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light Video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5초

Zika Virus on YouTube: An Analysis of English-language Video Content by Source

  • Basch, Corey H.;Fung, Isaac Chun-Hai;Hammond, Rodney N.;Blankenship, Elizabeth B.;Tse, Zion Tsz Ho;Fu, King-Wa;Ip, Patrick;Basch, Charles E.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0권2호
    • /
    • pp.133-140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source, length, number of views, and content of the most widely viewed Zika virus (ZIKV)-related YouTube videos. We hypothesized that ZIKV-related videos uploaded by different sources contained different content. Methods: The 100 most viewed English ZIKV-related videos were manually coded and analyzed statistically. Results: Among the 100 videos, there were 43 consumer-generated videos, 38 Internet-based news videos, 15 TV-based news videos, and 4 professional videos. Internet news sources captured over two-thirds of the total of 8 894 505 views. Compared with consumer-generated videos, Internet-based news videos were more likely to mention the impact of ZIKV on babies (odds ratio [OR], 6.25; 95% confidence interval [CI], 1.64 to 23.76), the number of cases in Latin America (OR, 5.63; 95% CI, 1.47 to 21.52); and ZIKV in Africa (OR, 2.56; 95% CI, 1.04 to 6.31). Compared with consumer-generated videos, TV-based news videos were more likely to express anxiety or fear of catching ZIKV (OR, 6.67; 95% CI, 1.36 to 32.70); to highlight fear of ZIKV among members of the public (OR, 7.45; 95% CI, 1.20 to 46.16); and to discuss avoiding pregnancy (OR, 3.88; 95% CI, 1.13 to 13.25). Conclusions: Public health agencies should establish a larger presence on YouTube to reach more people with evidence-based information about ZIKV.

사용자의 인터렉션 향상을 위한 EPUB eBook 변환 기법 (EPUB eBook Converting Schemes for Improving User Interactions)

  • 이남희;김재훈;김강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6권3호
    • /
    • pp.117-124
    • /
    • 2017
  • 기존 책 문서인 PDF문서를 전자책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전자책의 표준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PDF문서를 전자책의 표준 형태인 EPUB으로 변환할 때, 인쇄 색상 표현방법인 CMYK를 디지털 색상 RGB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형태의 차이로 인해 색감이 제대로 변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EPUB은 동영상, 자바스크립트 등을 이용해서 시각적인 효과를 줄 수 있으며,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PDF를 EPUB으로 변환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해서 연구를 하였다. (1) 첫 번째는 색감을 잃지 않도록 ICC 프로파일을 이용한 변환 연구를 수행하였다. (2) 두 번째는 변환 과정에서 레이아웃 구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3) 세 번째는 전자책 독자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시각적인 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텍스트 중 특정 부분을 인식하여 시각적인 효과를 주는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기존 책에서의 퀴즈를 추출하여 변환 시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한 퀴즈 플랫폼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다. 또한 PDF문서를 EPUB에 기반 한 전자책 문서로 변환 후 사용자 평가를 통해 변환유효성 및 편의성을 검증하였다.

Effects of Red Ginseng on Neonatal Hypoxia-induced Hyperacitivity Phenotype in Rats

  • Kim, Hee-Jin;Joo, So-Hyun;Choi, In-Ha;Kim, Pitna;Kim, Min-Kyoung;Park, Seung-Hwa;Cheong, Jae-Hoon;Shin, Chan-You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4권1호
    • /
    • pp.8-16
    • /
    • 2010
  •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affects 4-12% of chool-age children worldwide and is characterized by three core symptoms: hyperactivity, inattention, and impulsivity. Although standard pharmacological treatments, such as methylphenidate and atomoxetine, are available, concerns about drug-induced psychological and cardiovascular problems, as well as growth retardation and sleep disturbances, highlight the continuing need for new therapeutic interventions. Using a neonatal hypoxia-induced hyperactivity model in rats, the potential positive role that oral administration of red ginseng extract may have in relation to the hyperactive phenotype was investigated. Hypoxia was induced in 2-day-old male Sprague-Dawley (SD) rat pups by placing them in a nitrogen chamber for 15 min. The neonatal hypoxia-induced rat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hyperactivity phenotype, such as increased movement duration, movement distance, and rearing frequency, which was determined by monitoring their spontaneous locomotor activity using the Ethovision video tracking system. One week of oral treatment with red ginseng extract decreased the hyperactivity phenotype of the neonatal hypoxia-induced rats and increased the locomotor activity of the control rats. In the neonatal hypoxia-induced rats, expression of the norepinephrine transporter in the forebrain was increased, and red ginseng treatment partially prevented its up-regulation, while increasing its level in the control rat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d ginseng extract decreased the neonatal hypoxia-induced hyperactivity phenotype, although it increased locomotor activity in normal animals.

현대 미국 애니메이션에서의 포스트모던 팝의 표현 (The Expression of Postmodern Pop Art Style in Contemporary American Animation)

  • 우잉;장욱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727-741
    • /
    • 2022
  • 이 글은 1990년대 이후 미국 애니메이션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으며, 현대 팝 예술 양식을 대상으로 현대 팝 예술 양식이 당대 미국 애니메이션 예술 창작 표현과 당대 미국 애니메이션에 미치는 영향을 세밀하게 정리하였다. 미국 애니메이션이 세계를 휩쓴 이유를 알고, 현대 미국 애니메이션의 예술 창작 특징을 정리한다. 당대 미국 애니메이션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포스트모던 팝의 예술 양식이 당대 미국 애니메이션에서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 살펴본다. 이론과 실제 애니메이션 작품을 결합한 연구 논증을 거친 후, 현대 미국 애니메이션에서 포스트모던 팝의 주요 표현 방법인 과장되고 심플한 조형을 통한 캐릭터 특징 부각, 반항적인 색채를 이용한 정서적 감각의 재구성, 대중매체를 이용하는 창작활동, 반복되는 요소 간의 조합과 같은 방식을 이용하는 장난스러우며 기존의 것을 희화화 하는 포스트모던의 정신을 구현한다. 이를 통해 현재 미국 애니메이션의 분석이 국내 애니메이션 디자인에 새로운 혁신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국제 영상 애니메이션에서 국내 애니메이션의 경쟁력을 높여 줄 것으로 기대한다.

변화가 변화를 일으키지 못할 때: 한국과 미국 초등수학 수업 관찰로부터의 소고 (When Changes Don\`t Make Changes: Insights from Korean and the U.S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s)

  • 방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4권2호
    • /
    • pp.111-125
    • /
    • 2000
  • This paper presents cross-national perspectives on challenges in implementing current mathematics education reform ideals. This paper includes detailed qualitative descriptions of mathematics instruction from unevenly successful second-grade classrooms both in Koran and in the U. S with regared to reform recommendations. Despits dramatic differences in mathematics achivement between Korean and the U.S student. problems in both countries with regard to mathematics education are perceived to be very similar. The shared problems have a common origin in teacher-centered instruction. Educational leaders in both countries have persistently attempted to change the teacher-centered pedagogy to a student-centered approach. Many teachers report familiarity with and adherence to reform ideas, but their actual classroom teaching practices do not reflect the full implications of the reform ideals. Given the challenges in implementing reform, this study explored the breakdown that may occur between teachers adoption of reform objectives and their successful incorporation of reform ideals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two reform-oriented classrooms in both countries. This comparison and contrast provided a unique opportunity to reflect on possible subtle but crucial issues with regard to reform implementation. Thus, this study departed from past international comparisons in which the common objective has been to compare general social norma of typical mathematics classes across countries. This study was and exploratory, qualitative, comparative case study using grounded theory methodology based on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for which the primary data sources were classroom video recordings and transcripts. The Korean portion of this study was conducted by the team of four researchers, including the author. The U.S portion of this study and a brief joint analysis were conducted by the author. This study compared and contrasted the classroom general social norms and sociomathematical norms of two Korean and two U.S second-grade teachers who aspired to implement reform. The two classrooms in each country were chosen because of their unequal success in activating the reform recommendation. Four mathematics lessons were videotaped from Korean classes, whereas fourteen lessons were videotaped from the U.S. classes. Intensiv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ach teacher. The two classes within each country established similar participation patterns but very different sociomathematical norms. In both classes open-ended questioning, collaborative group work, and students own problem solving constituted the primary modes of classroom participation. However in one class mathematical significance was constituted as using standard algorithm with accuracy, whereas the other established a focus on providing reasonable and convincing arguments. Given these different mathematical foci, the students in the latter class had more opportunities to develop conceptual understanding than their counterpart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o between the two teaching practices within each country clearly show that students learning opportunities do not arise social norms of a classroom community. Instead, they are closely related to its sociomathematical norms.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reform effort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sociomathematical norms that established in the classroom microculture. This study also provides a more caution for the Korean reform movement than for its U.S. counterpart.

  • PDF

팬데믹 시대,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의학드라마의 시청자 반응 연구-<슬기로운 의사생활>을 중심으로- (Pandemics Era, A Study one the Viewers' Responses of Medical Drama through Text Mining. -Focused on -)

  • 안성훈;오세종;정달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385-389
    • /
    • 2020
  • 의학드라마 <슬기로운 의사생활>은 '사람' 중심의 스토리로 전개되어 시청자의 공감대를 높였다. 드라마의 스토리는 의사, 환자, 가족들의 진정한 삶의 이야기이다. 또한 '평범한 우리들의 조금 특별한 매일'을 떠오르게 하는 이야기이다. 그리고 드라마 5명 캐릭터가 직접 연주하고 불렀던 노래는 향수를 자극하고, 몰입을 높이는 요소가 되었다. 최고시청률 14.1%를 달성했으며, 블로그만 51,584건이 등록되었다. 빅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연관어는 '슬기로운 OST', '앨범명', '아티스트명', '2시간 연속재생', '음원', '리메이크', 'OST 공개', '슬기의사생활 전곡방송본', '광고수익', '신청곡', '플레이리스트', '아로하', '조정석'이 추출되었다. 의학드라마의 상품화는 '드라마 OST 앨범 판매', '온라인 라이브 콘서트 주최(광고 PPL)', '피아노 악보 출간', '사람 중심의 사진전', '드라마 하이라이트를 편집한 뮤직 비디오 제작', '유튜브 업로드 수익', '마스크', '소독제'가 있다. <슬기로운 의사생활2>에서는 코로나19에 발생한 감동적인 사연과 매력적인 인간미가 있는 이야기가 펼쳐질 것으로 예측한다. 연구의 한계점은 장르별 다양한 작품의 분석과 업종에 따른 소비자 가치 분석 시도가 필요하겠다.

모션캡처 활용을 통한 창작발레<청춘>창작과정연구 (A Study on the Creative Process of Creative Ballet <Youth> through Motion Capture Technology)

  • 장소정;박아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809-814
    • /
    • 2023
  • 현재 무용 현장에서의 과학기술을 직접적으로 활용하고 창작에 직결되는 배경과 방법을 기술한 논문연구가 부족하다. 본 연구자는 창작무용<청춘>에 모션캡처를 적용하고 공연에 반영한 장면의 창작과정을 서술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현장에서 생성된 현상이나 체험을 분석하는 연구 방법으로 창조된 결과물로부터 새로운 지식과 의미를 도출하는 방법인 실기기반연구(Practice Based Research)을 활용하였다. 창작발레<청춘>은 총 4장으로 구성되어 4장에서의 모션캡처된 영상은 하이라이트 장면으로 과거의 발레리나의 이미지를 형상화하였고, 과거의 '나'이면서 현재의 꿈이기도 한 장면의 의미를 지녔다. 모션캡처의 사용은 장면의 이미지를 부각시켰으며, 관객의 몰입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였다. 무용계는 모션캡처과 같은 과학기술과의 협업을 통해 무형자산을 디지털화 하는 것에 친숙해질 필요가 있으며 실험적인 시도를 훈련하고 지속해야 한다. 또한 협업을 통해 디지털화 된 과정과 공연, 그리고 공연기록을 통해 움직임의 범위를 확장하고 가치와 의미를 끊임없이 부여하는 연구를 지속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