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storical figures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25초

인물사: 의학사 교육을 통한 의학전문직업성 함양의 한 가지 방법 (History in Lives: A Way of Cultivating Medical Professionalism through Medical History Education)

  • 박승만;김평만
    • 의학교육논단
    • /
    • 제24권1호
    • /
    • pp.63-71
    • /
    • 2022
  • How can the history of medicine be used to cultivate medical professionalism? This study presents education using the lives of historical figures as a method based on the teaching experience of the course "Leadership of the Healers" for first-year students at the College of Medicine of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Existing methods, represented by the Osler method, have several limitations: first, they limit the subject of the history of medicine to certain established doctors; second, they describe medical history as a continuum of progress; and third, they present abstract virtues without context, making it difficult to apply what has been learned to specific situations. These limitations are why the lives of historical figures have not been used actively in medical education in recent years. However, education using the lives of historical figures also has clear advantages, such as the power to vividly convey the various elements of medical professionalism. This study proposes an alternative metho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method can be summarized in two ways. First, it emphasizes the specific context surrounding historical figures and the choices made in specific historical circumstances, rather than presenting abstract virtues outside of the historical context, making students ponder the reality they face and the choices they make. Second, it reveals both the hidden actors and the bright and dark areas of history by selecting diverse multi-dimensional figures.

양성평등 관점에 기초한 초등학교 교과서 삽화 분석 (An Analysis of Illustrations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based on The Gender Equality View-point)

  • 권치순;김경희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4-27
    • /
    • 2008
  • This study examined the illustrations in th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which was followed by identifying the parts that displayed gender-discriminating elements or traditional gender rol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atio of man and woman in the figures appearing in those illustrations was 1.33:1, which means there were more men than women in the illustrations and that there was no balance in the gender distribution among the figures. 2) Male figures were presented as the protagonists in 39.7% of the illustrations, female figures in 25.5%, and both male and female figures in 34.8%.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were much more illustrations in which men were the protagonists than those in which women were. 3) The occupations of the adults in the illustrations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ratio of man and woman with a job was about 2:1, which implies that there were twice as many male professionals than female ones. Men had over 60 kinds of occupations and women had only 45 kinds of occupations with 59.5% of them concentrated in four jobs including teaching, farming and fishing, doing artistic works, and selling things. 4) The case analysis results of the illustrations in the textbooks demonstrate that the traditional gender roles of a father and mother were followed and that there were gender stereotypes in describing the characteristics of man and woman. Gender dichotomy was observed in the vocations. Men were the leading players in economic, political, and cultural activities, and most of the historical figures were men. Meanwhile, women were depicted as the subjects of economic activities and completely isolated and alienated from political, historical, and cultural activities. It turned out that the figures of the illustrations in the current elementary school textbooks had gender discriminating elements and profoundly reflected the stereotypes for gender roles.

  • PDF

『전경(典經)』의 기사(記事)를 통해 살펴본 대순사상의 특징에 관한 연구 - 『전경』 속 인물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Daesoon Thought as Seen through the Articles in The Canonical Scripture: Focusing on Historical Figures)

  • 박건우
    • 대순사상논총
    • /
    • 제47집
    • /
    • pp.105-138
    • /
    • 2023
  • 본 연구는 대순진리회의 경전인 전경(典經)을 중심으로 전경에 나타난 다양한 인물의 대순사상적 의의와 그 내용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경은 상제의 말씀에 대해서 그 신앙과 행위를 기록한 것으로, 전경의 말씀을 따른 종도의 기억을 통해 구성되었다. 즉, 전경은 상제의 종교적 행위와 가르침을 담고 있는 대순진리회의 경전으로 이해된다. 이는 「행록(行錄)」, 「공사(公事)」, 「교운(敎運), 교법(敎法)」, 「권지(權智)」, 「제생(濟生)」, 「예시(豫示)」 등 총 7편 17장으로 나뉘어 있다. 특히, 상제의 일생을 담은 행록과 교운 및 교법 그리고 예시 등에서 중국과 한국의 역사적 인물이 행한 내용을 기록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각 편에서는 상제의 가르침과 신앙적 행위를 서술하며, 다양한 역사적 인물의 생애와 내용을 들면서, 대순사상의 요체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인물들의 소개가 각 편에서 나타남으로써, 전경의 말씀과 내용의 이해를 돕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종교적 대순사상의 종교적 가치와 연계하여 전경에 소개된 주요 인물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이를 통해, 대순사상의 논의에서 상대적으로 주목되지 않았던 『전경』 속 인물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그 내용을 고찰함으로써, 대순사상의 학술적 발전에 기여하고자한다.

부산의 기억과 로컬리티 -<부산의 인물>과 <부산의 문화재>를 중심으로- (Memories and the Locality of Pusan - Focusing on Historical Figures of Busan and Cultural Properties of Busan -)

  • 송정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343-364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부산의 로컬리티를 기록화하기 위해 우선 부산의 로컬리티가 무엇인지 밝히는 것이다. 부산의 로컬리티를 어떻게 밝힐 수 있을 것인가? 기억이 정체성 형성의 근본이므로 부산에 대한 기억이 부산의 지역정체성, 즉 로컬리티 형성의 근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기억과 정체성의 관계에 주목하여 이 연구에서는 부산에 대한 기억을 분석함으로써 부산의 로컬리티를 추출하고자 하였다. 부산에 대한 기억을 파악하기 위해서 부산시청 홈페이지에서 제시하고 있는 <부산의 인물>과 <부산의 문화재>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산의 인물>을 시대와 주제로 분석한 결과,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에는 등재된 인물이 없었고, 조선시대에도 장영실을 제외하고는 부산 출신의 학자는 없었다. 등재된 인물의 대부분은 부산으로 부임해 온 동래부사와 같은 목민관이었다. 그러나 개항기에 이르면 신교육을 받은 부산인물의 약진이 눈에 띈다. <부산의 문화재>를 분석한 결과 동래구, 수영구, 사하구는 정주의 공간임을, 중구와 그에 인접한 서구와 영도구는 일본의 이익을 대변하는 이주의 공간이며, 동구는 정주의 공간에서 개항을 계기로 이주의 공간으로 변모하였음을 밝혔다. 조선시대의 행정중심지였던 동래가 개항 이후 주변화되는 것과 대조적으로 일본인의 집단거주지인 이주의 공간이 새로운 중심지로 부상하였다. 이는 관부연락선과 경부선 등 새로운 교통수단이 일본인 거주지 중심으로 개발되는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정재(正齋) 남대년(南大秊)의 학문과 사상 (Jeongjae(正齋) Nam Dae-nyeon's(南大秊) Study and Thought)

  • 임옥균
    • 한국철학논집
    • /
    • 제53호
    • /
    • pp.63-100
    • /
    • 2017
  • 이 글에서는 정재 남대년(1887~1958)의 학문과 사상을 리기심성론에 관한 견해, 유교경전해석, 역대인물평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리기 심성론에 대한 정재의 견해를 살펴보면, 정재는 리무위(理無爲), 기유위(氣有爲)의 주장을 평생 견지하였다. 다음으로 스승 간재의 성사심제설(性師心弟說)에 대한 정재의 입장을 살펴보면, 그것이 공자와 맹자의 도통을 이은 것이라고 평가하면서도, 심의 주재성이라는 측면은 잘 드러내지 못한다고 생각했던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심즉리설에 대해서는 비판적 입장을 견지하였다. 정재의 유교경전해석을 살펴보면, "논어"와 "맹자"를 중심으로 하여 사서에 대한 해석이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이는 사서를 중시했던 주자 이래의 성리학의 전통을 이은 것이라고 하겠다. 정재는 "논어"의 해석을 통해서는 인과 효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맹자"의 해석을 통해서는 사단과 사덕의 관계를 정밀하게 규명하고, 사(士)로서의 자의식을 보여주었다. 또한 "대학"의 자기설(自欺說), "중용"의 계구설(戒懼說)을 분석하기도 하였다. 또한 정재는 그의 "정재집"에서 중국과 우리나라의 여러 인물에 대한 평가도 진행하였는데, 그 평가의 기준은 절의와 식견이었다. 정재는 굴원과 노중련의 충성과 절의를 높이 평가하였으며, 진덕수는 학문적으로 뛰어난 분이었지만 출처에는 문제가 있었다고 평가하였다. 청의 육롱기와 장리상을 비교하면서, 육롱기가 이적의 나라인 청나라에서 벼슬을 한 것은 절의를 저버린 것이었다고 평가하였다. 정재는 우리나라의 인물들에 대해서도 평가를 진행하였는데, 포은은 우리나라에서 리학을 연 분으로, 정암은 지치를 회복하려 한 분으로, 퇴계는 해외 주자의 적전(嫡傳)으로, 율곡은 내성외왕을 실천한 유학의 표준으로, 스승 간재는 당대의 진실한 학문을 지닌 분으로 평가하였다.

초등기하에서 도형의 대칭에 관한 연구 (On symmetry of figures in elementary geometry)

  • 한길준;신봉숙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73-88
    • /
    • 2007
  • 대칭은 수학뿐만 아니라 생활에서 널리 이용되는 개념으로 5-나 단계에서 도형의 대칭을 다루고 있다. 본 연구는 도형의 대칭 지도를 위해 대칭과 대칭지도에 관한 역사적 배경, 수학적 배경, 교육과정에서의 위계를 살펴보고, 아동에게 대칭에서 발생하는 주요 오류와 그 원인을 규명하여 이를 극복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얻고자 한다.

  • PDF

한중게임 중 삼국지를 배경으로 한 무장(武將) 캐릭터에 대한 비교 연구 -관우(關羽)를 중심으로 (The Research on the Comparison of Warrior Role with the Three Kingdoms an the Theme in the Korea-and-China Games - to GUAN YU as the Center)

  • 손서평;이동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4호
    • /
    • pp.461-466
    • /
    • 2014
  • 일본시리즈게임<삼국지>가 부각되면서 아시아게임시장에서는 삼국지의 유행이 불기 시작하였고 삼국지의 전통문화자원이 게임문화산업의 유형으로 탄생되었다. 이와 더불어 전통문화를 선양함과 동시에 경제적 효과의 이중효과를 나타냈다. 유비(刘备), 관우(关羽) 등 캐릭터가 여러 문화산업분야에서 개발됨에 따라 특정된 역사인물의 국제화외형디자인이 디지털아트분야로 주목받게 되었다. 본 논문은 삼국문화와 삼국무장에 대해 분석하고 고전소설 삼국지:(중국<삼국연의三国演义>)등에 의거하여 한국과 중국에서 개발된 삼국지 게임에서 관우(关羽)를 중심으로 무장캐릭터 실제 예를 들어 관우(关羽)의 조형, 복장, 무기, 색채 등을 비교분석하여 역사인물 게임캐릭터의 국제화추세를 탐구하려고 한다.

알성시를 통해 본 조선시대 과거제도와 복식의 비교 고찰 (A Comparative Study on the Dress and Its Ornaments an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System in the Choson Dynasty Focused to Alsongsi(謁聖試))

  • 서옥경
    • 복식문화연구
    • /
    • 제6권1호
    • /
    • pp.35-45
    • /
    • 1998
  • Confucianism, the dominating thought in the Choson Dynasty, considered the congruence of scholar and bureaucrat as principle of royal politics, so it was the important affairs to educate and select scholars who excelled in Confucian science and its historical view. The process to educate and select the scholars in accordance with the spirit of Confucianism was call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dress and its ornaments of the Confucian students nd that of the successful candidate related to the system of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and focused on the literatures and figures. The Choson Dynasty looked upon the education as important and Confucian scholars and the successful candidate had the superior position in that society. The seems to have been the demarcation between the dress and its ornaments worn by the candidate and the successful candidate. According to the inquiry of the literatures and figures, the candidate is thought to have worn yuguhn(儒巾) or bokkuhn(幅巾) with chongsam(靑衫), nansam( 衫), jikryung(直領) and the successful candidate is thought to have worn bokduh( 頭) with easahwa(御史花), aengsam(鶯衫), danryung(團領) in the Choson Dynasty.

  • PDF

사극에 반영된 청나라 강건성세(康乾盛世) 시기 황족 여성 복식 조형 특성에 관한 연구 -<견환전>(甄嬛传)을 중심으로- (Clothing Characteristics of Royal Women in Historical Dramas during the 'Kang-Qian' Heyday in 'Qing Dynasty' -Focus on -)

  • 이애진;최수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407-419
    • /
    • 2017
  • Based on clothing prohibition modelling characteristics, this paper studies historical costumes through the traditional Chinese historical dramas of the 'Kang-Qian' heyday during the 'Qing Dynasty'; represents the research object as a representative Chinese historical drama. This paper systematically analyzed the utilization and reflection of royal women clothing prohibi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royal women clothing prohibition of this drama shows three aspects of characteristics found in traditional Chinese costume modeling. First, some special colors that integrated ancient and modern styles were mainly used in this drama such as champagne color, wine color, and macaron color. Second, it mainly utilized the modelling of modern artificial pigments and floral patterns that are different from Chinese traditional female costumes of the 'Qing Dynasty'. Third, stage costumes for this drama are focused more on using a personality method to reflect the beauty of each actress by the application of individual elements. This study analyzed and studied the clothing prohibition of female costume from to show the traditional Chinese costume prohibition in a Chinese historical drama as well as reveal a few aspects of traditional female costume characteristics in the 'Kang-Qian' heyday during the 'Qing Dynasty'. This study examined traditional female costumes characteristics in modern historical dramas based on different figures and dynasties as well as discussed the factors at a deeper level and from varied aspects.

전란의 기억과 문학적 극복 - 정묘·병자호란 이후 17세기 후반에 나타난 문학적 현상에 주목하여 - (The Remembrance of War and Overcoming its Aftermath through Literature: Focusing on the post Manchu's Invasion Period)

  • 백진우
    • 동양고전연구
    • /
    • 제68호
    • /
    • pp.69-97
    • /
    • 2017
  • 본 연구는 조선조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을 경험한 직후 창작된 문학작품들을 검토하여, 전란이 남긴 좌절과 상처의 기억을 문학적으로 극복하고자 한 사례들을 살피고 그 의미에 대해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이 시기에 제출된 일련의 문학 작품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분모를 확인하여, 당시 지식인들이 문학이라는 도구를 통해 전쟁에 대한 기억을 어떤 방식으로 극복하고 재구하였는지를 살피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명(明)나라에 대한 의리와 청(淸)나라에 대한 적대감이 팽배했던 당시 조선의 국가적 담론이 문학적으로 구현된 양상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똑같은 외침(外侵)이었지만 임진왜란 이후의 문학 작품들이 전쟁으로 인한 참상 애상 비분 통분의 감정을 위주로 드러낸 데 비해, 정묘 병자호란 이후의 문학 작품들은 국가적 담론의 문제를 문학의 영역으로 끌어들여 구체화하는 양상이 확인된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그 가운데 당대에 국가 차원에서 담론으로 제기되었던 복수설치와 대명의리 의식이 문학의 장(場) 위에서 어떤 방식으로 구현되었으며, 그 의의는 무엇인지에 주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역사 인물들을 제재로 한 문학 작품들을 통해 그 양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처럼 본 논문에서는 문인지식인들에 의해 주도되었던 당시의 국가적 담론이 문학 작품에서는 어떤 양상으로 반영되었는지 살피고 그 의미에 대해 검토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당시에 자주 언급되었던 역사 인물들은 정묘 병자호란이 남긴 정신적 상처를 당시의 지식인들의 나름의 방식으로 극복하기 위해서였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