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er ${\beta}$-glucan

검색결과 199건 처리시간 0.023초

Varietal and Annual Variations of β-Glucan Contents in Korean Barley (Hordeum vulgare L.) and Oat (Avena sativa L.) Cultivars

  • Lee, Mi-Ja;Yoo, Jae-Soo;Kim, Yang-Kil;Park, Jong-Chul;Kim, Tae-Soo;Choi, Jae-Seong;Kim, Kee-Jong;Kim, Hyung-Soo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284-291
    • /
    • 2011
  • Varietal and annual variations in the contents of ${\beta}$-glucan fractions per weight grain samples were examined in sixteen covered and eighteen naked barley and five oat cultivars developed in Korea. Also, the effect of pearling on ${\beta}$-glucan content was investigated. Average contents of total, soluble and insoluble ${\beta}$-glucan fractions were 5.25, 3.72, and 1.53%, respectively, in covered barley, and 5.86, 3.51, and 2.35%, respectively, in naked barley. Soluble ${\beta}$-glucan content was higher in covered barley, though total ${\beta}$-glucan content higher in naked barley. The total and insoluble ${\beta}$-glucan contents were higher in pearled grains. Total ${\beta}$-glucan content was higher in waxy barley than in non-waxy barley. Duwonchapssalbori, a two-rowed and waxy naked barley cultivar, was highest in total, soluble and insoluble ${\beta}$-glucan contents. High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total ${\beta}$-glucan and soluble ${\beta}$-glucan contents both in covered and naked barley. There were significant annual variations in total ${\beta}$-glucan content in barley. Average contents of total, soluble and insoluble ${\beta}$-glucans of oat cultivars were 4.33, 3.44, and 0.89%, respectively. Contents of all fractions of ${\beta}$-glucans were higher in barley than in oat. These results would be useful for the breeding of high ${\beta}$-glucan variety and also for the use barley and oat as valueadded food ingredients.

찰성 및 메성 쌀보리 ${\beta}-Glucan$ Gum 특성 비교 (Characteristics of ${\beta}-Glucan$ Gums from Normal and Waxy Hull-less Barleys)

  • 성종은;이영택;석호문;김영수;고영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644-650
    • /
    • 1999
  • 국내산 쌀보리 품종중 ${\beta}-glucan$ 함량이 유사한$(4.6{\sim}5.0%)$ 메성 쌀보리 (무등쌀보리)와 찰성 쌀보리(찰쌀 보리) 각각 1품종씩을 선별한 후 이들로부터 ${\beta}-glucan$ gum 물질을 추출하여 물리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Crude ${\beta}-glucan$ gum의 평균 수율은 찰성 쌀보리에서 높았으며 ${\beta}-glucan$ 함량은 $57{\sim}64%$였다. 보리 ${\beta}-glucan$ gum의 점도는 찰성과 메성에서 유사하였고 의가소성의 유동특성을 보였으며 ${\beta}-glucan$ 농도가 증가할수록 그 점도도 증가하였다. 쌀보리가루의 아밀로 그래프에 의한 호화특성은 메성 쌀보리가 찰성 쌀보리에 비해 최고점도가 높은 반면 내부효소 불활성화처리에 의해서는 찰성 쌀보리의 최고점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쌀보리로부터 분리한 전분과 ${\beta}-glucan$ gum을 혼합하여 호화특성을 살펴본 결과 ${\beta}-glucan$은 쌀보리 전분의 점도를 증가시켰으며 그 효과는 메성 쌀보리 전분에서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beta$-glucan Contents and Their Characteristics of Winter Cereals According to Particle Sizes and Milling Recoveries

  • Kim, Sun-Lim;Park, Chul-Ho;Yu, Chang-Yeon;Hwang, Jong-Jin
    • Plant Resources
    • /
    • 제4권3호
    • /
    • pp.140-146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beta$-glucan contents and their characteristics of winter cereals according to particle sizes and milling recoveries. Sieved fractions differed in their average contents of $\beta$-glucans, and the coarse fraction had higher contents of $\beta$-glucan than finely milled fractions. In all winter cereals, the $\beta$-glucan contents of raw flour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ir brans, and the highest $\beta$-glucan contents of every cereals were observed at 100 mesh > or 100-140 mesh fractions except the Chalssalbori fractions which showed the higest $\beta$-glucan contents (12.9%) at 140-200 mesh fraction. As compared with the $\beta$-glucan content of Chalbori among the various milling recoveries, the $\beta$-glucan was distributed more evenly throughout the endosperm but $\beta$-glucan content in bran of Chalbori was only 1.5%. However, $\beta$-glucan content of Chalssalbori (hull-less waxy barley) was the highest in the subaleurone region (8.2%) and declined slightly toward inner layers of grain. This results suggest that $\beta$-glucan distribution between high (Chalbori) and low $\beta$-glucan barley (Chalssalbori) may explain the difference in milling performance of barley. On the other hand, $\beta$-glucan contents of two rye varieties (Chilbohomil, Chunchoohomil) were lower than those of two waxy barley varieties, and the higest $\beta$-glucan contents were observed at the 60% milling recoveries. In all winter cereals, the L-values (lightness) of raw flours were higher than those of brans. And the L-values of barley varieties were higher than those of oat and rye varieties. As the particle sizes and milling recovery ratios were decreased, the L-value were increased. The a-values (redness) in brans of every winter cereals were higher than those of every particle size flours and every milling ratio fractions, and this tendency was observed in the b-values (yellowness) of every particle size of cereal flours. The L and b-value of barley, the b-value of oat, and L, a, b-value of rye have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beta$-glucan contents, respectively. This results represent the fact that $\beta$-glucans affected the color of the flours and pounded grains of winter cereals.

  • PDF

보리로부터 분리한 ${\beta}-Glucan$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eta}-Glucan$ Isolated from Barley)

  • 김성란;최희돈;석호문;김성수;이영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164-1170
    • /
    • 1999
  • 찰성(waxy) 및 메성(non-waxy) 보리로 부터 ${\beta}-glucan$을 분리, 정제하였고 정제한 ${\beta}-glucan$의 표면구조, DSC특성, 고유점도를 비교하였으며 ${\beta}-glucan$의 첨가가 보리전분의 호화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보리의 총 ${\beta}-glucan$ 함량은 찰성보리가 6.5%, 메성보리가 5.3%였다. 알칼리 추출 후 1차 정제한 crude ${\beta}-glucan$${\beta}-glucan$ 함량은 찰성보리가 62.9%, 메성보리가 59.2%였으며, 수율은 찰성보리가 5.54%로 메성보리의 수율 3.34%보다 높았다. 2차 정제한 ${\beta}-glucan$의 수율도 찰성이 4.46%로 메성의 2.59%보다 높았다. SEM으로 관찰한 정제 ${\beta}-glucan$의 표면구조는 섬유상의 fibril들이 서로 얽힌 망상의 배열을 이루고 있었다. DSC로 측정한 융점은 찰성보리 ${\beta}-glucan$$184.6^{\circ}C$로 메성의 $180.3^{\circ}C$ 보다 높았고 겔화에 의한 상전이는 $68^{\circ}C$$84^{\circ}C$ 부근에서 2개의 흡열피크로 나타났으며 찰성 ${\beta}-glucan$의 엔탈피 값이 작았다 정제한 ${\beta}-glucan$의 고유점도는 메성보리보다 찰성보리 ${\beta}-glucan$이 더 컸다. 보리전분에 ${\beta}-glucan$을 첨가하여 호화시켰을 때 상승작용으로 비스코그램의 점도를 증가시켰으며 그 효과는 메성전분에서 현저하였다.

  • PDF

보리의 품종적 변이가 ${\beta}-Glucan$ 및 맥아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arietal Variation in Barley on ${\beta}-Glucan$ and Malting Quality Characteristics)

  • 이영택;이춘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72-177
    • /
    • 1994
  • 한국산 2조 및 6조 겉보리 10품종들의 품종적 변이가 ${\beta}-glucan$의 함량과 맥아제조시 맥아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2조 보리는 용적중, 천립중 및 풍만도에 있어서 6조 보리에 비해 월등히 높았으며 이는 맥아 추출물의 함량을 높이는 인자가 되었다. ${\beta}-Glucan$의 함량은 6조 보리가 2조 보리에 비해 높았다. 보리 품종들은 맥아의 품질 특성 및 맥아의 변형정도(degree of malt modification)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6조 보리는 제맥과정중 ${\beta}-glucan$의 함량 감소가 2조 보리에 비해 낮았다. 보리의 최초 ${\beta}-glucan$ 함량은 맥즙의 점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제맥후의 맥아 ${\beta}-glucan$ 함량이 맥즙의 점도와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전반적으로 2조 보리가 6조 보리보다 맥아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6조 보리의 맥주용으로서의 이용이 어려울 것으로 생각되나 제맥조건을 조절함으로써 일부 6조 보리의 맥아제조 적성을 재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되었다.

  • PDF

보리와 귀리의 품종 및 입도 분획별 ${\beta}-glucan$ 함량 (${\beta}-Glucan$ Contents with Different Particle Size and Varieties of Barley and Oats)

  • 정헌상;강태수;정익수;박희정;민용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610-616
    • /
    • 2003
  • 국내산 보리 17종과 귀리 5종을 정맥하고 분쇄한 후 $105{\sim}600\;{\mu}m$ 범위의 입도로 분획하여 총, 수용성 및 불용성(1-3),(1-4)-${\beta}$-D-glucan(${\beta}$-glucan)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정맥시 보리의 알곡비율은 65.1${\sim}$89.7% 범위였고, 귀리의 알곡비율은 53.4${\sim}$73.5% 범위로 보리가 높게 나타났다. 입도별 분획에 따른 보리와 귀리의 총 ${\beta}-glucan$ 함량은 보리와 귀리 모두 입자가 커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수용성 ${\beta}-glucan$ 함량은 중간 입도 범위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고, 불용성 ${\beta}-glucan$ 함량은 큰 입도 범위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총, 수용성 및 불용성 ${\beta}-glucan$ 함량은 원료분말 일 때 보다 보리는 1.5배, 1.7배 및 2.0배 증가하였고, 귀리는 각각 2.1배, 1.6배 및 2.0배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beta}-glucan$을 기능성 식품제조 원료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곡류의 품종과 목적하는 ${\beta}-glucan$의 용해 특성을 고려하여 최적 농축 입도 영역을 결정하는 것이 비교적 경제적이고 용이하게 많은 양의 ${\beta}-glucan$을 얻을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Synergistic effects of dietary $\beta$-1,3 glucan and feed stimulants in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Sungchul C. Bai;Park, Gunjun;Kim, Joon-Hyung;Cui Hua;Kim, Youngchul
    • 한국양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양식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요약집
    • /
    • pp.68-69
    • /
    • 2003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beta$-1,3 glucan and feed stimulants(BAISM) as a feed additive for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Eight experimental diets supplemented with $\beta$-1,3 glucan and feed stimulants at 0%, $\beta$-1,3 glucan 0.05% + Baism 0.45%, $\beta$-1,3 glucan 0.05% + Baism 0.95%, $\beta$-1,3 glucan 0.10% + Baism 0.90%, $\beta$-1,3 glucan 0.10% + Baism 1.90%, $\beta$-1,3 glucan 0.15% + Baism 1.35%, $\beta$-1,3 glucan 0.15% + Baism 2.85% and $\beta$-1,3 glucan 0.30% + Baism 2.70% of diets as a dry-matter(DM) basis were prepared. Three replicate groups of fish averaging 9.2 $\pm$ 0.1g (Mean $\pm$ SD) were randomly distributed in each aquarium as a group of 15 fish and fed one of eight experimental diets for seven weeks. After the feeding trial, $\beta$-1,3 glucan 0.10% + Baism 0.90%, $\beta$-1,3 glucan 0.10% + Baism 1.90% diets had a higher weight gain (WG), feed efficiency(FE), specific growth rate(SGR) and protein efficiency ratio(PER) than did fish fed 0%, $\beta$-1,3 glucan 0.05% + Baism 0.45%, $\beta$-1,3 glucan 0.05% + Baism 0.95%, $\beta$-1,3 glucan 0.15% + Baism 2.85% and $\beta$-1,3 glucan 0.30% + Baism 2.70%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fish fed $\beta$-1,3 glucan 0.05% + Baism 0.45%, $\beta$-1,3 glucan 0.05% + Baism 0.95%, $\beta$-1,3 glucan 0.15% + Baism 2.85% and $\beta$-1,3 glucan 0.30% + Baism 2.70%(P>0.05). and $\beta$-1,3 glucan 0.10% + Baism 0.90% diets had a higher peak value of CL(Chemiluminescence) and lysozyme activity, than did fish fed the other diets (P<0.05).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dietary sipplementation of $\beta$-1, 3 glucan and Baism affected growth, feed efficiency, specific growth rate, protein efficiency ratio, Peak value of CL and Lysozyme activity, and the optimum dietary supplementation level of $\beta$-1, 3 glucan and Baism as a feed additive could be approximately $\beta$-1, 3 glucan 0.10% + Baism 0.90% of diet in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PDF

난소절제 흰쥐에서 신령버섯의 β-Glucan과 난각 Ca 복합체가 골 대사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Agaricus blazei β-Glucan and Egg Shell Calcium Complex on Bone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Rats)

  • 노경희;장지현;김진주;박철우;김정옥;김재철;송영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10호
    • /
    • pp.1363-1370
    • /
    • 2006
  • 본 연구는 칼슘 급원으로서 $\beta-glucan-egg$ shell calcium complex($\beta-glucan-Ca$ 복합체)의 유효성을 확인하여 칼슘 보충제 개발에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신령버섯에서 추출한 $\beta-glucan$과 난각의 Ca을 결합시켜 $\beta-glucan-Ca$ 복합체로 제조하여 골다공증 실험동물에서 $\beta-glucan$$\beta-glucan-Ca$ 복합체가 골 대사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였다. 10주령의 Sprague-Dewley 암컷 흰쥐의 양쪽 난소를 절제(OVX)한 후 실험식 이를 급여하였으며 Sham-대조군(Sham-C)은 실험군과 동일한 스트레스를 주기 위해 난소를 절제하지 않고 개복수술만 실시한 후 실험하였다. 식이조성은 Sham-C, OVX-대조군(OVX-C)와 $OVX-\beta-glucan$군(OVX-G)은 $CaCO_3$로 Ca 함량이 0.5%가 되도록 조정하였으며, OYX-G군은 $\beta-glucan$을 첨가하여 제공하였다. $OVX-\beta-glucan-Ca$ 복합체군(OVX-GE)은 $\beta-glucan-Ca$ 복합체의 Ca 농도가 0.5% 함유하도록 조정하여 실험식이를 각각 조제하여 6주간 급여하였다. 체중 100 g당 건조시킨 대퇴골의 무게는 Sham-C>OVX-GE>OVX-C와 OVX-G의 순으로 나타나 $\beta-glucan-Ca$ 복합체를 제공한 OVX-GE에서 다른 OVX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골 무게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대퇴골의 골밀도는 각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Sham-C에 비해 $\beta-glucan$을 첨가한 식이를 제공받은 군에서 골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고 특히 OVX-GE에서 가장 높은 골밀도를 보였다. Ca체내 흡수율과 보유량은 각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OVX-C가 Sham-C에 비해 높았으며 OVX군에서는 $\beta-glucan$를 첨가한 군이 높은 수준을 보였다. ALP의 활성은 OVX군에서는 $\beta-glucan$을 첨가한 군이 다소 낮은 경향을 보였다. 요 중의 골 흡수 지표인 DPD crosslink value는 각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OVX군의 DPD crosslink value가 Sham-C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OVX군의 골 흡수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OVX군에서 $\beta-glucan$을 첨가한 식이를 제공한 OVX-G와 OYX-GE의 DPD crosslink value가 OVX-C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이었으며 $\beta-glucan$이 난소 절제 흰쥐 모델에서 골 대사에 영향을 미쳐 골 흡수율을 낮추어 골 보호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들로 미루어 볼 때, 비록 $\beta-glucan$을 제공한 군과 $\beta-glucan-Ca$ 복합체를 제공한 두 군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난소절제 흰쥐모델의 골 대사에서 $\beta-glucan-Ca$복합체 형태가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앞으로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beta-glucan-Ca$ 복합체 형태의 효과적인 농도는 계속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asting Properties of Crude ${\beta}-Glucan$ from Spent Brewer's Yeast on Wheat Flour and Starch

  • Yoo, Moon-Sik;Lee, Young-Tack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3호
    • /
    • pp.485-488
    • /
    • 2007
  • Plentiful amount of spent yeast has been produced as a by-product from breweries. ${\beta}-Glucan$ was prepared from the spent brewer's yeast in a crude form with hot water extraction and subsequent enzymatic treatment. The crude ${\beta}-glucan$ preparation consisted of mainly glucan (53% of total wt), containing approximately 35% ${\beta}-glucan$ content of total weight. The effects of crude ${\beta}-glucan$ substitution (1-9%) on pasting properties of wheat flour and starch were determined using a Rapid Visco-Analyzer (RVA). Incorporation of yeast ${\beta}-glucan$ into wheat flour and starch significantly decreased peak and [mal viscosities, but slightly increased setback viscosity. The setback viscosity was considerably higher in starch/${\beta}-glucan$ suspension than in flour/${\beta}-glucan$ suspension. It was suggested that preparation of yeast ${\beta}-glucan$ into aqueous dispersion might affect pasting behaviors of wheat flour and starch.

효소 전처리에 의한 상황버섯 β-glucan 추출물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mushroom Phellinus baumii extracts with enzyme pretreatment)

  • 손은지;류은아;이상한;김영찬;황인욱;정신교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1권1호
    • /
    • pp.101-10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상황버섯의 효소 가수분해 전처리를 통한 ${\beta}-glucan$의 최적 추출조건을 확립하고 그에 따른 활성을 알아보고자 추출 조건에 따른 생이화학적활성을 측정하였다. 효소가수분해 조건을 최적화하기 위해 실시한 반응표면분석법의 결과 0.66%(v/v)의 viscozyme 농도에서 6.08시간 반응하는 것이 최적이라 예측되었으며($R^2=0.9245$), 이에 따라 최적 추출 조건에서 추출한 시료의 ${\beta}-glucan$ 함량은 1.9594 g/100 g으로 측정되었다. 추출 수율(0.76-16.40%)은 EBE가 NEBE에 비해 약 3배 높았다. ${\beta}-glucan$ 순도(11.15-59.05%)로 가장 높았으며, ${\beta}-glucan$ 함량 또한 0.26-3.38 g/100 g으로 EB (3.38 g/100 g)가 가장 높았다. 총당 함량(0.61-1.17 mg/mL)은 NEB, EB가 NEBE, EBE보다 높았으며, EB가 가장 높았다. 구성당 분석 결과, 모든 추출물에서 glucose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와 효소 전처리구 모두 정제하면서 그 비율이 증가하였다. 단백질 함량(0.44-11.73 mg/mL)은 NEBE, EBE가 NEB, EB보다 높았으며, EBE가 가장 높았다. FT-IR 분석 결과 $890cm^{-1}$ 부근에서 peak가 확인되었기에 ${\beta}-glycosidic$ linkage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MTT assay를 통해 B6F10과 SK-MEL-5 세포 독성을 측정한 결과 B6F10의 경우 대조구의 세포 생존율을 100%로 하였을 때 세포 생존율이 80% 이상으로 나타나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SK-MEL-5에서는 EBE를 $100{\mu}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세포 생존율이 75%로 나타나 약간의 세포독성을 보였다. Wound healing assay를 통해 암세포 증식 억제활성 측정 결과, 정제한 NEB, EB가 NEBE, EBE보다 활성이 높았으며, 특히 12시간일 때 EB $30{\mu}g/mL$를 처리한 경우 B6F10과 SK-MEL-5 모두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