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storical Cost

검색결과 249건 처리시간 0.029초

실적공사비 적산제도에서 전기공사비지수의 적정 가중치 및 가격지수에 관한 연구 (An Institute for Weight and Price index of Estimation System of Historical Cost Data in the Electrical Construction Works)

  • 서순석;장영길;류기현;김광곤;최승동;김대식;백성현;원성호;손홍관;박인표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제39회 하계학술대회
    • /
    • pp.2092-2093
    • /
    • 2008
  • Since Jan. 2004,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has partly introduced estimation system of historical cost data in order to reflect result cost of construction market to cost estimation for public construction. And KEPCO started estimation system of historical cost data in the electrical construction works. Electrical construction cost index a matter of great importance. This paper was conducted to examine estimation methods of the items of the price index estimation system of historical cost data and suggest reasonable applications.

  • PDF

군 시설공사의 공사비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Cost Index Model for Military Facilities Construction)

  • 박종원;손보식;이현수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4년도 제5회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56-260
    • /
    • 2004
  • 군 시설공사비는 국방예산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사업예산의 합리적인 편성은 군 시설업무 관련자의 중요한 관심사이다. 그러나 시설예산 편성시 기준으로 제시되는 시설물 단가를 실제 공사의 집행금액과 비교하면 항상 부족예산이 발생되므로, 이를 보정하여 적정한 공사비를 산정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과거의 실적공사비를 현재의 가치로 환산할 수 있는 공사비지수를 개발하여 적용함으로써 예산편성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실적공사비를 분석하여 공사비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영향요소를 재료비, 노무비, 경비의 비목으로 구분하고 각 요소들이 공사비에서 차지하는 영향도를 기준으로 가중치를 산정한 후, 가중평균산식에 의한 공사비지수를 개발하였다.

  • PDF

단지조성공사용 공사비 지수의 개발 (Development of a Cost Index for Site Developing Project)

  • 배건;이태식;박종현;이원용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지
    • /
    • pp.423-426
    • /
    • 2002
  •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건설공사비 산출방식을 실적공사비 적산제도로 전환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 중에 있다. 실적공사비 적산제도가 원활하게 시행되기 위해서는 이에 필요한 각종 실적자료가 필요하다. 공사비 지수는 이러한 실적자료의 하나로서 외곽의 경우에는 정부 및 민간기관에서 공사비 지수를 제공해 주고 있지만, 국내의 경우는 도로공사를 제외하고는 건설공사에서 적용할 수 있는 공사비 지수가 공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공사비 지수는 건설공사의 입찰가 분석, 단가 및 공사비 조정, 공사비 예측을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단지조성공사 설계내역서 22개를 표본으로 하여 우리나라와 영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공사비 지수 작성기준을 비교하여 국내의 공사비 지수 산출방식의 문제점을 분석하였으며, 그 개선방안과 함께 단지공사용 공사비 지수를 작성하여 제시하였다.

  • PDF

계획사업을 위한 추정 제조 원가 명세서와 추정 손익 계산서 작성 : 동업계의 실적 자료를 이용하는 방법을 중심으로 (Preparation of Pro Forma Manufacturing Cost, and Profit and Loss Statements Using Historical Data of the Same Industry)

  • 박춘엽
    • 산업공학
    • /
    • 제4권1호
    • /
    • pp.35-46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how to prepare pro forma manufacturing cost, and profit and loss statements using the historical data of the industry to which the project under consideration belong to. This approach is proposed because it is relatively simple compared with possible alternative methods. The approach proposed here can be used in countries other than Korean if relevant historical data is available. An example is shown.

  • PDF

STATISTICALLY PREPROCESSED DATA BASED PARAMETRIC COST MODEL FOR BUILDING PROJECTS

  • Sae-Hyun Ji;Moonseo Park;Hyun-Soo Lee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417-424
    • /
    • 2009
  • For a construction project to progress smoothly, effective cost estimation is vital, particularly in the conceptual and schematic design stages. In these early phases, despite the fact that initial estimates are highly sensitive to changes in project scope, owners require accurate forecasts which reflect their supplying information. Thus, cost estimators need effective estimation strategies. Practically, parametric cost estimates are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 in these initial phases, which utilizes historical cost data (Karshenas 1984, Kirkham 2007). Hence, compilation of historical data regarding appropriate cost variance governing parameters is a prime requirement. However, precedent practice of data mining (data preprocessing) for denoising internal errors or abnormal values is needed before compilation. As an effort to deal with this issue, this research proposed a statistical methodology for data preprocessing and verified that data preprocessing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enhancement of estimate accuracy and stability. Moreover, Statistically Preprocessed data Based Parametric (SPBP) cost models are developed based on multiple regression equations and verified their effectiveness compared with conventional cost models.

  • PDF

농촌계획에 있어 다중회귀분석법에 의한 사업비 결정 - 경지정리사업비의 예 - (Development of Cost Estimation Method using Multiple-Regression Analysis for Rural Planning -Case Study for Land Consolidation -)

  • 윤성수;이정재;조래청
    • 농촌계획
    • /
    • 제2권2호
    • /
    • pp.103-108
    • /
    • 1996
  • In rural planning, the cost estimation of project is a key factor for planning. Therefore, development of reliable cost estimation method is essential. Recently, new techniques are suggested for determination of project cost using historical cost data. In this study, a multiple-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cost of the farm land consolidation.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historical cost data can be applicable to project cost estimation.

  • PDF

Support Vector Regression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개발비 예측 (Estimating Software Development Cost using Support Vector Regression)

  • 박찬규
    • 경영과학
    • /
    • 제23권2호
    • /
    • pp.75-91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new software development cost estimation method using SVR(Support Vector Regression) SVR, one of machine learning techniques, has been attracting much attention for its theoretic clearness and food performance over other machine learning techniques. This paper may be the first study in which SVR is applied to the field of software cost estimation. To derive the new method, we analyze historical cost data including both well-known overseas and domestic software projects, and define cost drivers affecting software cost. Then, the SVR model is trained using the historical data and its estimation accuracy is compared with that of the linear regression model.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SVR model produces more accurate prediction than the linear regression model.

1일 작업량 미만 공사의 공사비 산정 방식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Study on Improvement of Cost Calculation Method in Construction less than One Day Workload)

  • 신대웅;이영도;신윤석;김광희;유상록;박원준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77-485
    • /
    • 2014
  • 표준품셈과 실적공사비 적산방식은 건설공사의 예정가격을 산정하는 가장 대표적인 기준자료이다. 하지만 이러한 공사비 산정방식은 1일 작업량 미만의 작업에서 정의, 할증 또는 보정기준 등이 명확하지 않아 적정 공사비의 산정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1일 작업량 미만의 작업에서 표준품셈과 실적공사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내 44개의 전문건설업체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빈도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표준품셈에서는 인건비, 실적공사비에서는 장비비, 공종별로는 도로포장 및 유지공사의 장비비가 각각 가장 높은 비율로 초과되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를 바탕으로 표준품셈과 실적공사비는 공사의 규모에 따른 구분 등 각각 3가지의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1일 작업량 미만의 작업에서 공사비 산정 제도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실적자료 분석에 의한 적정 공사비 산정방법의 전산화 알고리즘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Computerized Algorithm for Proper Construction Cost Estimation Method by Historical Data Analysis)

  • 전재열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4권4호
    • /
    • pp.192-200
    • /
    • 2003
  • 본 연구는 공공건설 공사에 실적자료에 의한 공사비산정 방법의 전산화 적용을 목적으로 먼저 실적공사비의 정의 및 구조와 현행 실적공사비 운영체계 이해를 통해 전산화의 문제점 및 개선기준을 공사비 산정방법 중심으로 분석 기술하였으며 제안한 기준에 따라 전산화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기존 예정공사비 산정방법은 일반적인 공종별 분류에 따른 실적자료조건과 단순히 물가지수, 연면적규모에 따른 시공단가를 적용함으로서 공사비산정의 정확성이 요구되며, 본 연구는 이에 대한 개선 안으로 부위와 부분별 공종분류 방식에 의한 데이터 추출조건으로 실적자료의 적용성과 신뢰성을 높였다. 또한 물량규모에 의한 공사비 변동요인을 물량규모 대비 단가의 확률적 회귀분석으로 예측 추정하여 실행 가능한 적정 공사비 산정방법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산화 적용 방안으로 확률적 예정공사비산정방법을 기준으로 시스템 프로세스를 각 영역별로 구축하고 그에 따른 윈도우 어플리케이션 활용 툴과 개별 전산화에 대한 알고리즘을 구축하였다.

물가변동회계정보의 유용성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Usefulness of Price - Level Change Accounting Information)

  • 정영관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6권9호
    • /
    • pp.81-95
    • /
    • 1983
  • The author has intended to seek for the usefulness of price-level change accounting information through financial statements of general price level. The account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financial statements of general price level, must be useful to the reasonable judgment of financial statement users or to the economic decision making, This thesi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 1. Financial statements arranged by historical cost accompany many problems as accounting information. In other words, at the time of inflation, they have little usefulness as accounting information. 2. In order to correct the little usefulness of the financial statements arranged by historical cost, the author examined this matter centering around FASB statement No. 33. 3. The price level change accounting eliminates the contradiction of the account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financial statements arranged by historical cost. 4. In the general price level change accounting, money value is presumed to change according to the level of general price and, then, the money value for goods must be revised. 5. In the general price level change accounting, the division between monetary items of asset and debt, and non-monetary items, is important. 6. The general price level change accounting based upon historical cost accounting, has objectivity as accounting information like the cost basis accounting and larger usefulness than the cost basis accounting. In conclusion, the price level change accounting increases its usefulness as accounting information and, therefore. (1) the information on the general price level change accounting is desirable to be disclosed as supplementary information for the traditional financial statements, and (2) the general price level change accounting should be induced to the listed Companies in Korea under continuing inflation for improving the usefulness of financial statements as accounting inform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