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 moor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4초

FNN 제어기를 이용한 유도전동기 드라이브의최대토크 제어 (Maximum Torque Control of Induction Motor Drive using FNN Controller)

  • 정동화;김종관;박기태;차영두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33-39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퍼지와 신경회로망을 혼합한 FNN(Fuzzy Neural Network) 제어기를 이용한 유도전동기의 최대 토크 제어를 제시한다. 먼저 유도전동기 드라이브의 고성능 제어를 위하여 FNN 제어기를 설계한다. 다음은 유도전동기의 최대토크 제어를 위하여 주어진 부하토크에서 고정자 전류를 최소화하여 단위 전류당 발생토크를 높인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FNN을 이용한 최대토크 제어의 특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제시한다.

오대산국립공원 내 "질뫼늪"의 지형생성환경 (Morphogenetic Environment of Jilmoe Bog in the Odae Mountain National Park)

  • 손명원;박경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33-142
    • /
    • 1999
  • 습지는 다양한 생물들의 서식지로서 생태학적으로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오대산국립공원 내에서 발견된 '질뫼늪'의 지형생성환경을 구명하고자 만다. 질뫼늪은 중생대 쥐라기에 관입한 대보화강암이 심층풍화작용을 받은 후 융기하여 동체평원(etchplain)을 이룬 고위평탄면(1,060m)에 위치한다. 이 지역은 연평균기온 $5.3^{\circ}C$, 연평균강수량 2,888mm로 연중 다습하며, 1월 최저기온은 $-30^{\circ}C$ 이하까지 떨어지고 동결되는 땅의 깊이도 1.6m 이상에 이른다. 질뫼늪은 큰 늪과 작은 늪으로 이루어져 있다. 큰 늪은 길이 63m, 폭 42m이며, 단면에서 기저부는 매우 불규칙하다. 질뫼늪은 서릿발에 기인하는 현상습지(績狀濕地, string bog)이다. 현상습지는 지표면이 파상(波狀)이며, 계단상의 지형과 이를 가르는 고랑들이 경사방향을 횡단하여 발달한다. 이는 냉대침엽수림 지역의 영구동토 또는 계절적인 영구동토(최소한 겨울철 동결심도가 매우 깊은 곳)와 관련된 것으로 보여진다. 현상습지는 영구동토가 쇠퇴할 때 얼음이 국지적으로 차별융해되어 불규칙한 지표를 형성하는 일종의 열카르스트이다. 질뫼늪 주변의 산지 말단부에 나타난 소규모 편곡형 와지에는 머리벽 부분에 폭 $30{\sim}40cm$의 소규모 초본단구지형이 형성되어 있다. 이 초본단구지형은 주빙하 기후에서 초본 매트 아래의 토양층 수분이 서릿발로 성장함에 따라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와지에서 곡지로 이어지는 통로와 질뫼늪의 상류부의 수분이 풍부한 곳에는 직경 $30{\sim}50cm$의 초본구조토가 발달한다. 이는 '분급되지 않은 구조토'인 유상구조토이다. 이상에서 볼 때, 질뫼늪은 동토층이 차별융해되면서 지표기복이 불규칙하게 된 열카르스트에 속하는 현상습지이다. 질뫼늪은 강수에서 수분을 공급받는 고층습원이며, 주변 지역은 오늘날에도 초본단구지형과 초본구조토의 형성이 활발한 주빙하 기후환경에 속한다.

  • PDF

터널해석에 있어 지하수 거동의 중요성 (Significance of Ground Water Movements in the Numerical Modelling of Tunnelling)

  • 신종호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57-264
    • /
    • 2003
  • Tunnelling in water bearing soils influences the ground water regime. It has been indicated in the literature that the existence of ground water above a tunnel influences tunnel stability and the settlement profile. Only limited research, however, has been done on ground water movements around tunnels and their influence on tunnel performance. Time dependent soil behaviour can be caused by the changes of pore water pressure and/or the viscous properties of soil(creep) under the stress change resulting from the advance of the tunnel face. De Moor(1989) demonstrated that the time dependent deformations due to tunnelling are mainly the results of pore pressure dissipation and should be interpreted in terms of effective stress changes. Drainage into tunnels is governed by the permeability of the soil, the length of the drainage path and the hydraulic boundary conditions. The potential effect of lime dependent settlement in a shallow tunnel is likely to occur rapidly due to the short drainage path and possibly high coefficient of consolidation. Existing 2D modelling methods are not applicable to these tunnelling problems, as it is difficult to define empirical parameters. In this paper the time-based 2D modelling method is adopted to account for the three dimensional effect and time dependent behaviour during tunnel construction. The effect of coupling between the unloading procedure and consolidation during excavation is profoundly investigated with the method. It is pointed out that realistic modelling can be achieved by defining a proper permeability at the excavation boundary and prescribing appropriate time for excavation Some guidelines for the numerical modelling of drained and undrained excavation has been suggested using characteristic time factor. It is highlighted that certain range of the factor shows combined effect between the unloading procedure due to excavation and consolidation during construction.

  • PDF

영국 고원지대(Moorland)의 이탄 토양에서 애지렁이 추출을 위한 수분깔때기의 최적조건 (Optimal Conditions for the Wet Funnel Extraction of Enchytraeidae from Peat Soils of Moorlands in England)

  • 권태성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63-70
    • /
    • 2000
  • 영국의 고원지대 (Moorland)의 이탄토양 (blanket bog peat soil에 서식하는 애지렁이 정량조사를 위한 수분갈때기추출법의 효율에 미치는 수온, 물의 량, 추출시간의 복합적인 효과를 조사하였다. 이탄 토양에서 애지렁이 추출을 위한 최적조건은 물의 양과 초기 수온에 관계없이 표면수의 최종 온도는 35$^{\circ}C$이고, 추출시간은 6시간이었다. O'Connor의 방법 (최종 온도 40-45$^{\circ}C$,열의 점진적인 증가, 3시간 추출)은 비교적 늪은 온도와 짧은 추출시간으로 인해, 추출효율에 변이가 심하였다. 열을 가하지 않고 장시간 추출하는 방식은 열을 가하는 방식에 비해 추출효율이 현저히 낮았다.

  • PDF

Effects of Long-Term Removal of Sheep Grazing on the Seedbanks of High-Level Grasslands and Blanket Bogs

  • Marrs, Rob H.;McAllister, H.A.;Cho, K.;Rose, Rob J.;O'Reilly, J.;Furnes, M.;Lee, Hyohyemi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1권1호
    • /
    • pp.22-30
    • /
    • 2020
  • Many areas of vegetation in the British uplands have reduced species diversity as a result of sheep overgrazing. It has been suggested that abandonment or re-wilding strategies might be used to reverse this. A likely first step would be the removal or reduction of grazing livestock from upland areas, with a presumption that this would lead to a recovery in species richness. However, we do not know if this would work, or the timescales involved. One of the important areas where more knowledge is needed is information on the size and composition of soil seedbanks as regeneration from zseed is a likely pathway of recovery. Here, we compared seedbanks in both grazed and ungrazed plots in five experiments at Moor House NNR in the northern Pennines; these sheep grazing exclusion experiments were started 52 and 63/64 years ago. Soil samples (n=10) were collected from both grazed and ungrazed plots in each experiment, and seed emergence counted in glasshouse trials. We detected only seeds of common species and very few dicotyledonous species. This suggests that the soil seedbank is unlikely to be a reliable source of the less common species for ecological restoration in these upland communities, suggesting an extinction debt. Therefore, seed addition and the creation of suitable safe-sites for germination may be needed in conjunction with grazing controls to allow the establishment of plants that will increase the species richness of the vegetation. However, this interventionist restoration approach remains to be tested.

한국의 습지보호지역 관리계획 모델: 대암산 용늪 개방에 따른 보전 및 관리계획을 중심으로 (The Management Planning Model for Wetland Conservation Area in South Korea: Focused on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ning According to Making Mt. Daeam's Yong-neup Opening to the Public)

  • 이관규;이정환;차진열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85-201
    • /
    • 2014
  • The Yong-neup of Mt. Daeam, which was designated as Korea's National Monument No.246 in 1973, is a high moor, and it has been managed with the designation as an ecosystem conservation area, Ramsar wetlands, and wetland conservation area. With the closing of the officially announced 5-year period for 'No-Trespassing' on the ecosystem conservation area starting August, 2010, it becomes necessary to arrange a systematic management and conservation scheme in consideration of the access & use of the visitors and Yong-neup's potential change into land consequent on making it open to the public. This study thinks that in order to preserve the Yong-neup, it's necessary to prepare the conservation plan for the program operation for exterminating exotic species, development of replacement wetlands and nurseries, access limit through zone categorization, establishment of environment-monitoring system, institutional management support, and establishment of managing facilities, etc., and to make scientific approaches, such as survey on wetland ecosystem, establishment of inventories, wetland monitoring, and drawing up of wetland ecology maps, etc. In addition, it is required that there should be adequate considerations of restoration of slope faces, drains, artificial embankment, water-collecting wells, roads for military operations, and wild-boar-stricken areas, etc., and should be continuous and systematic management of Yong-neup through the wise use of residents' participation-style maintenance, organization of a consultative body, introduction of CEPA programs, and introduction of visiting facilities and alternative transportation system, etc.

한반도 고산습지의 식생환경과 역사시대 기후변화 (The Climatic Change during the Historical Age inferred from Vegetation Environment in Alpine Moorsin the Korean Peninsula)

  • 윤순옥;김민지;황상일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69-83
    • /
    • 2014
  • 점봉산 습지를 포함하여 정족산 무제치늪, 대암산 용늪, 오대산 질뫼늪, 지리산 왕등재늪 등 한반도 고산습지의 화분조성에서 고산 지역의 식생변천과 기후변화를 검토하였다. 약 2,000년간의 역사시대 동안 고산습지에서는 충적평야에 형성되는 저층습원과 달리 인간의 간섭이 적었다. 이들 다섯개 고산습지의 화분분석에서 Pinus와 Quercus 우점시기, 화분조성과 역사서에 근거하여 약 2,000~1,000년 BP, 약 1,000~400년 BP, 그리고 약 400년 BP부터 현재까지의 세 시기별 식생변화와 기후변화를 논의하였다. 약 1,000~400년 BP에 가장 온난했으며, 약 2,000~1,000년 BP보다 고온이었다. 약 400년 BP 이후에는 역사 시대에 가장 한랭했던 소빙기의 특징을 보인다. 역사시대 한반도 고산습지의 화분조성과 식생환경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Quercus 속이 우점한다. 둘째는 NAP/AP 값이 지속적으로 낮아서 삼림이 울창하였다. 셋째, 해안충적평야에 비해 화분대 구분이 뚜렷하게 세분된다. 넷째, 식생에 대한 인간 간섭이 400년 BP 이후 본격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저층습원에 비해 적어도 1,500년 내지 2,000년 늦었다.

비영리교육기관의 공익마케팅: 인제대학교의 프론티어개척 (Public Marketing of a Nonprofit-Oriented Educational Institution: Inje University's Pioneering Work in the Frontier)

  • 곽영식;유필화;윤성욱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8권3호
    • /
    • pp.75-99
    • /
    • 2006
  • 비영리기관인 인제대학교는 설립된 지 25년 만에 2001년 대학종합평가에서 전국 2위, 지방대학으로 1위를 차지한 이래로 2004년에는 전국 5위를 차지하는 등 꾸준하게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그 이유를 추출하기 위해 이사장 면담, 대학당국자 심층면접, 학생면담, 지역주민과의 대화, 이차자료 수집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인제대학교는 경영철학(philosophy)-기능(function)-구조(form)-성과(performance)측면에서 차별적인 공익마케팅을 수행하고 있음을 밝혀내었다. 이사장과의 면담을 통해서 인제대학교 경영철학은 '아무도 눈여겨 보지 않는 황무지에 공익의 이름으로 공헌'하는 프론티어정신임을 확인하였다. 이 경영철학에 의해 학교가 하는 일(기능: function)이 타대학과 차별적임을 밝혀내었다. 단순히 인제대학교 재학생만을 대상으로 하지 않고, 전국과 지역사회, 세계를 대상으로 한 공익네트워크형성에 주력하고 있었다. 또한 이런 일을 수행하기 위한 특징적인 별도 조직들이 인제대학교 내에 구성되어 있음을 알아내었다(형태: form). 탁월한 학교 내 학생-학교 네트워크, 교외 산업 간 네트워크, 국외 인제교류 네트워크조직을 형성하였다. 이를 토대로 인제대학교는 신입생에 대한 유인력, 재학생의 고객만족도, 교직원과 학생의 내부만족도와 같은 질적인 변수와 대학종합평가 및 취업률과 같은 양적인 변수측면에서 높은 성과(performance)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인제대학교를 숨어있지만 강한 비영리기관의 '숨은 강자(hidden champion)'이라 평가하였다. 이런 숨은 강자적 면모의 차별적 공익마케팅 바탕에는 1930년대부터 70년을 넘는 기간동안에 이루어진 투자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남들이 눈여겨 보고 있지 않지만 사람들에게 꼭 필요한 인술과 교육에 전 재산을 투자하는 헌신성이 오늘날의 인제대학교가 가진 사회적인 위상과 평판, 그리고 성과를 만들어낸 초석이 되었다.

  • PDF

천성산 밀밭늪의 강우 유출 및 지하수위 변동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Rainfall-Runoff and Groundwater Level Change at Milbot Bog located in Mt.Cheonseong)

  • 정유경;이상원;이헌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4호
    • /
    • pp.559-567
    • /
    • 2010
  • 본 연구는 천성산 밀밭늪 지역의 고속철 터널공사에 따른 지하수위의 변동과 강우 유출의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2004년 7월부터 2008년 5월에 걸쳐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밀밭늪에서 단위 강우로 인해 발생하는 직접유출량의 발생시각은 일반 산지유역에서보다 다소 늦어지는 경향이 있었으며, 또한 강우로 인해 발생하는 유출량의 장 단기수문곡선은 대부분의 경우 강우에 대응하여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았다. 연간 유출률은 2004년 0.26, 2005년 0.13, 2006년 0.16, 2007년 0.25, 2008년 0.27로 나타나 고속철 터널공사에 관계없이 매년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와 같이 밀밭늪에서 해마다 유출률이 증가함에 따라 향후 밀밭늪의 기능이 약화되어 점차 육화되어 갈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이들 각 연도의 유출률은 일반 산지유역의 유출률보다 크게 낮은 값으로 나타났으며, 4년간 평균 연간 유출률은 0.19으로 계산되었다. 단기수문곡선에서 직접유출의 감수계수는 0.89~0.97의 범위로 관측되어 일반 산지소유역의 값인 0.2~0.8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기저유출의 감수계수는 0.93~0.99의 범위로 관측되어 일반 산지 소유역의 값과 비슷하게 관측되었다. 밀밭늪의 지하수위는 강우강도에 비례하여 증감하였으며, 특히 지하수위가 정점(피크)에 도달한 후 하강 시에는 아주 완만하게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선행강우가 있었을 때의 지하수위의 변화는 비교적 높은 값을 유지하면서 증감하였다. 강우량이 많은 여름에 지하수위가 가장 높았으며, 겨울에는 아주 낮은 지하수위 값을 나타내었다. 연도별 평균 지하수위값은 2004년 -8.48 cm, 2005년 -14.60 cm, 2006년 -20.46 cm, 2007년 -20.11 cm, 2008년 -28.59 cm로 관측되어, 매년 평균 지하수위값이 점차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