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storic site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026초

역사도시경관으로서 세종대로 (구)국세청 별관 부지 설계 (Design of the Former National Tax Service Building Site on Sejong-daero as a Historic Urban Landscape)

  • 서영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07-118
    • /
    • 2016
  • 서울시는 광복 70주년을 맞아 일제 강점기에 지어져 최근까지 사용했던 세종대로 (구)국세청 별관을 철거하고 시민의 공간으로 재조성하고자 설계공모를 시행했다. 본 연구는 설계공모에 출품된 설계안 중 하나로 대상지의 역사 맥락을 통해 장소 특성을 분석하고 개념을 도출하여 설계 전략과 내용을 서술했다. 지침서상 광역 분석과 세종대로의 가치와 문화 유산과의 연계방안을 고려하여 과거와 현재, 미래로 이어지는 공간이 되도록 명시하고 있다. 세종대로는 조선 건국에서 대한제국기, 일제 강점기와 현대에 이르기까지 도로구조의 변화와 함께 중요한 사건과 활동이 일어나는 중심공간이다. 대상지 배후지역인 정동은 근대 태동기 문물이 도입되는 첨단의 장소였으며 인접한 덕수궁, 성공회성당, 서울시 의회건물도 많은 변화를 거치며 현재에 이르렀다. 본 연구는 역사도시경관 관점으로 광역 분석을 통해 길과 광장의 의미를 고찰했다. 정동과 대상지 주변의 변화와 현황을 분석하고 설계의 주요 개념을 공공성의 회복으로 설정했다. '리-퍼브릭'은 고종이 선포한 대한제국의 이념을 상징하는 중의적 개념이다. 대상지의 공공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열림, 연결, 비움으로 설계 키워드로 주요 전략을 수립하여 대안 검토를 통해 8% 경사 광장을 계획했다. 대상지 현황을 반영하여 장애자, 노약자 등 누구나 편하게 접근 가능한 램프 구조로 계획하며 인접 대지와의 자연스러운 연결을 도모했다. 성공회 성당 레벨의 테라스 광장과 보도에서 이어진 주 광장은 계단실 등과 같은 건축물의 신축 없이 완전히 비움으로써 열린 조망을 확보하고 다양한 현대 도시 활동을 담을 수 있도록 계획했다. 설계안은 고종이 지향하던 근대적 민주개념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것으로 장소의 가치를 다시 공공에게 환원하는데 기여하도록 했다. 본 연구는 역사적 배경과 중층의 시간이 쌓인 대상지 설계에 대한 방향성을 제고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Conflicts and Resolutions due to the Expansion of Urban Heritage - Focusing on Historic Sites and Hanok Areas in Seoul -

  • Hyun Chul Youn;Seong Lyong Ryoo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25권2호
    • /
    • pp.29-40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flicts caused by the spatial expansion in two types of urban heritage in Seoul. To explain the national and professional orientation found in each spatial transformation, the study brought the concept of 'historic state' and 'epitome,' thereby examining the operating system of the conflicts. Field observations and stakeholder interviews were performed based on literature and historical research.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①In the case of Gwanghwamun and Donuimun, the spatial expansion is to find the historic state of the sites. Gwanghwamun with high national status and substance, conflicts show a pattern that spreads to memory conflicts. Donuimun is relatively unknown and has no substance so that a flexible method of digital restoration was applied. ② In the case of Ikseon-dong and Bukchon hanok, they show heterogeneous spatial expansion. The conflicts in relation to this is caused by the epitome of hanok. In Ikseon-dong, illegal installation of structures(non-epitome) is prevalent, while in Bukchon, there was a process of transferring the new basement(non-epitome) as part of the hanok. ③Conflicts in Gwanghwamun can be coordinated by referring to the digital restoration of Donuimun, and conflicts in Ikseon-dong can be resolved by taking Bukchon as a precedent.

5·18 사적지 기념공원화 계획 - 국군광주병원과 505보안부대 옛터를 대상으로 - (The Memorial Park Planning of 5·18 Historic Sites - For Gwangju Hospital of Korea Army and 505 Security Forces -)

  • 이정희;윤영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14-27
    • /
    • 2019
  • 본 연구는 5.18민주화운동 이후 사적지로 지정되었던 국군광주병원과 505보안부대 옛터를 대상으로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한 시대적 특성을 공간설계 개념으로 설정해 기념공원화 계획안을 제시하였다. 광주광역시는 5.18사적지인 국군광주병원과 505보안부대 옛터를 5.18기념사업의 일환으로 공원화하고자 도시공원 조성계획을 수립하고, 역사에 대한 기억의 공간으로만 보존해왔던 대상지를 5.18민주화운동의 역사적 가치를 함양함과 동시에 시민 삶에 활력을 주는 공원으로 단계적 조성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5.18사적지의 공동체적 가치가 현대적으로 계승될 수 있도록 사회적 합의를 통해 단계별 계획, 조성과정의 틀을 설정하고, 상처의 치유, 역사의 기억을 담아내는 계획을 하고자 함이다. 계획안에서 사적지의 공원화와 관련된 선행연구 및 계획사례 분석을 통해 공간 활용을 위한 문제 해결적 접근방법을 제시하였고, 대상지가 갖고 있는 장소적 가치를 탐색함과 동시에 공원의 계획개념을 유지하면서 역사적 사실에 대한 시대적 특성을 담아내는 공간 활용 전략과 세부내용을 서술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국군광주병원 사적지는 5.18민주화운동을 통해 남겨진 상처에 대한 치유의 문제를 지역사회가 주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과거의 역사적 기억과 치유의 공원으로 계획하되, 기존 자연환경을 활용한 치유의 숲 개념을 제시하였고, 505보안부대 옛터 사적지는 5.18기억공동체의 확장과 지속성을 강화하는 측면에서 미래 세대인 어린이와 청소년이 공감할 수 있는 역사 체험 배움의 공간개념으로 계획하였다. 사적지를 활용한 기념공원화 계획은 계획 단계에서 시민, 관련단체, 전문가를 아우르는 사회적 공감대의 형성이 선결요건으로 작용하며, 장소성 재현을 위한 구성원들의 사회적 합의가 공간활용 방향 설정에 중요한 계획적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5.18사적지에 역사적 가치를 담는 기념공원으로 환원하는 데 기여하고, 과거 역사에 대한 상처와 기억을 치유하는 장소를 넘어 도시와 시민의 삶에 활력을 주며, 미래 세대와의 공유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한 것에 대한 의의가 있다.

군포 산본동 청화백자요지 이전 복원 (Transformation and restoration of Underglaze Blue-White porcelain Kiln site at SanBon-Dong, GunPo)

  • 김병호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15호
    • /
    • pp.128-136
    • /
    • 1994
  • To restore the Under glaze Blue -White porcelain kiln site of choson period, where is located at 114, SanBon 2 Dong GunPo city. it was used to the conservation method, particularly F.R.P.(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 for moving the kiln site from the present area to historic site No. 342 after restoration.

  • PDF

교동학교(喬棟鄕校)의 건축적 특성과 봉안형식에 관한 연구 - 초기형 향교의 특성규명을 위한 사례연구 -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the Ritural Form of Kyodong-Hyangkyo)

  • 김은중
    • 건축역사연구
    • /
    • 제7권4호
    • /
    • pp.93-102
    • /
    • 1998
  • There are several treatises about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Hyangkyo. But those treatises usually treat with the types of site plans or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out the historic background. So there needs the approaching methods with the historic background to study about the architecture of Hyangky. This study aims at the sample research about the architecture of Hyangkyo in beginnig period. Kyodong hyangkyo is the first building in hyangkyo. There are som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in this building comparing with the Hyangkyo in ripening period. Such characteristics apper in the site plan of educational spaces and in the floor plans of Myongryundang, Dongjae, Seojae. And there appear some characteristecs in ritual spaces such as the architectural structure of Daesungjun, and the position of stone establishment (Kwansedae, Saengdan) The ritual form of Kyodong hyangkyo has no special characteristics compering with the Hyangkyo in ripening period. These rictual form has kept the general rule of ritura form through the history.

  • PDF

중국 풍경명승구 제도의 변천과 주요정책의 국내 명승 적용 제언 (A Changes in China's Landscape Scenic Sites System and Suggestions for Application of Major Policies to Scenic Sites of Korea)

  • 김동현;이건풍;신현실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1-18
    • /
    • 2023
  • 본 연구는 천연기념물 명승의 자연유산으로의 가치 확립과 내용적 범위의 확장을 위해 자국 내 법률의 국제화를 실현한 중국의 풍경명승구를 대상으로 국내와의 국가적 상황을 고려하여 선용할 수 있는 부분을 변별하고자 중국 풍경명승구 제도의 도입과 변화과정, 관련 정책 등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풍경명승구는 근현대기 서양 문물의 유입과정에서 기존 명승 유람문화과 여행, 관광의 문화로 확장되었고, 여행지로서 각광받게 되었다. 이에 중국 정부에서는 풍경명승구를 중심으로 관광산업을 발전시켰고 교통과 통신의 발달에 힘입어 풍경명승구는 국가적으로 중요한 유산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이는 풍경명승구 관련 제도가 수립하는데 영향을 미쳤으며, 오늘날 풍경명승구 조례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둘째, 풍경명승구의 지정은 면적에 따라 용지규모가 구분되며, 풍경명승 분류 선별, 등급 평가, 평가지표와 등급기준에 따른 종합가치평가 등의 과정을 거친다. 이에 따른 등급분류 결과에 따라 국가급에서부터 지방단위의 풍경명승구까지 세분화하고 있다. 셋째, 풍경명승구의 보존관리는 중앙정부에서 전국의 풍경명승구에 대한 관리감독을 담당하고, 지방정부의 건설 부서에서 해당 지역의 풍경명승구 관리감독을 담당하고 있으며. 현급 이상 지방정부가 설립한 풍경명승구 관리기구가 실질적인 풍경명승구의 보호와 활용, 관리 업무를 실시하는 체계를 지닌다. 또한 14가지 세부지표를 통한 풍경명승구의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국내 명승 정책의 적용을 고려해볼 때 국민의 활용적 관점에서 제도를 수립해 온 정책의 전개방식은 고려할 사항이라 판단된다. 한편, 다양한 지표 설정을 통한 지정 및 관리체계 평가는 경관에 대한 감흥이나 평가에 있어 객관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정량화된 평가를 맹목적으로 도입하기보다는 명승적 가치에 대한 공감대를 확대하고, 유산을 향유하는 방식에 대한 안내와 홍보가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정암사의 건축적 특징에 따른 정비계획과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newal Plan and Practical Use Way according to Architectural Features of Jungam Temple)

  • 최장순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67-74
    • /
    • 2016
  • Establishing a renewal plan and practical use of Jungam temple, which exists natural monuments, including national treasures and Gangwondo cultural materials, at Jungseon is as important as anything else. To discuss the renewal plan and the practical use of Jungam temple, this thesis is composed with the next series of processes. First, this thesis presents examining a relationship between Jajang, who was a buddhist monk and caused a departure point of foundation of the temple, and Jungam temple is necessary; thus, the relationship of his architectural consciousness and Jungam temple was showed in this thesis. Second, this thesis demonstrates present conditions for extant facilities and features of the space structure for Jungam temple to look into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Jungam temple. Third, this thesis shows preservation of Jungam temple because this temple is the historic cultural resource; in addition, this thesis explains restoring of lost elements for points, repairing shipments regarding the whole area of preservation targets, expansion of the area nearby historic cultural resources to make plans for maintaining Jungam temple. Finally, this thesis concludes the final result of Jungam temple to work towards becoming the contemporarily historic cultural resource by designating Jungam temple as the historic site and suggesting energization by public participation and experience programs to continuously manage Jungam temple.

여주 고달사지의 가람배치 변천과 주요 건물지에 관한 복원적 연구 - $1{\sim}5$차 발굴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storation of the Layout Transition and main buildings of Godal temple site in Yeoju)

  • 이승연;장경호;이상해
    • 건축역사연구
    • /
    • 제16권2호
    • /
    • pp.59-78
    • /
    • 2007
  • Studies and reports on buddhist temples in Goryeo dynasty are rarely In the present situation. At this point of time new excavational reports and historic records offer many materials to understand a architecture in Goryeo period. Especially, temple site have various transitions, it is of great value to study. This article attempted a restorative study of a location, function, spacial arrangement, structure, building age is based on a measure and transition of temple layout that is based on the excavational result and related historic documents about Godal temple site in Yeoju. Gadal temple site was a representative Zen buddhist temple in Goryeo Dynasty. It was difficult of access by watercourse because it was located in an inland in the upper Han River. Archaeological research and historical records has reveals that the temple was constructed with a minium of four levels[six terms]. We could recognized the central site of temple and buildings were constantly established, enovated or collapsed. It has went through many transition according as it encountered new sects and doctrines. Also it should perform various functions and overcome given conditions. Ultimately it let see greater diversity in the spacial composition, and layout. That is to say it were planed several separate areas, each was consisted of main buildings, once again was integrated into one temp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