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speed curing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16초

철도교대 뒤채움재료의 시멘트 혼합 비율에 따른 강도 및 침하특성 분석 (Analysis of Settlement Characteristics and Strength of Cement Mixing Ratio for a Backfill Material at a Railway Abutment)

  • 양상범;최찬용;김낙경;김태균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2권9호
    • /
    • pp.29-36
    • /
    • 2016
  • 국내 철도교대 뒤채움재의 구조는 시멘트 안정처리된 골재, 일반 골재, 토사로 되어 있다. 시멘트 안정처리된 골재는 강도 증진효과로 인해 내부마찰각이 $40^{\circ}$이상 증가 된다. 그러나 실무에서는 교대설계 시 경험치인 $30{\sim}35^{\circ}$의 내부마찰각을 적용한다. 이는 과다설계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합리적인 물성치 값의 설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원형모형 실험과 CBR 실험을 통해 시멘트 안정처리된 골재의 시멘트 혼합 비율에 따른 강도 및 침하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시멘트 안정처리된 골재의 침하율은 반복재하 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또한 양생함에 따라 침하량이 감소하였다. 재령 28일 기준으로 일반골재 대비 시멘트 안정처리된 골재의 CBR 증가율은 13~16배 증가하였다.

소형 풍력 터빈 블레이드 재료로서 블래더 가압 방식 몰드 성형 프리프레그의 타당성 (Feasibility of Bladder Compression Molded Prepreg as Small Wind Turbine Blade Material)

  • 이보건;서성원;송명호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3권2호
    • /
    • pp.95-101
    • /
    • 2020
  • 풍력터빈 블레이드는 바람의 운동에너지를 축일로 변환하는 장치로서 상대적으로 고속 회전하면서 양력과 항력의 다양한 하중 조합과 진동에 견딜 수 있도록 내구 강도가 큰 경량의 재료를 선택하여 강성을 증가시키는 구조를 갖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CFRP 프리프레그를 사용하여 소형 풍력 블레이드를 제작하는 경우 공정 시간을 단축하는 기술을 개발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QBlade 수치해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블레이드의 형상을 결정하였다. 주어진 풍속에서 바람에 의해 부가되는 양력과 항력을 계산하는 유체역학 수치해석을 수행하고, 대표적인 블레이드 구조에 대해 블레이드 외피 재료에 가해지는 폰미세스 응력을 예측하는 재료역학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인장 강도 시험의 불확실도를 개선하기 위해 ASTM D638 규정을 수정하여 새로운 시편의 형상을 제안하였고, 기존 형상의 인장 강도와 유사한 평균값을 얻되 파단 위치의 재현성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일련의 실험을 통해 소형 풍력블레이드의 제작에 블래더 가압 방식을 적용하면 충분한 내구 강도를 확보하면서 공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2급(級) 와동(窩洞) 수복시(修復時) 치아파괴(齒牙破壞) 저항성(抵抗性) 및 귀열양상(龜裂樣相)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FRACTURE RESISTANCE AND CHARACTERISTICS OF TEETH IN CLASS II CAVITY RESTORATIONS)

  • 주익남;박상진;민병순;최호영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3권2호
    • /
    • pp.337-348
    • /
    • 198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racture strength and characteristics of teeth with MOD cavity preparation. Freshly extracted sound maxillary premolars were cleaned and stored in normal saline solution $37^{\circ}C$ for 72 hours before experiments. The roots of teeth were embedded in a self-curing resin, and the exposed crown were maintained in a vertical position by a modelling wax in a brass ring. The MOD cavities were prepared with No. 57 carbide bur under high speed to a depth of 2.0mm and a width of 2.0mm(Fig.1). All the prepared teeth specimens were divided into 7 groups according to the mode of cavity form and restorative materials (Table 1, 2): Group I, unpreapred, intact teeth as control Group II, prepared cavity without restoration Group III, prepared teeth restored with amalgam Group IV, prepared teeth restored with composite resin (P-10) Group V, prepared teeth with beveled enamel margins restored with composite resin (P-10) Group VI, prepared teeth restored with light-cured composite resin (P-30) Group VII, prepard teeth with beveled enamel margins restored with light-cured composite resin (P-30) After placement of restorations, all of the specimens were stored in water at $37^{\circ}C$ for 72 hours before testing. All of the specimens were tested on the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No. 6025) in order to evaluate the strength of fracture. One metal ball 5.0mm in diameter contacting the specimens parallel to the occlusal surface was used to in this study (Fig. 1). The fracture characteristics of the specimens were examined with naked eye and in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JSM-20).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fracture strength was the highest in group VI and that in group II was the lowest. 2. The progress of crack of teeth propagated into the pulp cavity. 3. In case of the group of the restored teeth, the crack occurred to be accompanied with cuspal fracture. 4. The crack of restored teeth was initiated along the pulpo-axial line angle of the cavity.

  • PDF

강화재의 사용 방법이 복합 레진 인레이 브릿지의 파괴 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inforcing methods on fracture strength of composite inlay bridge)

  • 변창원;박상혁;박상진;최경규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2호
    • /
    • pp.111-120
    • /
    • 2007
  • 본 연구는 복합레진 인레이 브릿지에서 강화재의 표면 처리와 사용 방법이 파괴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강화재료는 I Beam, U Beam, 1 + U Beam이었으며, 표면처리 방법은 Silane, Sandblast, Hole형성 (U beam)이었다. 강화 재료의 구성과 표면 처리 방법에 따라 총 11개의 실험군을 설정하였다. 상악 인공치 모형에서 제2소구치의 발거 상태를 가정하고 복합레진 인레이 브릿지 제작을 위하여 인접한 제1소구치에 DO, 제1대구치에 MO 와동을 형성하였다. 와동이 형성된 인공치 모형을 고무 인상체를 이용하여 석고로 제작하고, 각 실험군 별로 강화재료와 강화 재료의 표면 처리 방법에 따라 Tescera ATL (BISCO Inc. IL, USA) 복합레진을 사용하여 복합레진 인레이 브릿지를 제작하였다 그 후 시편을 복제모형에 인산아연시멘트로 합착하고 Universal testing machine (EZ Test, Shimadzu, Japan)을 이용하여 flexural stress를 가하여 파괴 강도를 측정하였으며 95% 유의 수준에서 one-way ANOVA/ Scheffes post-hoc test를 시행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내부 강화재 I beam을 사용한 실험군이 유의성 있게 높은 파괴 강도 값을 보였다 (P<0.05). 2. 표면 처리 방법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P>0.05). 3. 복합레진 인레이 브릿지의 파괴는 강화 재료를 사용 시에는 복합레진과 강화 재료간에 분리 파괴가 나타났으며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수직파괴 경향이 나타났다. 4. U beam에 유지 hole을 형성한 경우 파괴 강도 증가를 시키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