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 seeding

검색결과 468건 처리시간 0.032초

벼 직파 유형별 생육 및 수량 비교 연구 (Comparison of Rice Growth and Yield in Different Direct Seeding Methods)

  • 박광호;박성태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9권1호
    • /
    • pp.119-128
    • /
    • 2017
  • 벼 직파재배 유형별(철분 무논점파, 복토 무논점파, 철분 담수산파, 기계이앙-대조구) 생육 및 수량 비교를 위한 포장시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① 벼 직파재배 유형별 출아일수는 8~9일 소요되었으며, m2당 입모수는 철분 무논점파>복토 무논점파>철분 담수산파>관행 담수산파 순으로 많았다. 결주율은 복토 무논점파 2.7%, 철분 무논점파 2.0%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② 주요 벼 생육시기별 초장 생육은 무논점파법이 담수산파에 비하여 생육초기 초장이 다소 높게 경과되었으나 파종 후 75일에는 관행 담수산파를 제외한 벼 재배방법에서 통계적 유의성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③ 벼 경수 생육은 철분 담수산파에서 가장 높게 경과되었으며 철분 무논점파, 관행 담수산파, 복토 무논점파, 기계이앙 순이었다. ④ 벼 수량구성요소에서 m2당 수수는 철분 담수산파>철분 무논점파>관행 담수산파>복토 무논점파>기계이앙 순으로 많게 나타났다. ⑤ 벼 직파재배 유형별 쌀 수량은 철분 담수산파 640kg/10a, 철분 무논점파 619kg/10a, 기계이앙 601kg/10a, 관행 담수산파 599kg/10a, 복토 무논점파 544kg/10a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⑥ 현미품위는 완전립 비율이 복토 무논점파 65.8%, 철분 담수산파 65.4%, 철분 무논점파 62.7%, 기계이앙 62.3%, 관행 담수산파 62.2% 순으로 높았다.

파종량과 제초제 처리가 수단그라스계 잡종의 수량과 잡초억제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Seeding Rate and Herbicides on the Yield and Weed Control of Sorghum-Sudangrass Hybrid ( Sorghum bicolr ( L. ) Moench ) )

  • 임상훈;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62-69
    • /
    • 1983
  • 수단그라스계 잡종(雜種)인 Pioneer988의 수량(收量)과 잡초억제(雜草抑制) 및 조단백질함량(粗蛋白質含量)에 대한 파종량(播種量)과 제초제(除草劑)의 효과(效果)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파종량은 ha당(當) 25kg와 50kg으로 처리하였으며 제초처리(除草處理)는 인력제초(人力除草), alachlor 처리, simazine 처리 및 alachlor와 simazine을 복합(複合)처리하였고 대조구로 잡초(雜草) 효임구(效任區)를 두었다. 수량(收量)은 파종량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잡초 방임구에서는 고파종량(高播種量)이 높은 수량(收量)을 보여주었으며, 제초처리 간에는 alachlor+simazine복합처리구가 가장 높은 수량을 보여주었으나 인력제초구(人力除草區)와 simazine처리 간에 유의성은 없었다. 잡초수량(雜草收量)은 파종량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잡초구에서만은 고파종량(高播種量)이 잡초수량을 낮추는 경향이 있었고, 제초처리 중에는 alachlor+simazine복합처리가 가장 낮은 잡초수량을 보였다. 1회 수확시(收穫時) 초장(草長)은 인력제초구(人力除草區)가 제초제처리구보다 높았으나 3회 평균치(平均値)에서는 alacholor+simazine복합처리구가 가장 높았고 잡초구(雜草區)가 가장 낮았다. 파종량은 초장(草長)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ha당(當) 주수(株數)는 고파종량구(高播種量區)에서 많았으나 주당(株當) 분얼경수(分蘖莖數)는 저파종량구(低播種量區)에서 많았으며 제초처리구 간에는 주수(株數)와 분얼경수(分蘖莖數)에 유의하가 없었고 잡초구에서만 낮은 수치를 보였다. 사초(飼草)의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은 파종량(播種量)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simazine처리와 alachlor+simazine 복합처러가 인력제초(人力除草)나 alachlor 처리보다 조단백질함량(粗蛋白質含量)을 높여주었다. 이상의 결과(結果)를 종합하면 청예용(靑刈用) 수단그라스계 잡종(雜種)을 산파(散播)할 경우에 파종량은 ha당(當) 25kg이 적당하다고 할 수 있으며 잡초제거는 반드시 실시하되 alachlor와 simazine을 복합처리하는 것이 가장 제초효과가 좋았고 높은 수량과 아울러 높은 조단백질함량(粗蛋白質含量)을 얻을 수 있다고 하겠다.

  • PDF

돌나물의 가을 노지삽목에서 삽수부위 및 삽식방법에 따른 생육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as Influenced by Cutting Site and Planting Method in Autumn Field Cutting of Sedum sarmentosum)

  • 안정호;권지웅;배종향;이승엽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0-65
    • /
    • 2008
  • 돌나물의 노지 가을삽식을 위하여, 줄기의 삽수 부위(상부, 중부, 하부) 및 삽식 방법(점파, 조파 산파)에 따른 월동전후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삽수부위에 따른 삽목후 40일째의 월동전 생육은 상부 삽수에서 초장, 근장, 줄기수, 지경수, 지상부 생체중 및 건물중 등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월동후 개화전(May 10th) 생육은 개체당 줄기수, $m^2$당 지상부 생체중 및 건물중에서 하부 삽수보다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삽식 방법에 따른 삽목후 40일째의 월동전 생육은 점파($10{\times}10cm$)가 조파나 산파보다 양호하였고, $m^2$당 지상부 생체중 및 건물중도 점파>산파>조파 순으로 높았다. 월동후 생육(May 10th)은 개체당 줄기수, $m^2$당 생체중 및 건물중에서 점파가 조파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돌나물의 가을 노지 삽식은 줄기 상부의 삽수를 이용하는 것이 월동 전후 생육 및 수량성에 유리하였으며, 삽식방법은 점파에서의 수량성이 가장 양호하였으나, 생력화를 위해서는 월동후 생체중에서 점파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혼파방법이 바람직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Effects of Seeding Rates and Phosphorus Levels on the Productivity of Atylosia scarabeoides (Benth.)

  • Iji, P.A.;Kolawole, O.A.;Bawa, G.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0권2호
    • /
    • pp.196-200
    • /
    • 1997
  • Glasshouse investigation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and yield of Atylosia scarabeoides on soils of the northern guinea savanah zone of Nigeria. Seeds were sown at four rates 50, 75, 100 and 125 kg/ha. Single superphosphate (SSP) fertilizer was applied at sowing at four rates 0, 60, 90 and 120 kg/ha. Seeding (plant) population at one month and at harvest was significantly (p < 0.01) influenced by seeding rate but not fertilizer level. Fresh herbage yield was strongly (p < 0.01) dependent on fertilizer level, with the highest (not significant) dry matter yield at 90 kg SSP/ha. Seeding rate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herbage yield. The crude protein content of herbage rose with increase in fertilizer level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various seeding and phosphorus rates. No significant interactions were observed between seeding rate and phosphorus lever. The yields were generally high, indicating good prospects for pasture development with A. scarabeoides in the zone, although field trials would be of benefit.

직파와 이식재배에 따른 인삼의 생육특성 및 엑스와 조사포닌 함량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Extract and Crude Saponin Contents in 4- Year-Old Ginseng Cultured by Direct Seeding and Transplanting Cultivation)

  • 이성우;차선우;현동윤;김영창;강승원;성낙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241-244
    • /
    • 2005
  • 금산 및 음성지역의 4년생 인삼재배 농가포장에서 직파재배 5개소와 이식재배 5개소를 임의로 선정하여 직파와 이식재배에 따른 생육특성 및 엑스와 조사포닌 함량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파재배는 4년근 생존율이 평균 48%로 이식재배의 86%보다 떨어지나 입모수가 평균 96주/3.3$m^2$순로 이식재배의 57주보다 많고 엽면적지수가 커 수량성이 높은 반면, 주당근중은 작았다. 직파재배는 이식재배에 비해 동체의 신장이 양호하나 지근의 발달이 불량하여 동체중의 비율이 높고 지근중의 비율이 낮았으며, 직파재배는 적변 발생율이 적으나 동체와 지근부위의 엑스와 조사포닌 함량이 낮았다.

철분코팅 볍씨를 이용한 벼 직파재배의 생육 특성 및 수량 (Growth and Yield in Direct Seeded Rice Cultivation with Iron Coated-Seeds)

  • 박광호;박성태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0권1호
    • /
    • pp.5-18
    • /
    • 2018
  • 벼 직파재배 유형(담수산파, 무논점파) 및 사용 종자별 생육특성 및 수량 비교 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 출아일수는 9~11일이 소요되었고, 싹튼 볍씨 사용이 철분코팅볍씨 사용 직파보다 1~2일이 빨랐으며, m2당 입모 수는 103~147개로 담수산파의 철분코팅볍씨 사용에서 가장 많았으나, 벼 직파방법 간에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결주율(무논점파)은 2.7~3.7%이었다. ② 초장생육에서 직파는 기계이앙 보다는 짧았고, 벼 직파방법 간에는 담수산파가 무논점파보다 파종 후 60일까지는 길었으나, 파종 후 75일 이후는 비슷하였다. 사용 종자 간에는 철분코팅볍씨 사용이 싹튼 볍씨 사용보다 길었고, 담수산파에서는 통계적 유의성도 있었다. ③ m2당 경수는 6월 17일(파종후 30일)에는 기계이앙이, 파종 후 45일과 60일에는 담수산파의 철분코팅볍씨 사용에서 가장 많았고, 파종 후 75일과 90일 m2당 경수는 352~405개로 벼 재배방법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④ 출수기는 직파에서 8월 21~23일로 기계이앙(8월 13일)보다는 8~10일이 늦었고, 직파방법 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사용종자 간에는 철분코팅 볍씨 사용이 싹튼 볍씨 사용보다 2일이 빨랐다. ⑤ 성숙기 벼 생육특성에서 간장은 기계이앙(72.4cm)보다 철분코팅볍씨 사용 담수산파 및 무논점파는 통계적으로 각각 유의하게 길고 짧았으며, 수장은 무논점파의 싹튼 볍씨 사용(24.3cm)에서 가장 길었고, 담수산파 및 기계이앙과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 벼 직파방법별 사용종자 간에는 수장은 별 차이가 없었다. m2당 수수는 357~407개로 담수산파의 철분코팅볍씨 사용에서 가장 많았으나 벼 재배방법별로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수당입수는 102~106개로 거의 같았다. ⑥ 수량구성요소는 m2당 입수는 37,105~42,450개, 현미천립중은 21.9~22.8g으로 담수산파의 철분코팅볍씨 사용에서 가장 많았고 무거웠다. 등숙비율은 77.6~86.3%으로 무논점파의 철분코팅볍씨 사용에서 가장 높았으나, 수량구성요소 모두 벼 재배방법 간에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⑦ 쌀 수량은 10a당 568~686kg으로 담수산파의 철분코팅 볍씨 사용(686kg/10a)에서 가장 높았으며 기계이앙 및 그 외 직파방법과 통계적 유의성도 있었다. 그 외 직파방법은 기계이앙(568kg/10a) 대비 3~7% 높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⑧ 잎도열병은 벼 생육초기 기계이앙과 담수산파에서 약간 발병하였고, 잎집무늬마름병과 이삭누룩병은 기계이앙>무논점파≥담수산파 순으로 심하였다. ⑨ 잡초는 담수산파의 싹튼 볍씨 사용에서 발생이 심했고, 8월 16일 이후는 벼 재배방법 다같이 후발피가 발생하였다. 잡초성벼는 기계이앙은 발생되지 않았으나, 싹튼 볍씨 사용 직파는 0.6~0.7%, 철분코팅볍씨 사용 직파는 0.1%정도 발생하였다.

인삼 직파재배에서 파종밀도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eding Rate on Growth and Yield of Ginseng Plant in Direct-Sowing Culture)

  • 이종철;안대진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2권4호
    • /
    • pp.299-303
    • /
    • 1998
  • To know possibility of raw ginseng production for white- and red-ginseng by direct-sowing culture, seeds were directly sowed or seedlings were transplanted at soil condition of sandy loam in ginseng field. After cultivation, the characters of 5-year-old ginseng were investigated. Number of survived plants was increased with increase the seeding quantity in direct-sowing culture, the survived plants in direct-sowing culture was higher than that of transplanting one. Rate of the numbers of survived plants to numbers of seeds sowed in plots of 134 or 90 seeds sowed per tan, 180 x 90cm area, inspire of high number of survived plant was high compared to that of transplanting culture. Occurrence rate of rusty root of ginseng in direct-sowing culture was low significantly compared to that of transplanting culture. Root yield showed in the order of 134, 268, 90 seeds sowed, the values of yield in direct-sowing culture were high obviously compared to that of transplanting one. Individual root weight was increased with decrease the seeding quantity, however, the root weight in plot of 90 seeds sowed showed almost equal the weight in transplanting culture. The number of usable raw ginseng for white- and red-ginseng was increased with decrease of the seeding quantity; the numbers were higher than that of transplanting culture remarkably. We concluded that optimum seedling rate in direct-sowing culture of ginseng was 90 to 134 seeds per tan considering the yield per area and production rate of large root.

  • PDF

땅콩의 초형을 주로한 품종군분류 및 그들의 생태적 변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Grouping of the Varieties by Plant Type and their Ecological Variation for Peanut(Arachis hypogaea L.))

  • 이은섭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8권
    • /
    • pp.124-155
    • /
    • 1975
  • 땅콩 품종육성의 기초자료와 환경에 대한 변이를 추구하고저 1968년 국내외에서 수집한 489품종을 작물시험장 시험포장에 파종하여 품종군분류를 시도하였으며 1969년에 이들 주요품종군별로 파종기를 4월 16일부터 7월 7일까지 5회 20일간격으로 5회 파종하여 품종군별 파종기에 따른 주요형질의 변이를 조사한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땅콩의 분류는 초형을 주로 하고, 종실의 대소, 개화의 조만, 맥당종실수등을 기준으로 Spanish, Virginia Erect, Virginia Runner, Southeast Runner, Valencia, Semirunnerdm 6개군으로 구분하였다. 2. 품종군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Spanish; 직립, 대립, 만생. (2) Virginia Erect; 직립, 대립, 만생. (3) Virginia Runner; 포복, 대립, 만생. (4) Southeast Runner; 포복, 소립, 조생. (5) Valencia; 직립, 소립, 조생, 맥당 3∼4위. (6) Semirunner; 반립, 대립, 만생. 3. 품종군별 개화일수는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전반적으로 단축되었으며 단축정도는 만생군에서 컸다. 4. 분기수는 각파종군 모두 만파일수록 감소하는 경향이나 Spanish와 Virginia Runner는 제1파종기에서 오히려 제2파종기보다 적었으며 각 파종기 모두 Spanish가 가장 적고 Virginia Erect가 가장 많았다. 5. 맥실비율은 각품종군 모두 5월 이후의 파종에서 현저히 감소되었으며 어느 파종기에서나 Spanish와 Southeast Runner가 높았다. 6. 맥당종실수는 어느 품종군에서나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현저히 감소되었으며 소립종군보다는 대립종군에서 맥당종실수가 적었다. 7. 개체당맥실중은 각파종기 모두 제2파종기가 가장 무거웠고 제1파종기도 이보다 가벼웠으며 제2파종기이후의 파종에서는 급격히 감소하였고 각파종기 모두 Southeast Runner가 가장 무겁고 Virginia Runner가 가장 가벼웠다. 8. 개체당종실수는 개체당맥실중과 같은 경향이나 각파종기 모두 대립중에서 적고 소립종에서 많았다. 9. 100립중도 제2파종기이후의 감소는 현저하였으며 제1파종기에서도 제2파종기보다 떨어지는 경향이었다. 10. 10a당 수량에 있어서는 각품종군별 파종기에 따른 변이가 현저하였으며 제2파종기인 5월 7일에서 가장 높고, 기타 파종기에서는 감소정도가 현저하였다. 11. 주경장 분지장에 있어서 Spanish는 제1파종기에서 제2파종기보다 작았으며 기타군은 양파종기간에 비슷하였으나 그 이후 파종기에서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12. 수량과 주요형질의 상관에서 개체당맥수, 100립중, 개체당종실수등이 Virginia Runner이외의 품종군에서 수량과 높은 정의 상관이 있었으며 기타형질의 상관은거의 인정할 수 없었으며 파종기에 따른 상관의 차이가 인정되었다.13. 경로계수 분석에 의한 수량에 대한 직접효과는 모든 품종군별 파종기에서 개체당종실수, 개체당맥중 및 100립중에서 컸으며 기타는 미미하였다. 14. 품종군별 유전력은 전체적으로 개체당맥수, 맥실비율, 100립중, 개체당종실수에서 높았으며 기타가 낮았다.

  • PDF

직파재배시 파종량이 총체 벼의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eding Rates on the Forage Quality and Productivity of Direct-Seeded Whole Crop Rice)

  • 김종근;박형수;김지혜;고한종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34-239
    • /
    • 2014
  • 본 시험은 사료용 총체 벼 직파 재배시 파종량이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2007년부터 2008년까지 국립축산과학원에서 수행되었다. 총체 벼는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종한 녹양벼를 이용하여 4개의 파종량을 두고(30, 60, 90 및 120 kg/ha) 수행하였다. 출현일, 출수기, 녹색도 및 내병성은 파종량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초장은 파종량이 늘어남에 따라 커졌으며(p<0.05) 분얼수는 줄어들었다. 건물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생초 및 건물수량은 파종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p<0.05). 조단백질 함량은 파종량이 늘어남에 따라 감소되었으며 ADF 함량은 파종량이 늘어남에 따라 높아졌고 NDF 함량은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TDN 함량은 120 kg/ha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고, 잎-줄기-정조 비율은 파종량이 늘어남에 따라 정조비율은 줄어들었으며 잎의 비율은 약간 높아졌고 줄기는 큰 차이가 없었다. 경제성 분석결과 60 kg/ha 파종구에서 가장 높은 소득 증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총체 벼 직파재배를 위한 적정 파종량은 60kg/ha 내외가 적당한 것으로 추천된다.

Performance Test of Fully Automatic Potato Seeding Machine by In-situ Process of Cutting Seeds

  • Cho, Yongjin;Choi, Il Soo;Kim, Jae Dong;Oh, Jong-woo;Lee, Dong-Hoon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42권3호
    • /
    • pp.147-154
    • /
    • 2017
  • Purpose: To reduce the costs of potato seeds and labor of workers, a fully automatic in-situ seeding machine for cutting seed potatoes was developed. Methods: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seeder performance of the prototype of potato planter by cutting seeds in farmlands from March to April 2017. The study tested the seeder performance at working speeds ranging from 0.28 to 0.45 m/s. The seeding rate and seeding distance were also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planned distance between planted seeds from 20 to 30 cm, with 5 cm intervals. Results: Tests on the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cutting blade on the automatic potato seeder show that whole potatoes should be used instead of half potatoes. The seeding rates were 88.8% and 82.5% for whole and half potatoes, respectively. When the tractor working speed was increased from 0.28 to 0.45 m/s, the successful seeding rate decreased from 98.8% to 96.3%, respectively. However, with planted seed distances of 20, 25, and 30 cm, the successful seeding rates were near 98%. Conclusions: The developed automatic potato seeder can to improve the labor productivity and cultivation environment of potato farms by the mechanization of the seeding process, which is currently associated with high-labor, -costs, and -hours. Therefore, based on this study, the developed automatic potato seeder provides the mechanization necessary for improved potato cultivation conditions in farmla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