해와 일차적 예방 (Sociological Understandings of Elderly Suicide and Its Primary Prevention)

  • 김형수
    • 한국인구학
    • /
    • 제23권2호
    • /
    • pp.167-187
    • /
    • 2000
  • 우리사회에서 노인 자살자의 수와 자살율이 지난 십 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한국 노인들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들(경제적 불안정, 조기퇴직, 건강악화, 가족부양체계의 약화, 정서적 고립 등)의 심각성을 시사하고 있다. 하지만 노인자살에 관한 국내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노인자살현상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통하여 자살의 배후에 있는 노인문제 혹은 생활조건을 확인하여 노인복지 차원에서 일차적 예방 대책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자살위험이 높은 특정 노인인구집단을 중심으로 자살예방 대책이 조속히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우리 나라 노인문제의 구조적 상황과 노인자살과의 관련성을 사회학적 시각(교환이론과 사회통합이론)으로 조망해 본 후 이를 기초로 노인자살을 유도하는 노인생활의 조건을 개선할 수 있는 노인복지과제를 제시하여 한국노인의 자살율 증가를 예방하고자 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 PDF

아동기 가정폭력 경험에 대한 생애사 연구 (A Life History on the Childhood Experience of Domestic Violence The Effects of Children's and Fathers' Perceptions of the Fathering Practice on Children's Sociality)

  • 홍기순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6권3호
    • /
    • pp.149-168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and understanding of children's exposure to domestic violence in Korean society. In-depth personal interview was conducted by a researcher on individual experience of domestic violence in childhood. The findings of this qualitativ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 person who experienced domestic violence in childhood is likely to feel powerless, and think of himself/herself worthless. 2) He/She needs to have sufficient social support and protective networks. 3) A person who experienced parental violence in childhood is to suffer from people's negative behaviors such as social prejudice, preconception, and discrimination. 4) He/She is worried about the cycle of violence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5) It is necessary for him/her to overcome his/her negative emotions acquired by the experience of domestic violence in childhood to have a constructive goal for the future.

Barriers to Employment Among Low-Income Mothers in Rural United States Communities

  • Son, Seo-Hee;Dyk, Patricia Hyjer;Bauer, Jean W.;Katras, Mary Jo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12권1호
    • /
    • pp.37-49
    • /
    • 2011
  • This article addresses potential barriers to sustained employment for rural low-income mothers. Drawing from a two panel longitudinal sample of 240 families from the Rural Families Speak project, it examines the extent to which human capital and family factors were related to these mothers' ability to be employed. Comparisons are made between mothers, who over a three-year period, were continuously unemployed, intermittently employed, or stably employed. Many of these rural low-income mothers faced multiple individual and family barriers that impacted their labor force participation. Notably food insecurity, mental health, caring for a young child, housing, and a family history of welfare were associated with less stable employment. The implications for public policy and service delivery are discussed.

ESG투자를 통한 최적자산배분과 후생개선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Optimal Asset Allocation and Welfare Improvemant Factors through ESG Investment)

  • 현상균;이정석;이준희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71-184
    • /
    • 2023
  • Purpose: First, this paper suggests an alternative approach to find optimal portfolio (stocks, bonds and ESG stocks) under the maximizing utility of investors. Second, we include ESG stocks in our optimal portfolio, and compare improvement of welfares in the case with and without ESG stocks in portfolio. Methods: Our main method of analysis follows Brennan et al(2002), designed under the continuous time framework. We assume that the dynamics of stock price follow the Geometric Brownian Motion (GBM) while the short rate have the Vasicek model. For the utility function of investors, we use the Power Utility Function, which commonly used in financial studies. The optimal portfolio and welfares are derived in the partial equilibrium. The parameters are estimated by using Kalman filter and ordinary least square method. Results: During the overall analysis period, the portfolio including ESG, did not show clear welfare improvement. In 2017, it has slightly exceeded this benchmark 1, showing the possibility of improvement, but the ESG stocks we selected have not strongly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welfare improvement results. This paper show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optimal asset allocation and welfare improvement were different each other. We also found that the proportion of optimal asset allocation was affected by factors such as asset return, volatility, and inverse correlation between stocks and bonds, similar to traditional financial theory. Conclusion: The portfolio with ESG investment did not show significant results in welfare improvement is due to that 1) the KRX ESG Leaders 150 selected in our study is an index based on ESG integrated scores, which are designed to affect stability rather than profitability. And 2) Korea has a short history of ESG investment. During the limited analysis period, the performance of stock-related assets was inferior to bond assets at the time of the interest rate dr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