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Life History on the Childhood Experience of Domestic Violence The Effects of Children's and Fathers' Perceptions of the Fathering Practice on Children's Sociality

아동기 가정폭력 경험에 대한 생애사 연구

  • 홍기순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and understanding of children's exposure to domestic violence in Korean society. In-depth personal interview was conducted by a researcher on individual experience of domestic violence in childhood. The findings of this qualitativ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 person who experienced domestic violence in childhood is likely to feel powerless, and think of himself/herself worthless. 2) He/She needs to have sufficient social support and protective networks. 3) A person who experienced parental violence in childhood is to suffer from people's negative behaviors such as social prejudice, preconception, and discrimination. 4) He/She is worried about the cycle of violence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5) It is necessary for him/her to overcome his/her negative emotions acquired by the experience of domestic violence in childhood to have a constructive goal for the future.

Keywords

References

  1. 강현철.이주일(2004). 인권용어 해설집. 서울: 한국법제연구원
  2. 고미선(2004). 아동기 가정폭력의 경험이 부부 간의 폭력에 대한 태도와 행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공계순 등(2006). 아동복지론. 서울: 학지사
  4. 기독교대백과사전(1996). 서울: 기독교문사
  5. 김경호(2003). 가정폭력 경험이 남자 범죄 청소년의 남성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0(2), 47-71
  6. 김경호.김현옥(2007). 아동학대 잠재위험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요인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중재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2(2), 171-192
  7. 김경희(1998). 폭력가정 청소년의 가족폭력 경험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28(1), 70-80
  8. 김세원(2003). 사회적 지지가 학대경험 아동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예성.김득성(2006). 가정폭력의 세대간 전달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4(6), 141-153
  10. 김재엽(2001). 부부폭력과 아동학대. 연세사회복지연구, 제6-7권, 1-32
  11. 김재엽.최지현(2005). 여대생의 아동학대경험이 정신건강 및 사회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0(2), 27-47
  12. 김정옥.유도희(1997). 부부폭력과 아동의 신체적, 정서적 학대와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5(3), 205-220
  13. 김종두(2000). 하이데거에 있어서 존재와 현존재. 서울: 서광사
  14. 김주현(2006). 가정폭력 피해여성이 폭력에서 벗어나는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김준호.김선애(1997). 아동학대의 실태 및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제26호, 123-143
  16. 김형모 등(2007). 가정폭력 노출이 청소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18(1), 53-77
  17. 나은숙.정익중(2007). 아동학대 유형별 우울성향, 자기효능감, 학업성취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8(4), 35-49
  18. 노충래(2002). 아동 및 가해자의 특성에 따른 아동학대의 심각성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13호, 123-154
  19. 두산대백과사전(2002). 서울: 두산동아
  20. 문선화(2005). 아동학대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패러다임 개발. 사회복지연구, 14, 29-54
  21. 박경(2005). 청소년의 아동기 학대경험과 자살사고 간의 관계에서 문제해결과 사회적 지지의 중재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2(2), 131-147
  22. 박애경(2006). 가정폭력의 실태와 극복방안에 관한 연구: 아내에 대한 폭력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박현선 등(2004). 아동학대 가해부모를 위한 치료프로그램 개발. 아동권리연구, 8(4), 649-670
  24. 보건복지부.중앙아동학대예방센터(2002). 2001년 전국아동학대현황보고서
  25. 서경현.최수동.김익현(2007).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가정폭력이 대학생의 연인관계와 데이트 폭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1), 153-170
  26. 신경림(2003). 현상학적 연구의 이론과 실제. 간호학 탐구, 12(1), 49-68
  27. 신민섭.오경자.홍강의.김혜숙(2004). 가정폭력이 배우자 및 자녀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3(3), 611-636
  28. 신혜섭.송미연(2006). 부적응행동과 가정폭력 경험이 청소년 초기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1(1), 23-38
  29. 유철인(1998). 생애사 연구방법: 자료의 수집과 텍스트의 해석. 간호학탐구, 7(1), 186-195
  30. 윤혜미(1997). 아동의 학대 및 방임 경험이 아동의 부모자녀관계 지각과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제5호, 95-120
  31. 이만영.김수연(1995). 생애사(life story) 해석에 대한 경험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14(1), 85-116
  32. 이상준(2006). 가정폭력 경험 청소년의 심리적 요인과 학업적 탄력성. 청소년학연구, 13(1), 137-163
  33. 이재연.윤선화(2004). 아동학대예방을 위한 부모교육탐색. 아동권리연구, 8(2), 235-250
  34. 이혜경(2007).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사회적 지지 및 임파워먼트와 심리사회적 적응.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5. 임효진(2006). 빈곤 조손가정의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대처행동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장덕희(2004). 가정폭력 경험 특성이 자녀의 정서적, 행동적, 사회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1(3), 65-91
  37. 장덕희(2001). 가정폭력 경험 자녀의 적응을 위한 사회복지실천 개입 방안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8. 장수미(2007). 가정폭력상담기관과 알코올치료기관 남성클라이언트의 폭력행동 및 음주 특성. 한국가족복지학, 제20권, 191-222
  39. 조미숙(1999). 가정폭력 목격이 자녀의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제4호, 295-326
  40. 조용환(1999). 질적연구. 방법과 사례. 서울: 교육과학사
  41. 조춘범(2006). 청소년의 가정폭력 경험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3(5-2), 1-52
  42. 최인영.김효근(2007). 의무적 지식 올리기에서 지식 나눔으로: 1사 조직 구성원들의 학습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이해. 경영학 연구, 36(3), 623-655
  43. 한경혜(2004). 생애사 연구를 통한 노년기 삶의 이해. 노년학연구, 24(4), 87-106
  44. 황은수.성영혜(2006). 아동의 학대경험이 자기인식정서와 거절민감성에 미치는 영향. 놀이치료연구, 9(3), 67-84
  45. Allen, J. G.(1995). Coping with trauma: a guide to self-understanding. Washington D. C.: American Psychiatric Press
  46. Bowlby, J.(1980). Attachment and loss, Vol. 3, loss: sadness and depression. New York: Basic Books; Harmondsworth; Penguin Books
  47. Burgess, R. L.(1979). Project interact: a study of patterns of interaction in abusive, neglectful and control families. Child Abuse and Neglect, 3, 781-791 https://doi.org/10.1016/0145-2134(79)90111-X
  48. Creswell, J. W.(2005).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조흥식.정선욱.김진숙.권지성 역(2006). 질적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전통. 서울: 학지사
  49. Dodge, K. A. & Petitit, G. S. & Bates, J. E. & Valente, E.(1995).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patterns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early physical abuse on later conduct problem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4, 632-643 https://doi.org/10.1037/0021-843X.104.4.632
  50. Dollard, J. L.(1998). Frustration and aggression. London: Routledge
  51. Durkheim, E.(1952). Suicide: a study in sociology. Spaulding, J. A. & Simpson, G. (Trans.). London: Routledge and Kegan Paul
  52. Faller, K. C.(1997). Child abuse: a form of family violence. 한국아동복지학회 제8회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150-173
  53. Faller, K. C. & Ziefert, M.(1981). Causes of child abuse and neglect. In Faller, K. C.(Ed.). Social work with abused and neglected children. N.Y.: The Free Press
  54. Fantuzzo & Fusco, J. & Rachel(2007). Domestic violence and children's presence: a population-based study of law enforcement surveillance of domestic violence. Journal of Family Violence, Vol. 22, Issue 10, 331-340 https://doi.org/10.1007/s10896-007-9080-4
  55. Finkelhor, D.(1979). Sexually victimized children. N.Y.: The Free Press
  56. Gibb, B. E. & Alloy, L. B. & Abraham, L. Y. & Rose, D. T. & Whitehouse, W. G. & Donovan, P. & Hogan, M. E. & Cronholm, J. & Tierney, S.(2001). History of Children Maltreatment, Negative Cognitive Style and Episodes of Depression in Adulthood.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25, 425-446 https://doi.org/10.1023/A:1005586519986
  57. Goode, W. J.(1971). The family in New Jersey.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3(3), 624-636 https://doi.org/10.2307/349435
  58. Spilsburry & Belliston, J. & Lara(2007). Clinically significant trauma symptoms and behavioral problems in a community-based sample of children exposed to domestic violence. Journal of Family Violence, Vol. 22, Issue 13, 487-499 https://doi.org/10.1007/s10896-007-9113-z
  59. Straus, M. A.(1973). 김병주 역(2002). 한국의 가정폭력-실상과 국가 개입. 서울: 백산자료원
  60. Straus, M. A.(1990). Measuring inter family conflict and violence: The conflict tactic(CT) scale. In Straus, M. A. and Gells, R. J.(Eds.). Physical violence in American families, 29-47. New Brunswick, N.J.: Transition Publishing
  61. Suransky, V. P.(1992). The Erosion of Childhood. 윤종희.이재연 역(2004). 아동기의 실종. 서울: 교보문고
  62. Van Manen, M.(1990).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Human science for an action sensitive pedagog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신경림.안규남 역(1994). 체험연구: 해석학적 현상학의 인간과학 연구. 서울: 동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