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 tide

검색결과 463건 처리시간 0.041초

낙동강 하구의 염수운동 (Saline Water Movement In The Estuary Of The Nakdong River)

  • 장선덕;유청노;이문옥;이재철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1-37
    • /
    • 1981
  • 우리나라 남동부의 광범한 유역을 따라 흐르는 낙동강은 국내에서 가장 긴 하천의 하나로서 영남지역을 굽이쳐 흐르다가 부산 앞바다를 통하여 대한해협에 유입한다. 이 강의 하구는 유역주민의 생활 및 산업용수원으로서 중요할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산업입지 및 자연환경 보전문제로서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다. 낙동강은 하구로부터 약 40km상류까지 상향류를 보이며, 약 60km상류까지 조석의 영향을 받는 감조하천으로서 (유 장 1979), 하구역에는 해수, 하천의 담수 및 양자의 혼합수가 조석의 간만등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유출되기도 하고 유입되기도 한다.

  • PDF

추계와 동계 섬진강하구 부유퇴적물농도 변화 (The Change of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during Fall and Winter Months)

  • 이병관;이수웅;김석윤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42-550
    • /
    • 2011
  • Changes of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located in south sea of the Korea peninsula were investigated during the spring tide in autumn (i.e. 25 hours in October) 2000 and winter (i.e. 25 hours in February) 2001. The change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during the spring tide in October 2000 showed larger variations than the those in February 2001. During the spring tide in October 2000, currents at bottom layer were observed to be stronger than during the spring tide in February 2001, showing that both of the two periods had ebb currents-predominant tide asymmetries. The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s in October 2000 were larger than the those in February 2001. At the time of the maximum of tide currents or after about one hour of the maximum during the autumn months, the suspended sediment turbidity was observed to be maximum. Another observation station at Hadong upstream from the Seomjin river estuary showed about one hour delay in tide phase, Thereby, the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showed high turbidity after two hours at bottom and three hours at surface layer, in particular, in October 2000. This results can be explained by the facts that river discharg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summer rainy season, causing also increase of erosion processes by strong current velocity at bottom layer.

갈대군락의 현존량과 환경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anding Crops in Phragmitis communis Communities and their Environmental Factors)

  • 김철수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8권3호
    • /
    • pp.129-134
    • /
    • 1975
  • It was studied of relation between biomass of reed communities (Phragmitis communis) and several environmental factors concerned with such as chlor ine, pH, humus content in soil and depth of seawater submerged. Two sites where were the different geographical conditions were set up. One site had two plots: H plot, at theshallows of seawater, was not submerged except at full tide or at heavy rainfall, and M plot, at medium depth of seawater, submerged at every common tide at inside of a bank along the west seashore of Mu-An-peninsula. The other site also two plots: M' plot, at medium depth, submerged about 10 hours at each tide, and L plot, at deep seawater submerged every tims at tide at the outside of a bank along the eastside estuary of Youngsan river. Maximum standing crop of the reed community was shown on 25th of June: biomass at H M, M' and L plot were respectively 4.65, 3.60, 0.98, and 0.67 kg dry weight per $m^2$. Density of individual at H, M, M' and L plot was 67, 78, 244 and 333 plants per $m^2$. Net production of the terrestrial parts of rred community on the outside of the bank were lesser as much as a sixth than that on inside, but the density of the plant on outside of the bank was higher as much 4 or 5 times than that on inside. It was assumed that the growth of reed plant was inhibited by high chlorine, high pH, less humus in soil and submergence of seawater for long period.

  • PDF

조석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특성 (Some Characters of Students' Understandings about Tide Concept)

  • 국동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29-436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students' alternative frameworks about tide concept, to investigate some characters of them and students' understanding types with increasing grade in secondary school earth science course. The objective questionnaire method was used, and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528 students selected randomly in secondary school. The results are as follow. 1) Thirteen alternative frameworks about tide concept, related to the phase change of the moon and the motion of the earth are identified. 2) The alternative frameworks needed mechanical and causal reasoning have the trend reinforced or sophisticated with increasing the grade. And alternative frameworks needed phenomenal and mechanical, phenomenal and causal reasoning are changed little but ones needed phenomenal, variative and basic reasoning change scientifically. The rates of the alternative frameworks needed definitional, empirical, phenomenal reasoning decrease at the learning grade of that concept but increase after that grade. 3) Middle school students have the definitional, phenomenal, empirical and qualitative understanding types but high school students have the causal, analytic, quantitative and mechanical ones on tide concept.

  • PDF

X-Band 레이더를 이용한 해양오염 관측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 Method for Detecting Marine Pollution Using X-band Radar)

  • 박승근;양영준;박준수;권순홍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53-56
    • /
    • 2010
  • Oil spills and red tide can be very damaging to the environment and fishery farming. These catastrophic accidents must be detected as quickly as possible. In this paper, we report the results of applying the wavelet transform to SAR or marine radar images for the detection of the boundaries of an oil spill or red tide. The application of the wavelet transform to these phenomena looks quite promising in detecting the boundaries of oil spills and red tide areas.

병렬 유한요소 모형을 이용한 황해의 실시간 조석 및 태풍해일 산정 (Realtime Tide and Storm-Surge Computations for the Yellow Sea Using the Parallel Finite Element Model)

  • 변상신;최병호;김경옥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9-36
    • /
    • 2009
  • Realtime tide and storm-surge computations for the Yellow Sea were conducted using the Parallel Finite Element Model. For these computations a high resolution grid system was constructed with a minimum node interval of loom in Gyeonggi Bay. In the modeling, eight main tidal constituents were analyzed and their results agreed well with the observed data. The realtime tide computation with the eight main tidal constituents and the storm-surge simulation for Typhoon Sarah(1959) were also conducted using parallel computing system of MPI-based LINUX clusters. The result showed a good performance in simulating Typhoon Sarah and reducing the computation time.

한국 남해중부해역의 적조발생에 관한 기상 및 해양환경 특성 (Characteristics of Meteorological and Marine Environments for the Red Tide Occurrence of Mid-South Sea in Korea)

  • 윤홍주;김승철;박일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845-852
    • /
    • 2003
  • 한국 남해 중부해역에서의 적조발생과 기상 및 해양 인자와의 관계, 적조발생 적지선정 그리고 위성을 이용한 적조모니터링의 가능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적조는 전조사기간(1990∼2001)에 걸쳐서 매년 발생하고 횟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때 주로 7월, 8월, 9월에 집중해서 발생을 했다. 적조발생 횟수를 증가시키는 메카니즘을 지배하는 가장 중요한 기상인자는 강수량이 였다. 적조형성과 관련된 해양환경학적인 조건은 따뜻한 수온, 저염분, 고농도의 부유물질, 낮은 인산염 및 질산염이 였다. 적조가 발생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기상조건은 최소한 2∼4일 전에 23.4∼54.5 nm(일누적값) 정도의 많은 강수량이 나타났다. 또한 적조발생 당일 적조가 잘 형성될 수 있는 우호적인 기상조건은 $24.6∼24.9^{\circ}C$(일평균값)의 따뜻한 기온, 2∼10.3 h(일 누적값)의 적절한 일조시수, 2.4∼4.6 m/s(일평균값)의 풍속 및 남서풍계열의 바람이 등이 요구되어 진다. 위성자료를 이용하여 적조발생 시의 농도와 공간분포를 파악할 수 있었다. 적조가 잘 발생할 수 있는 최적지로서는 여수∼돌산해역, 가막만 북부지역, 남해 일부해역, 나로도해역, 고흥 남부의 일부 연안, 득량만과 인접한 고흥 서부 해역이 였다.

한국 남해중부해역의 적조발생에 관한 기상 및 해양환경 특성 (Characteristics of Meteorological and Marine Environments for the Red Tide Occurrence in Mid-South Sea of Korea)

  • 윤홍주;김승철;박일흠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3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323-328
    • /
    • 2003
  • 한국 남해 중부해역에서의 적조발생과 기상 및 해양 인자와의 관계, 적조발생 적지선정 그리고 위성을 이용한 적조모니터링의 가능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적조는 전조사기간(1990~2001)에 걸쳐서 매년 발생하고 횟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때 주로 7월, 8월, 9월에 집중해서 발생을 했다. 적조발생 횟수를 증가시키는 메카니즘을 지배하는 가장 중요한 기상인자는 강수량이였다. 적조형성과 관련된 해양환경학적인 조건은 따뜻한 수온, 저염분, 고농도의 부유물질, 낮은 인산염 및 질산염이였다. 적조가 발생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기상조건은 최소한 2~4일 전에 23.4~54.5mm(일누적값) 정도의 많은 강수량이 내려야한다. 또한 적조발생 당일 적조가 잘 형성될 수 있는 우호적인 기상조건은 24.64~26.48$^{\circ}C$(일평균값)의 따뜻한 기온, 2~10.3h(일 누적값)의 적절한 일조시수, 2.4~4.6m/s(일평균값)의 풍속 및 남서풍계열의 바람이 등이 요구되어진다. 위성자료를 이용하여 적조발생 시의 농도와 공간분포를 파악할 수 있었다. 적조가 잘 발생할 수 있는 최적지로서는 여수~돌산해역, 가막만 북부지역, 남해 일부해역, 나로도해역, 고흥 남부의 일부 연안, 득량만과 인접한 고흥 서부 해역이였다.

  • PDF

스펙트럼 분석을 통한 2016년 하계 한국연안의 수온변동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ummer Water Temperature Fluctuations by Spectral Analysis in Coast of Korea in 2016)

  • 서호산;정용현;김동선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86-19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동해, 서해 및 남해안에서 하계 수온의 단기적인 변화에 영향을 주는 환경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제공하는 2016년 하계 조위관측소의 수온, 기온, 조위 및 바람자료를 이용하여 스펙트럼 분석을 실시하였다. Power spectrum 분석 결과, 평균조차가 100 cm 이상인 서해안(인천, 평택, 군산 및 목포)과 남해안(완도, 고흥, 여수, 통영 및 마산)에서는 수온, 조위가 동일한 주기에서 peak가 나타났다. 반면에 서해안과 남해안에 비해 평균조차가 상대적으로 작은 동해안(묵호, 포항 및 울산)과 부산에서는 수온의 주기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Coherence 분석에서 서해안과 남해안의 3개 정점(완도, 고흥, 통영)은 수온과 조위의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완도와 통영에서 수온과 조위의 상관성은 반일주기에서 0.96으로 높았다. 여수는 조석과 담수의 유입이 수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마산의 수온은 남풍의 바람 영향이 가장 크지만 조석과 담수의 영향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동해안은 조차가 작고 해류의 영향이 크기 때문에 수온에 대한 조석의 영향이 작은 것으로 사료된다. 환경 요인의 시계열그래프를 비교한 결과, 수온과 조위가 상관성이 높게 나타난 정점은 창조 시 비교적 저수온의 외해수가 유입되고 낙조 시 빠져나가는 것으로 판단된다. 일주기의 수온 변화는 조석의 영향이 크지만 전체적인 수온의 상승과 하강은 기온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서해안의 태풍해일특성과 고극조위 (Typhoon-Surge Characteristics and the Highest High Water Levels at the Western Coast)

  • 강주환;김양선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1권2호
    • /
    • pp.50-61
    • /
    • 2019
  • 서해안 지역에서 대형태풍에 의한 해일유형을 세 가지로 구분한 후 그 특성을 고찰하였다. 태풍 OLGA(9907)와 KOMPASU(1007)가 대표적인 첨두형 태풍인데 빠른 이동속도로 서해안에 근접하여 통과한 태풍으로 최대해일고 발생이 조시와는 무관한 특성을 보인다. 반면 태풍 PRAPIROON(0012)과 BOLAVEN(1215) 등은 대표적인 지속형으로서 느린 이동속도로 서해안에서 이격하여 통과한 태풍이며 주로 저조시에 최대해일고가 발생하는 조석변조해일 특성을 보인다. 한편 태풍 MUIFA(1109)와 WINNIE(9713)의 경우 지속형으로 구분될 수는 있지만, 외부에서 전파되어 온 해일유형으로 구분되어 조석변조해일 특성은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해일유형을 토대로 서해안 지역에서 고극조위가 발생하는 패턴을 구분한 결과 현재까지 해면고가 가장 높았던 경우는 태풍 WINNIE(9713)와 같은 전파형의 크지 않은 해일고가 백중사리의 높은 조위조건과 겹쳐 발생한 경우였다. 향후 높은 조위조건에 첨두형 태풍이 겹칠 경우 전무후무한 고극조위가 발생할 수 있을 가능성이 다소 낮은 확률로 존재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대형태풍이 저조시에 최대해일고가 발생하는 지속형임을 감안하면 저조시 크게 나타난 해일고를 단순히 약최고고조위에 가산하여 설계조위를 산정하는 설계법은 과다설계의 우려가 크다. 태풍해일 수치모의를 통해 극치해면고를 산정할 경우에도 가급적 다양한 조위조건을 함께 부여하여 조석-해일 비선형성이 재현되도록 해야 하며, 태풍의 이동속도와 최근접거리에 따른 해일특성에 대한 변화양상을 주의 깊게 고찰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