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 Power Diode Laser

검색결과 142건 처리시간 0.039초

다이오드 레이저 노출시간에 따른 Te-doped G $e_{15}Sb_{85}$ 박막의 광학 상수 변화 (The Variation in Optical Constants of Te-doped G $e_{15}Sb_{85}$ Thin Films with Diode-Laser Exposing Time)

  • 김홍석;정진만;이현용;정홍배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0-33
    • /
    • 1997
  • In this paper, we studied the variation in optical constants of Te-doped G $e_{15}$ /$Sb_{85}$ thin films with 7800$\AA$ diode-laser exposing time and power. The reflectances were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laser exposure time and the laser power in all films. Also, the refractive indices of the films after exposing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as-deposited films. Thus, the fast crystallization was caused by addition to the more Te content at the lower lacer power. It was observed that the surface morphologies of the exposed films are higher than those of the as-deposited films by SEM analysi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T $e_{0.5}$(G $e_{15}$ /$Sb_{85}$)$_{99.5}$ thin films will show the high contrast ratio and high SNR and have fast erasing time due to crystallization when these films is applied to optical recording materials.terials.s.

  • PDF

10kW 화이버레이저를 이용한 후판소재 용접 및 응용 (A weldability of thick materials with 10kW fiber laser and its application)

  • 이목영;류충선;장웅성;박서정
    • 대한용접접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용접접합학회 2007년 추계학술발표대회 개요집
    • /
    • pp.177-180
    • /
    • 2007
  • The laser welding process was effective way to join the metals, because of the high productivity, the low distortion and the good weld quality. The fiber laser used the double-clad fiber architecture, the single element diode laser and the fully-spliced side pumping. It has the advantages in the views of the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the beam quality, the robustness and the mobility. Recently, the thick material was welded with the high power laser in ship building or construction industry owing to the super bright fiber laser. In this study, we introduced the characteristics of high power fiber laser and its welding performance of thick gauge materials.

  • PDF

펄스 반복 주파수 코드에 동기된 출력 가변형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 구현 (Implementation of the Variable Output Laser Diode Driver Synchronized with a Pulse Repetition Frequency Code)

  • 이영주;김용평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4권5호
    • /
    • pp.746-750
    • /
    • 2015
  • In this paper, we propose a simulato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semi-active laser guidance or the quadrant photodetector and to simulate the laser power reflected from a target. The laser pulse repetition frequency was generated and synchronized with the laser pulse repetition(PRF) code. To evaluate the performances of the proposed methods, we implemented a prototype system and performed experiments. As a result, the generated high voltage was variable in the range of DC 3V to 340V and has the rate of change of 2000 V/s. PRF code can be generated within 50ms ∼ 100ms and the error is implemented within 0.3ns. The laser output is synchronized with the PRF code and has a dynamic range of 23.6dB.

고출력 다이오드 레이저를 이용한 고탄소강의 경화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ardening Characteristics of High Carbon Steel by using High Power Diode Laser)

  • 황현태;김종도;소상우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5권5호
    • /
    • pp.600-607
    • /
    • 2011
  • 고탄소강은 사용자가 요구하는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침탄, 질화, 고주파담금질 등에 의해 표면처리 되어져 왔다. 그러나 기존의 처리 방법은 모두 처리물 전체를 가열하거나 균일한 가열을 하지 못하여 표면처리 후 변형의 문제와 처리후의 후가공의 경비문제, 그리고 극히 일부분만 경화가 필요한 부품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표면처리법으로로써 레이저열처리 방법이 대두대고 있으며, 레이저열처리는 레이저 빔을 피처리물의 표면에 조사하고 적당한 속도로 이동을 하게 되면 레이저조사부위가 급속하게 가열되고 레이저 빔이 통과한 후에는 표면의 열이 내부로 열전도 되어 급속히 자기냉각(self-quenching)됨으로써 표면에 새로운 기계적 성질을 갖게 하는 열처리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CW Nd:YAG 레이저 열원보다 효율이 좋은 HPDL을 이용한 고효율, 고기능의 고탄소강 열처리 후 재료적 물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레이저빔의 조사속도 및 온도변화에 따른 열처리부 및 모재 부분에 대한 경도특성 및 미세조직의 특성을 명확히 할 수 있었다.

940-nm 350-mW Transverse Single-mode Laser Diode with AlGaAs/InGaAs GRIN-SCH and Asymmetric Structure

  • Kwak, Jeonggeun;Park, Jongkeun;Park, Jeonghyun;Baek, Kijong;Choi, Ansik;Kim, Taekyung
    •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 /
    • 제3권6호
    • /
    • pp.583-589
    • /
    • 2019
  • We report experimental results on 940-nm 350-mW AlGaAs/InGaAs transverse single-mode laser diodes (LDs) adopting graded-index separate confinement heterostructures (GRIN-SCH) and p,n-clad asymmetric structures, with improved temperature and small-divergence beam characteristics under high-output-power operation, for a three-dimensional (3D) motion-recognition sensor. The GRIN-SCH design provides good carrier confinement and prevents current leakage by adding a grading layer between cladding and waveguide layers. The asymmetric design, which differs in refractive-index distribution of p-n cladding layers, reduces the divergence angle at high-power operation and widens the transverse mode distribution to decrease the power density around emission facets. At an optical power of 350 mW under continuous-wave (CW) operation, Gaussian narrow far-field patterns (FFP) are measured with the full width at half maximum vertical divergence angle to be 18 degrees. A threshold current (Ith) of 65 mA, slope efficiency (SE) of 0.98 mW/mA, and operating current (Iop) of 400 mA are obtained at room temperature. Also, we could achieve catastrophic optical damage (COD) of 850 mW and long-term reliability of 60℃ with a TO-56 package.

파장가변 Sampled-grating Distributed Bragg Reflector (SG-DBR) 레이저 다이오드 제작 (Fabr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unable Butt-Coupled Sampled-grating Distributed Bragg Reflector (SG-DBR) Laser Diodes)

  • 이지면;오수환;고현성;박문호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6-20
    • /
    • 2004
  • We present the fabrication and performance of wavelength tunable butt coupled (BT) sampled-grating (SG) distributed bragg reflector (DBR) - planar buried heterostructure (PBH) laser diodes (LD). The fabricated LD showed the high optical output power due to the high coupling efficiency between active and passive components by the BT coupling methods. The series resistance and diode ideality factor of LD were measured to be 3.7 $\Omega$ and 1.35, respectively. The average threshold current was 25 ㎃. The output powers of BT-SG DBR-PBH-LD were obtained to be as high as 12.3 and 24.56 ㎽ at 100 and 200 ㎃, respectively. The maximum wavelength tuning range was about 31 nm and the side mode suppression ratio was about 37 dB.

고해상도 카메라 기반 파장 빔 결합 시스템의 다중 광원의 모니터링과 파장 제어 기법 연구 (Control and Monitoring of Wavelengths in Spectral Beam Combining System Based on High Resolution Camera)

  • 승지훈;이광현;이정환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321-327
    • /
    • 2019
  • Spectral Beam Combining (SBC) is used for a high-power fiber laser in order to overcome the power limitation of single fiber laser. In SBC, several laser bwams with different wavelengths are combined to obtain a single-aperture beam by diffraction grating. The combining efficiency is dependent on a linewidth, beam quality and specific wavelength of each beam among others.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method of a wavelength monitoring and a feedback control of laser diodes used as seeds of laser beams to obtain optimum combining conditions. In order to measure the wavelengths of multi-beam, we use the high resolution camera and diffraction grating with 1,800l/mm. The experiment results show the possibility of feedback control of a current and temperature of multi-seed laser diodes to obtain optimum wavelengths for SBC.

고출력 다이오드 레이저의 주입-잠금 과정 연구 (Characteristics of Injection-Locked High Power Diode Laser)

  • 문한섭;김중복;이호성;양성훈;김점술
    • 한국광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22-227
    • /
    • 1995
  • Littman방식의 grating feedback 다이오드 레이저를 주레이저로 사용하여, 100mW 출력의 단일 종모드로 발진하는 고출력 다이오드 레이저를 주입-잠금 하였다. 불완전 주입-잠금 상태에서 종레이저는 두 주파수가 동시에 발진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두 주파수 성분의 출력비와 주파수이동이 주입광의 세기의 제곱에 비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완전 주입-잠금 상태에서 (주입된 광의 세기)/(종레이저광의 세기)가 양 $10^{-3}$ 일 때 주입-잠금 대역폭은 약 1.4GHz로 측정되었다. 주입-잠금 대역폭은 주입광세기의 제곱근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을 보여주는데, 이것은 이론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주입-잠금 상태의 선폭은 자유 동작 상태의 선폭 보다 약 5배 좁아져 2.5MHz 이하였다.

  • PDF

연속 발진 다이오드 레이저로 여기된 수동형 Q-스위치 Nd:YVO4 레이저의 출력 펄스 안정화 (Stabilization of Output Pulses from a Passively Q-switched Nd:YVO4 Laser Pumped by a Continuous-wave Laser Diode)

  • 안승인;박윤배;여환섭;이준호;이강인;이종훈
    • 한국광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276-280
    • /
    • 2009
  • Cr:YAG 결정을 포화흡수체로 사용하여 수동형 Q-스위치시킨 다이오드 레이저 여기 Nd:$YVO_4$ 레이저를 제작하였다. Cr:YAG 결정의 한 면에 여기 빛 파장(808 nm)에 대해 고반사 코팅을 한 후, Nd:$YVO_4$ 결정과 접촉시켜 공진기를 구성하였다. Cr:YAG의 한 면에 여기 다이오드 레이저를 반사시키는 코팅을 입혀 공진기의 광변환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여기빔에 의한 포화흡수체의 표백현상을 방지하여 안정된 출력이 나오게 하였다. 레이저 이득 매질 및 포화흡수체의 온도는 열전 냉각기와 냉각수를 사용하여 안정화 시켰다. 온도안정화를 시킨 상태에서 발진되는 펄스의 첨두 출력 요동(peak to peak)은 4%였다. 다이오드 레이저의 출력이 1 W일 때, 출력 펄스의 반복률은 평균 9 KHz 였으며, 최소 펄스폭은 7.11 ns, 최고 출력은 16.27 mW였다.

다이오드 측면여기 고출력 Nd:YAG 레이저의 발진특성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a diode side-pumped, high power Nd:YAG laser)

  • 문희종;이성만;김현수;고도경;차병헌;이종훈
    • 한국광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434-440
    • /
    • 2000
  • Lambertian 산란 특성을 갖는 난반사체를 적용하고 1kW의 출력을 갖는 고출력 레이저 다이오드를 여기광원으로 이용하여 고출력 Nd:YAG 레이저를 제작하였다. 지름이 5mm인 레이저봉을 사용하고 짧은 공진기를 구성하여 연속발진시켰을 때 약 500W의 고출력을 얻을 수 있었고 이때 기울기 효율은 49% 광변환효율 46.7%로 매우 높은 효율을 얻었다. 지름이 6mm인 레이저봉을 사용하였을때에는 LD여기광의 흡수 분포가 불균일해져서 광변환효율은 감소하였다. 발생한 레이저빔의 빔질인자(Beam Quality Factor) M$^2$는 약 70 정도로 관측되었으며 이는 측정된 열렌즈 초점거리로부터 계산된 빔질인자보다 약간 작은 값으로 여기광의 흡수 분포가 매우 균일함을 보여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