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rise fire escape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5초

A Study on Securing Safety for High Rise Building Fires - Applying Active Fire Escape Systems -

  • Myung Sik, Lee;Sung Jae, Han
    • 국제초고층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227-240
    • /
    • 2022
  • Under the Korean Enforcement Decree of the Building Act, all high story apartment houses more than 5 stories high are mandated to install a fire evacuation system to ensure safe evacuation from fire accidents and providing quick and easy bidirectional escape route when main entrance is blocked by flame or toxic smoke. However, the current fire evacuation system shows a lack of understanding from residents and thus is widely ignored for having insufficient safety functions, especially vis-à-vis fire emergencies. Studies have found that an alternative evacuation method, the escapable fire evacuation system, has been analyzed for safety evaluation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passive fire escape system and can bring efficient and safer solutions, providing high rise residents escape from fire accidents. Evaluation for safety evacuation has been performed by the Fire Dynamics Simulation and applying Pathfinder simulation. This resulted in providing appropriate escape routes within the safety escape time and allowed for people in high rise building fires to get to safety.

고층 사무소건축의 화재안전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A Study on the Fire Safety of High-rise Office Buildings in Respect of Architectural Design)

  • 이강훈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3-15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refernce data to be considered in designing for the fire safety of high-rise office buildings. This paper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high-rise office buildings in the fire safety aspects, the basic principles for the fire safety of high-rise office building design, and this study is focused particularly on the location of the escape route of core plan for fire safety in high-rise office buildings.

  • PDF

우리나라 고층건축화재의 문제점과 그 대책의 기본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blems of High-rise Building Fires in Korea and the Basic Directions for Fire Safety of High-rise Building Design)

  • 이강훈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15-26
    • /
    • 1990
  • Building become higher. larger and more complex than ever before, showing abrupt changes in building structures. forms and mechanical systems. Likewise hazads of fire and the scale of fire losses become more and more greater. Therefore. considerations for fire safety take up great portion of the building design process. In this study, problems of high-rise building fires and basic directions for fire safety of high-rise building design were studied through the statistical analysis of 138 fire ca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Most of the fires in high-rise building occur on the low floors and the fire frequencies are very low on the upper floors. Fire casualties are liable to be more on the upper floors than on tile floor of fire origin. ·The important causes of evacuation failures were analyzed as being late in escape and lack of stairwell enclosures. ·The main cause of vertical fire spread is lack of stairwell enclosures. However, the fire spreads mainly through the enterior windows in apartment houses. The combustible materials in buildings act on as the major factors of horizontal fire spread and the improper fire doors play role of another the critical causes. ·The basic directions for fire safety of high-rise building design put much stress firstly on the compartmentation of the buildings effectively performing the provision of safe escape routes and the safe refuse places in buildings.

  • PDF

연기발생으로 인한 시야장애가 초고층 공동주택 거주자의 피난계단실 진입시간과 피난경로에 미치는 영향 (How Visual-Field Obstruction from Fire Smoke Influences a Resident's Necessary Time to Reach Fire Escape and Evacuation Route in a High-rise Apartment Housing)

  • 서상목;최준호;홍원화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103-110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how visual-field obstruction from fire smoke influences a resident's necessary time to reach fire escape and evacuation movement in a high-rise apartment housing. Generally, fire smoke not only gives visual-field obstruction and breath troubles to residents but interrupts their evacuation behavior. If a fire smoke layer is formed in the core department when evacuee enters at the evacuation staircase until, residents will be made to undergo a range of vision obstacle. In order to set a situation like that, participants wore eye bandage which had been made especially before the experiment. Also as a comparative standard, through no.1442 Japanese construction ministry notices about the building evacuation safety verification method, this study calculated smoke layer's dissent time and evacuation time. Then to compare with the former, the participants without an eye bandage joined a experiment once again. This study has understood how fire smoke effects on one's evacuation delay by analyzing residents' evacuation time to reach the staircase and movement route, however, in this study a toxic gas is not considered because it might threaten participants not to breathe.

화재 시 승강기를 이용한 피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cape using elevators in fire emergency)

  • 정의수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5-68
    • /
    • 2007
  • Because of not accepted on escape using elevators in fire emergency has some background. In the background elevator hoistway has turn into smoke spread route in fire. The escape that used an elevator was not able to make ends meet; of the big confusion is expected that cannot control the escape adequately, and do that elevator facilities breakdown possibility by the fire water, the escaper shut in car. Therefore ban on elevator service in fire time as a general rule. Recently, a few company promote super high-rise architecture in the country, a fire disaster prevention and human life safety measures preparation for PBD(A Performance Based Fire Protection Design) are studied concretely. And there is the escape example in fire time that used an elevator in the foreign country. You must promote it so that the escape measures that used enclosed stairway and an elevator in charge of a function of the mutual supplemen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be used for establishing the standard and regulation for using elevators in fire emergency.

  • PDF

인간행동습성과 피난계단의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uman Behavioral Pattern and the Design of Escape Stair)

  • 이강훈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3-12
    • /
    • 1998
  • 이 연구는 인간의 중요한 행동습성 중의 하나언 좌회전숨성윷 건축설계에 고려활 경우, 고총건 불의 지상총 피난계단은 좌회전계판(피난층으로 내려갈 때 좌회전하여 내려가도록 설계원 계딴) 으료 설계하는 것이 재실자가 보다 더 안전하고 빠료게 피난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윷 현장조사 및 실험을 통하여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2 20충 규모의 고층건불윷 이용하여 펴난자가 펴난총으로 내려갈 때의 펴난속도를 측정한 결과, 오른손잡이의 경우는 좌회전계단의 사용이 우회전계탄(피난층£로 내려갈 때 우회전하여 내려가 도흑 설계된 계란)의 사용시보다 편하고 빠른 반면, 왼손잡이의 경우는 우회전계란의 사용이 좌회 전계딴의 사용시보다 편하고 빠르다는 것윷 확인하였다, 그려고 우려나라논 94% 이상의 사람이 오른손잡이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현재 우려나라 고층건울의 지상총 펴난계단은 조사결과 7 76% 이상이 우회전계딴임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잘못 설계원 펴난계딴의 실태를 감안해 볼 때 이의 시정을 위해서는 판원볍규의 피난계딴 구조기푼에 고총건물의 지상층 펴난계딴은 좌회전계 딴요로 설계하도록 규정할 펼요가 있다.

  • PDF

고층건축물의 피난기구 도입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승강식피난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Evacuation Instrument in High-rise Buildings - Focusing on Elevator Type Evacuation Instrument -)

  • 최규출;나판주;설영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3호
    • /
    • pp.10-19
    • /
    • 2014
  • 고층건물화재에서는 화재층에서 피난층까지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져야만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현행 국가화재안전기준(NSFC 301)이 정하는 적응성 있는 피난기구 중 고층건축물에 적용이 가능한 피난기구를 선정하여 현장 적응시험을 통한 11층 이상에서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현장 시험결과 현재 11층 이상에서 제한하고 있는 피난기구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신기술로 개발된 신개념 승강식피난기는 소방기관의 안정성 검사와 성능인증시험을 마친 제품으로 고층건축물 피난기구로 도입하여도 문제가 없다는 분석결과를 얻었다. 전력을 사용하지 않고 피난자의 체중(體重)을 이용하는 승강식피난기는 고층건축물 화재시 짧은 시간에 많은 인원의 피난이 가능한 피난기구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장애인이나 중증환자 등이 이용하는 건물에서 이용자 특성을 고려한 피난기구로는 무동력으로 작동되는 승강식피난기가 맞춤형 피난기구로 적응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경호경비계획을 위한 사무용 고층건축물의 피난안전성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cape Safety Assessment of High-Rise Office Buildings for Security Plans)

  • 박남권;이영주;윤명오
    • 시큐리티연구
    • /
    • 제28호
    • /
    • pp.57-77
    • /
    • 2011
  • 최근 국내외적으로 고층건축물에서 화재, 테러 등의 재난에 의한 연소의 확대로 인하여 재산 및 인명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고층건축물에 대한 안전대책의 일환으로 고층사무용건축물에서 재실자의 피난행동예측 및 피난안전성평가를 위해 각각의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피난시뮬레이션을 실행하였고, 그 결과데이터를 토대로 피난안전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 및 제안사항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현재 경호경비분야에서 고층건축물 및 다중이용시설에 관한 연구는 질적인 연구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며, 고층건축물에 대한 경호경비계획에서 심층 분석하고 다각도로 대비함으로서 구체적 실질적 체계적 합리적인 종합안전대책이 마련되어야 위기상황 발생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둘째, 고층건축물에 대한 경호경비계획에서 피난구획의 설정은 비상시 피난에 있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이 되었다. 셋째, 고층건축물에 대한 경호경비계획에서 복수 층의 동시 피난 상황을 고려하여, 층별 피난출구의 설정으로 전체 피난완료시간의 단축이 가능함이 확인되었다.

  • PDF

사례를 통한 공동주택의 피난성능에 관한 연구 (A Case study on the Escape Performance of Apartment Buildings)

  • 이용재;이범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59-69
    • /
    • 1998
  • 공동주택의 피난 및 피난경로에 관한 일반적인 이론과 법규정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화재 사례 및 건립 분양 중에 있는 공동주돼을 연구사례로 선정 피난상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단순히 방화관련법규에서 규정하고 있는 사항만을 경제적인 논리, 입주자의 편익, 법규정의 미비로 피난성능을 무시한 채 피난계단의 설치로 특별피난계단의 설치를 대신하 고 있다. 또한 피난의 안전성 확보측면에서 발코니의 설치로 체류공간을 확보해야 하나 실 내공간의 확보에 밀려 미설치 혹은 개조를 전제로 건축되고 있다. 따라서 법규정의 정비, 성능위주의 설계 등이 요구된다.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