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 school baseball players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3초

Biomechanical Evaluation of Elbow Moment in Pitching Types according to the Throwing Speed: A Pilot Study

  • Lee, Chang-Hyung;Yang, Jin-Hwan;Lee, Seung-Hoo;Lee, Gyu-Chang;Park, Jong-Chul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6
    • /
    • 2020
  • Objective: The incidence rate of elbow ulnar collateral ligament injuries is dependent on the throwing speed or pitching type, especially in adolescent baseball players. However, mixed results have been reported due to a lack of controlled biomechanical analysi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iomechanical analysis of the elbow in relation to throwing speed and pitching type. Method: Four overhead type high-school baseball player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throw balls with different types of pitch and speed. While the throwing speeds were measured, each pitching moment of the elbow was recorded.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mean comparison analysis,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in order to examine differences in peak varus and valgus moment during pitching motion in the elbow in all throwing speed and pitching types.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hysical characteristics, throwing speed, and momentum variability among all players. The mean varus moments were 44.38±1.55 Nm, 48.83±1.66 Nm, and 48.94±0.95 Nm, and the moment gaps between varus and valgus were 7.36±3.25 Nm, 7.44±2.02 Nm, and 7.36±2.62 Nm in fastball, curveball, and slider ball, respectively. The varus moment was higher in the curved and slider balls than in the fastball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varus moments regarding the pitching type. However, the increase in valgus moment and decrease in moment gap according to throwing speed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slider ball (r=0.718 and -0.591, respectively). Conclusion: The possibility of elbow injury caused by the valgus moment or moment gapincreases more rapidly in slider balls as the speed increases. Based on our results, appropriate pitching guidelines should be suggested to prevent ulnarligament injuries, especially in adolescent baseball players.

등속성 장비를 이용하여 한국고교야구선수 주관절 근력 평가기준치 설정: (서울 및 경기도 중심으로) (Norm-referenced criteria for strength of the elbow joint for the korean high school baseball players using the isokinetic equipment: (Focusing on seoul and gyeonggi-do))

  • 김수현;이진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442-447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등속성 장비를 이용하여 고등학교 야구선수들을 대상으로 주관절 근육의 평가 기준치를 설정하는데 있다. 상지에 의학적으로 문제가 없는 고등학교 야구선수 20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주관절 검사는 HUMAC NORM(CSMI, USA) system을 이용하여 굴곡, 신전운동을 부하속도 $60^{\circ}/sec$에서 4회를 실시하였으며, 절대근력(peak torque)와 상대근력(peak torque % body weight)을 측정하였다. Cajori의 5단계(6.06%, 24.17%, 38.30%, 24.17%, and 6.06%)로 구분한 구간추정(interval estimation)방식에 의해 평가 기준치를 나타내었다. 이 연구의 결과에서 각속도 $60^{\circ}/sec$에서 주관절의 절대근력(peak torque) 굴근의 평균은 $37.88{\pm}8.14Nm$ 신근은 $44.59{\pm}11.79Nm$으로 나타났으며, 상대근력(peak torque % body weight) 굴근의 평균은 $50.06{\pm}8.66Nm$ 신근은 $58.28{\pm}12.84Nm$로 나타났다. 각속도 $60^{\circ}/sec$에서 주관절 굴근(flexer)과 신근(extensor)의 절대근력(peak torque)과 상대근력(peak torque % body weight)의 평가기준치는 설정하였다. 이 연구에서 분석 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결론을 이끌어 냈다. 주관절은 야구선수들에게 가장 많이 발생되는 손상임에도 불구하고 국내외 주관절 근력에 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주관절 손상을 예방하고 경기력 향상을 위해 상대적 근력 수준과 훈련효과를 보다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근력 척도가 필요하다. 주관절의 절대근력과 상대근력의 평가기준치를 제시함으로서 고교선수, 야구지도자, 선수트레이너, 재활전문가 등에게 손상회복 및 재활 복귀 시 유용하게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되며, 객관적인 임상 평가 데이터로 활용하는 데 매우 유용한 정보라고 사료된다.

12주의 어깨 안정성 회복 프로그램이 견관절 불안정성 야구선수의 관절가동범위, 근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 12-week Shoulder Stability Rehabilitation Program on the Range of Motion and Muscle Strength of Baseball Players with Shoulder Instability)

  • 윤진호;오재근;송기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277-286
    • /
    • 2021
  • 이 연구는 12주간 재활 운동프로그램이 어깨 불안정성을 가진 고등학교 야구선수들의 관절가동범위와 근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어깨 불안정성이 있는 것으로 판명된 재활 운동군 12명과 정상 운동군 13명을 선정하였다. 12주간 재활운동 참가 전·후 내·외회전 관절가동범위는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으며, 등속성 근력은 이원변량 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 하였다. 관절가동범위는 불안정이 있는 우위측과 비-우위측 어깨의 경우 재활운동 전·후 내회전 ROM이 유의하게 증가했으며, Total ROM의 경우 불안정이 있는 우위측 어깨에서 재활운동 후 유의하게 증가했다. 등속성 근력의 경우 재활운동 후 내회전 근력이 각속도 180°/sec에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12주간 재활운동 프로그램이 어깨 불안정성 환자의 ROM, 근력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제한적 결과에 미루어 재활기간의 연장을 전제로 한 추가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고등학교 야구선수들의 신체정렬과 족저압 분포 간의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 between body alignment and foot pressure in high School Baseball Players)

  • 박치복;정호진;박성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224-229
    • /
    • 2019
  • 본 연구는 고등학교 야구선수를 대상으로 신체정렬과 족저압 분포 분석하여 올바른 자세지도와 스포츠 손상 및 부상 예방 프로그램에 참고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 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신체정렬은 척추에서 몸통의 좌우기울기, 등뼈의 뒤굽음각, 허리뼈의 앞굽음각, 골반에서는 골반의 기울기, 골반의 뒤틀림을 측정하였고 족저압은 각 발의 좌우 체중분포, 각 발의 최대압력을 측정하였다. 측정항목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도표화하였고, 신체정렬과 족저압 분포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s cerrelation analysi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통계학적 유의 수준은 0.05로 설정하였다. 신체정렬과 족저압 분포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척추에서 허리뼈의 앞굽음각과 좌우 최대압력에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몸통의 좌우기울기, 등뼈의 뒤굽음각, 골반의 기울기, 골반의 뒤틀림과 각 발의 좌우 체중분포, 각 발의 최대압력에서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허리뼈의 앞굽음각이 증가될수록 발의 한쪽에 힘이 더 실리게 되어 최대압력이 증가하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운동선수들의 신체정렬과 족저압 분포에 대한 운동프로그램의 참고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s of Bat Type on the Swing Motion of High School Baseball Athletes

  • Choi, Min Ra;Song, Sung Woo;Cha, Myung Joo;Shin, Min Young;Lee, Ki Kwang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87-92
    • /
    • 201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wo kinds of bat swing behavior through kinematic analysis. Method: A total of 32 high school baseball play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ball was placed on the tee-ball in a position where the subject could easily swing and the standard bat swing was performed as quickly and as accurately as possible using aluminum bats and wooden bats. Results: The aluminum bat showed a rapid swing speed of about 1.79 m/sec compared to the wooden bat. The speed of the batted ball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greater for the aluminum bat than for the wooden bat. In addition, although the difference between the shoulder-pelvis rotation angle according to the type of bat was not indicate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luminum bat and the wooden bat in terms of the rotational angular velocity. Conclusion: Even though the results can expla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bat swing speed and the speed of the batted ball depending on the bat's material, it is difficult to explain the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ype of bat at the shoulder-pelvis rotation angle. However, shoulder-pelvic rotation angular velocity appears to be higher for the aluminum bat, and the differences in the type of bat is considered to be related to the batting swing factor.

투수의 글러브 색상이 타자의 타격 집중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Color on the Glove Pitcher Hitting a Batter Concentration)

  • 김현빈;김병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3호
    • /
    • pp.405-411
    • /
    • 2017
  • 본 연구는 투수 글러브 색상이 타자의 타격 집중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투수의 글러브 색상은 검정색, 주황색, 베이지색 세 가지로 설정하였고 이에 따른 타자의 집중도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대전 소재에 있는 고등학교 야구선수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글러브 색에 따른 타격 실험을 마친 후 Nideffer(1976)가 개발한 야구에서의 주의 집중 설문지 B-TAIS의 6개 주의집중 하위척도를 본 실험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문항은 총 20문항으로 신뢰 계수는 0.67에서 0.85까지 분포되어 타당도가 지지되었음을 알 수 있다. 투수의 구종은 직구로 제한하였으며, 각 글러브의 색상별로 일주일씩 기한을 두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공의 색상과 대비가 큰 색상의 글러브를 착용하였을 때, 타자의 타격 집중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다양한 투수의 구종 및 장비를 활용하여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졌으면 한다.

무증상 고교 상지 거상 운동 선수의 견관절 초음파 소견 (Ultrasonographic Findings of the Shoulder in Asymptomatic High School Overhead Athletes)

  • 조수현;조형래;이정수;김정우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81-88
    • /
    • 2012
  • 목적: 무증상 고교 상지 거상 운동 선수의 양측 견관절 초음파 소견을 알아보고 이를 건강한 대조군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총 33명(연령 $17.5{\pm}1.4$세)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최근 6개월간 견관절 통증이 없었던 남자 고교 야구 선수 13명과 남자 배구선수 10명을 두 그룹으로 분류하고 같은 연령대의 스포츠 활동을 하지 않는 고교 학생 10명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초음파를 이용하여 우세수와 비우세수의 상완 이두건 장두와 극상건의 두께를 측정하고 0도 외전 상태에서의 견봉 상완 간격을 측정하였다. 결과: 초음파 검사 상 상지 거상 운동선수 23명 중 우세수에서 5명, 비우세수에서 1명에서 견봉하 점액낭의 삼출액이 관찰 되었으며 이는 무증상 대조군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양 견관절의 상완 이두건 장두와 극상건의 두께, 견봉 상완 간격은 대조군 보다 운동선수에서 의미 있게 증가되어 있었다(P<0.05). 또한 상지 거상 운동선수에서 상완 이두건과 극상건의 두께, 견봉 상완 간격은 비우세수에 비해 우세수에서 증가를 보였으나(P<0.05), 배구선수와 야구선수와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무증상 상지 거상 운동선수에서도 초음파상 견봉하 점액낭의 삼출액이 관찰될 수 있고 정상인보다 상지 거상 운동 선수에서 상완 이두건, 극상건의 두께가 더 두껍고 견봉 상완 간격이 증가되어 있었다. 이러한 소견은 상지 거상 운동선수의 견관절 질환의 초음파 진단 시 유용한 참고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Youth throwing athletes do not show bilateral differences in medial elbow width or flexor tendon thickness

  • Morrow, Rudolph M.;McIlvian, Gary E.;Johnson, Jenifer;Timmons, Mark K.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5권3호
    • /
    • pp.188-194
    • /
    • 2022
  • Background: Medial elbow laxity develops in throwing athletes due to valgus forces. Medial elbow instability in professional, collegiate, and high school athletes is well documented; however, the medial elbow of young throwing athletes has received less atten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l elbow and common flexor tendon during applied elbow valgus stress of youth baseball players. Methods: The study included 15 participants. The medial elbow width and thickness of the common flexor tendon were measured on ultrasound images. Results: No significant side differences in medial elbow width or common flexor tendon were found at rest or under applied valgus stress. At rest, the medial elbow joint width was 3.34±0.94 mm on the dominant side and 3.42±0.86 mm on the non-dominant side. The dominant side increased to 3.83±1.02 mm with applied valgus stress, and the non-dominant side increased to 3.96±1.04 mm. The mean flexor tendon thickness was 3.89±0.63 mm on the dominant side and 4.02±0.70 mm on the non-dominant side. Conclusions: These findings differ from similar studies in older throwing athletes, likely because of the lack of accumulated stress on the medial elbow of youth throwing athletes. Maintaining elbow stability in young throwing athletes is a vital step to preventing injury later in their careers.

경기력 수준에 따른 낙관성의 차이: 배드민턴 청소년 대표선수를 대상으로 (Difference of optimism according to the level of performance: For the Korean badminton national youth players)

  • 김덕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1호
    • /
    • pp.179-183
    • /
    • 2020
  • Seligman은 미국 프로야구와 프로농구 선수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낙관적인 운동선수가 승리한다고 주장한다(최호영 역, 2008). 이에 본 연구는 낙관성으로 배드민턴 청소년 대표선수들의 경기력을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고등학생 대표 60명을 경기력 상, 하 두 집단으로 구분하여 그들의 낙관성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검사도구로는 Scheier, Carver 및 Bridges(1994)가 개발하고 신현숙(2005)이 번안한 삶의 지향성 검사 개정판(LOT-R : Revised Life Orientation Test)을 사용하였고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독립 t검증을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경기력 상집단이 하집단에 비해서 낙관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경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체력훈련, 기술연습과 동시에 낙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심리기술훈련이 필요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