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g(II)

검색결과 314건 처리시간 0.022초

유전적 고혈압 발병에 대한 Calcineurin 및 PKB/Akt의 연관성 (Involvement of calcineurin and PKB/Akt in development of hereditary hypertension)

  • 홍용근;조재현;김주헌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7-13
    • /
    • 2004
  • Severe hypertension (>180 mmHg) develops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SHR) after 12 wk-old; however, it is not clear whether what kinds of molecular mechanism leads to altered cardiac performance following developmental stages in SHR. Also, although the effect of calcineurin (Cn) to promote cardiomyocyte hypertrophy in vivo and in vitro is established, its overall necessity as a hypertrophic mediator is currently an area of ongoing debate. Thus, we have examined i) body weight and blood pressure, ii) differences of expression and distribution of signaling molecules such as Cn, protein kinase B/Akt (PKB/Akt), and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between SHR and their age-matched control Wistar-Kyoto (WKY) rats following developmental stages. In 16 wk-old SHR compared with WKY, 2-dimentional echocardiography showed cardiac enlargement and hypertrophy of left ventricle, significantly. Taken together, we suggest that Cn is associated with hereditary cardiac hypertrophy, the process being related to the molecular signaling mechanisms involving PKB/Akt and ERK.

관상동맥 우회로술에서 내유동맥 이식편의 처치방법에 따른 문합전 내유동맥 혈류량의 비교 (Preparation of the Internal Mammary Artery Graft in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 Comparison of Free Mammary Artery Flows -)

  • 최종범;김형곤;정진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6권2호
    • /
    • pp.148-153
    • /
    • 1993
  • To compare two methods of mammary pedicle graft preparations with free internal mammary artery flow, we studied 31 patients who had the left internal mammary artery harvested fo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The free flow was measured at the transected opening of 2 to 3 cm distal to the point of bifurcation on mean arterial pressure of 50 to 55 mmHg during cardiopulmonary bypass. Group I comprised 14 patients, whose grafts were sprayed and wrapped in sponges soaked in diluted papaverine solution (60 mg in 40 ml Hartmann's solution). An average 80 minutes after the preparations, free flow of the internal mammary artery ranged from 20 to 80 ml/min (mean 37.7 ml/min). Group II comprised 17 patients, who had internal mammary artery takedown under the exact conditions used in group I. The grafts were sprayed and wrapped in sponges soaked in the diluted papaverine solution as in group I. After an average of 28 minutes, free flow ranged from 8 to 28 ml/min (mean 17.6 ml/min). Intraluminal papaverine of the same dilution was then injected without any hydrostatic dilatation and flows increased upto 37 to 150 ml/min (mean 74.7 ml/min). This study shows that intraluminal papaverine preparation method markedly increases free mammary artery flow which is inadequate with external papaverine preparation.

  • PDF

한국산 고등균류에 관한 연구 (제 2보)-양송이 중의 단백분해효소 활성- (Studies on Higher Fungi in Korea (II)-Proteolytic Enzyme of Agaricus bisporus (Lange) Sing-)

  • 은재순;양재헌;조덕이;이태규;박인화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19권1호
    • /
    • pp.9-14
    • /
    • 1989
  • In order to study the protease from Agaricus bisporus (Lange), the crude protease preparation was separated by fractionation of mushroom extracts with ammonium sulfate. It was found that extracts from Agaricus bisporus (Lange) Sing. contained protease. The optimum pH of the enzyme was 6.0, and the pH range at which the enzyme was stable was 4.0 to 7.0. The optimum temperature at which the enzyme showed the highest proteolytic activity was $50^{\circ}C$, while the enzyme was instantly inactivated at about $60^{\circ}C$. The enzyme activity was inhibited by $Ag^+$, $Hg^{2+}$, $Cu^{2+}$, $Ba^{2+}$, $Fe^{3+}$, $Co^{2+}$, $Ca^{2+}$, $Pb^{2+}$, $Mg^{2+}$ and $Mn^{2+}$. The $K_m$ value was 0.32 mM with Hammarsten casein.

  • PDF

활로4징증의 완전한 교정술에 있어서 경심방-경폐동맥교정술과 경심교정술의 비교 (Comparison of Tranatrial-transpulmonary and Transventricular Repair of Tetralogy of Fallot)

  • 김덕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7권3호
    • /
    • pp.202-208
    • /
    • 1994
  • We reviewed 30 patients with tetralogy of Fallot who had underwent transannular patch reconstruction of the right ventricular outflow tract from January 1990 to May 1993.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approaching pattern for the corrective surgery: 12 patients[aged 11 months to 4 years; mean age, 2.3 years] in transatrial group who were repaired by transatrial-transpulmonary approach; 18 patients[aged 13 months to 6 years; mean age, 3.2 years] in transventricular group who were repaired by transventricular approach. The incidence of postoperative right bundle branch block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With follow up from 3 months to 32 months after operation, none in transatrial group revealed a remnant RVOT stenosis over 50mmHg or tricuspid regurgitation more than grade II with 2D-echocardiography, but two cases[7.7%] in transventricular group revealed these complications. Early postoperative death was 4 cases[13.3%] which all belonged to transventricular group. In conclusion successful repair of tetralogy of Fallot can be accomplished in most patients by transatrial-transpulmonary approach and we can anticipate better results by this approach in terms of postoperative right ventricular function and arrhythmia than conventional transventricular approach.

  • PDF

A New Rhodamine B Derivative As a Colorimetric Chemosensor for Recognition of Copper(II) Ion

  • Tang, Lijun;Li, Fangfang;Liu, Minghui;Nandhakumar, Raju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1권11호
    • /
    • pp.3212-3216
    • /
    • 2010
  • A new rhodamine-based sensor 1 was designed and synthesized by incorporating rhodamine B and benzimidazole moieties. Sensor 1 exhibits high selectivity and sensitivity to $Cu^{2+}$ in $CH_3CN$-water solution (HEPES buffer, pH = 7.0) with an obvious color change from colorless to pink. Other metal ions such as $Hg^{2+}$, $Ag^+$, $Pb^{2+}$, $Sr^{2+}$, $Ba^{2+}$, $Cd^{2+}$, $Ni^{2+}$, $Co^{2+}$, $Fe^{2+}$, $Mn^{2+}$, $Cu^{2+}$, $Zn^{2+}$, $Ce^{3+}$, $Mg^{2+}$, $K^+$ and $Na^+$ had no such color change and have no significant influence on $Cu^{2+}$ recognition process. The interaction of $Cu^{2+}$ and sensor 1 was proven to adopt a 1:1 binding stoichiometry and the recognition process is reversible.

구리${\cdot}$아연과 비교한 보리 엽록체의 광합성 기구에 미치는 수은 이온의 특이한 효과 (Mercury-Specific Effects on Photosynthetic apparatus of Barley Chloroplasts Compared with Copper and Zinc Ions)

  • 문병용;전현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1-11
    • /
    • 1992
  • To find heavy metal-specific effects on the photosynthetic apparatus of higher plants, we investigated effects of $CuCl_2$, HgCl_2$ and $ZnCl_2$ on electron transport activity and chlorophyll fluorescence induction kinetics of chloroplasts isolated from barley seedlings. Effects on some related processes such as germination, growth and photosynthetic pigments of the test plants were also studied. Germination and growth rate were inhibit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by these metals. Mercury was shown to be the most potent inhibitor of germination, growth and biosynthesis of photosynthetic pigments of barley plants. In the inhibition of electron transport activity, quantum yield of PS II, and chlorophyll fluorescence induction kinetics of chloroplasts isolated from barley seedlings, mercury chloride showed more pronounced effects than other two metals. Contrary to the effects of other two metals, mercury chloride increased variable fluorescence significantly and abolished qE in the fluorescence induction kinetics from broken chloroplasts of barley seedlings. This increase in variable fluorescence is due to the inhibition of the electron transport chain after PS ll and the following dark reactions. The inhibition of qE could be attributed to the interruption of pH formation and do-epoxidation of violaxathin to zeaxanthin in thylakoids by mercury. This unique effect of mercury on chlorophyll fluorescence induction pattern could be used as a good indicator for testing the presence and/or the concentration of mercury in the samples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 PDF

Management of Feline Idiopathic Hypertension with Target Organ Damage: A Case Report

  • Lee, Ji-Hye;Kim, Jihee;Kim, Yoonji;Kim, Soomin;Kim, Hyeon-Jin;Kim, Ha-Jung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89-193
    • /
    • 2021
  • An 11-years old spayed female Persian chinchilla cat presented with acute onset of blindness from bilateral retinal detachment and systemic hypertension. On physical examination, the cat was tachycardic (240 beats/min) with a systolic blood pressure of around 250 mmHg. Clinical findings, blood works, urinalysis, thyroid function test, radiography, echocardiogram, and ultrasonography were performed to rule out underlying diseases. Organ injury induced by systemic hypertension including bilateral retinal detachment and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were confirmed by ultrasound.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diagnosed as feline idiopathic hypertension with target organ damage (TOD). The cat was treated with a combination therapy using high doses of amlodipine, telmisartan, and atenolol. After the treatment, its hypertension and TOD were improved. This case showed that appropriate therapeutic management can help prevent TOD associated with feline hypertension.

자연 기흉 환자에서 봉합선 보강이 흉강경 폐부분 절제술에 미치는 영향: 동물실험 및 임상연구 (Experimental and Clinical Study of Staple-Line Reinforcement Using 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in Thoracoscopic Bullectomy for Spontaneous Pneumothorax)

  • 문석환;심성보;왕영필;윤정섭;조건현;박재길;박만실;최시영;곽문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12호
    • /
    • pp.904-910
    • /
    • 2003
  • 흉강경을 이용한 자연기흉 수술은 개흉술에 비하여 재발률이 높지만 많은 외과의에게 선호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여러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저자들은 흉강경수술 시 자동 봉합기의 봉합선 보강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동물실험과 임상연구를 계획하였다. 대상 및 방법: 동물실험에서는 실험견을 이용하여 바로 도살한 후 자동 봉합기를 적용한 폐(제1군, N=5)와 자동 봉합기를 사용하여 48시간 경과한 후 도살한 폐(제2군, N=5)의 절제면에서 최초 공기 누출압을 측정하였다. 또한 각각 제1군과 2군에서 봉합선을 보강재료로 보강여부에 따른 절제면의 공기 누출압을 비교하였다. 임상연구에서는 자연기흉 흉강경수술을 받은 104명(106건)을 대상으로 봉합선 보강 여부에 따라 임상 성적을 비교하였다. 결과: 동물실험에서는 자동 봉합기의 봉합선을 보강한 군에서 의의 있게 평균 공기 누출압이 높았고(제1군: 비보강군; 18$\pm$1.6, 보강군; 483, 제2군: 비보강군; 23.8$\pm$1.9, 보강군; 54$\pm$4.6 mmHg, p<0.001), 임상연구에서는 봉합선 보강군에서 술 후 흉관 유치기간, 술 후 재원기간, 사용한 총 자동 봉합기 길이 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흉관 유치기간: 비보강군; 4.4$\pm$1.4, 보강군; 3.1$\pm$1.1일, 사용한 자동 봉합기의 총길이: 비보강군; 92.3$\pm$28.1, 보강군: 71.1$\pm$30.6 mm, 술 후 재원기간: 비보강군; 5.9$\pm$1.9, 보강군; 4.6$\pm$l7일, p<0.001). 결론: 자연기흉 흉강경 수술에서 자동 봉합기의 봉합선 보강으로 술 후 장기간 공기누출의 예방이 가능하였고, 따라서 술 후 병원재원 기간의 단축이 가능하였다.

원발성 폐암의 외과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Primary Lung Cancer)

  • 김성완;구본원;이응배;전상훈;장봉현;이종태;김규태;강덕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2호
    • /
    • pp.134-141
    • /
    • 1998
  • 최근 원발성 폐암의 유병률이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비소세포폐암의 완치 목적의 치료로 외과적 폐절제술이 가장 좋은 방법으로 알려져있다. 저자들은 1992년 1월부터 1995년 7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흉부외과에서 원발성 비소세포폐암으로 폐 절제술을 받은 환자중 100례의 임상기록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남자가 86례, 여자가 14례로 남녀비는 6 : 1이었고, 60대가 43%로 환자의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최소 34세 및 최고 81세였다. 수술수기는 단엽절제술 55례(55%), 전폐절제술 22(22%), 쌍엽절제술 15례(15%), 구역절제술 2례(2%) 및 기관지성형술이 필요했던 수상엽절제술, 수상전폐절제술 및 쐐기전폐절제술이 각각 4례, 1례 및 1례였다. 수술후 조직학적 분류는 편평상피세포암 67례(67%), 선암 26례(26%), 거대세포암 6례(6%) 및 선평편상피세포암 1례(1%)였다. 종격림프절로 전이가 있었던 예는 총 18례(18%)였으며, 편평상피세포암이 8/67(11.9%)례, 선암이 9/26(34.6%)례, 거대세포암이 1/6(16.7%)례였다. 술후 병리학적 병기는 1병기 45례(45%), 2병기 13례(13%), 3a병기 36례(36%), 3b병기 5례(5%) 및 4병기 1례(1%)였다. 전체 환자에서의 12개월, 24개월, 36개월 및 43개월의 생명표법에의한 생존률은 각각 77.5%, 56.1%, 43.7% 및 43.7%였으며, 병기별 43개월의 생존률은 1병기에서 81.3%, 2병기에서 20.8%, 3a병기에서 27.9%, 3b병기에서 25.0%였다. 수술후 병원사망은 패혈증 2례, 호흡부전 1례 및 급성 심경색에 의한 급사가 1례로 총 4례(4%)였다. 원발성폐암의 절제술후 생존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조기 발견 및 수술적응 환자의 적극적인 수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Hg로 감소하였고 폐동맥압의 평균은 수술전에 11.4$\pm$5.68 mmHg에서 25.94$\pm$11.53, 29.67$\pm$9.31 mmHg로 증가 하였으나 모두 통계적 의의는 없었다(p>0.05). 양측 폐이식수술에서인 폐동정맥문합부위의 파열, 협착, 뒤틀림 등의 수술수기상의 문제점을 예방하면서 우측폐를 먼저 이식하면서, 폐수술시야를 충분히 확보하고, 재관류손상을 방지하는 경우 cystic fibrosis, pulmonary hypertention, emphysema와 같은 심한 호흡부전증 환자의 치료방법으로 적합하리라 사료된다.에서 선택수술 (elective coronary artery bypass graft)에 비하여 특별한 위험 요소의 증가 관상 동맥 우회술을 적용하여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들에 대한 장기 추적이 릴요할 된다.착군에 비하여 의미있게 작았는데 이는 아마도수술 당시 협 착 부위의 완전제거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원인이라고 사료되었다. 본 분석에서는 어린 연령(3개월 이하), 3개월이하에 시행한 쇄골하동맥편 교약성형술이 의미있는 재협착의 위험요소로 밝혀졌다. 결론 적으로 저자등은 본연구를 통하여 대동맥협부지수, 횡대동맥 지수 등이 개개 대동맥교약 환아의 해부학 적, 임상적 특징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는 도구라는 사실을 발견하였고 아울러 교약의 해부학적 특성, 동반 심기 형, 연령, 수술방법 등이 수술사망 및 재협착에 영향한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t was resulted from increase of weight of single cocoon. "Manta"2.5ppm produced 22.2kg of cocoon. It is equal to 9% increase in index, as compared to that of control. In case

  • PDF

심한 좌심실 기능저하를 동반한 환자에서의 관상동맥 우회로 조성수술의 조기성적 (Early Results of Coronary Bypass Surgery in Patients with Severe Left Ventricular Dysfunction)

  • 정윤섭;김욱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4호
    • /
    • pp.383-389
    • /
    • 1997
  • 1992년 3월부터 1996년 3월까지 부천 세종병원에서는 총 279례의 관상동맥 우회로 조성수술을 시행 하였는 바, 이중에서 좌심실 박출계수가 35%이하인 22명의 심한 좌심실 기능저하를 동반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관상동맥 우회로 조성수술의 조기 성적을 분석해 보았다. 대상 환자들의 연령은47세에서 73 세까지로 평균 60: 5.6세였고, 이중 남자는 17명, 여자는 5명이었다. 모든 환자는 수술전 흉통을 가지고 있었는데, Canadian 분류로 class ll가 6명 class 111가 12명, class IV가 4명 이 었다. 1명을 제외하고 모두 1 차례 이상의 사전 심근경색의 병력이 있었다. 운동시 호흡곤란및 방사선상폐울혈 소견 같은 심부전 증 세를 가진 사람은 7명이었다. 혈관 조명술상에서의 area-length method를 이용한 좌심실 박출계수는 18 에서 35%사이로 평균 29.4$\pm$4:5%였고, 좌심실의 확장기말 압력은 10에서 42mmHg사이로 평균 18.7$\pm$ 8.2mmHg였다. 미국 심장학회 기준에 의한 좌심실 분절운동을 살펴보면 모든 환자가 적어도 3개 분절이 상에서 운동 저하의 소견을 보였다. 1명의 2혈관 질환 환자를 제외하고 모두 3혈관 질환 환자로 관상동 맥 침범의 정도가 심하였다. 梔珦\ulcorner모든 병변이 있는 부위에 완전 재관류를 시도하였다. 내유동맥 16 개, 대복재정 맥 60개, 요골동맥 3개등 총 79개의 이식편을 사용하여, 평균 3.5$\pm$1.1회의 원위부 문한을 시행하였다. 승모판파 폐쇄부전증을 동반한 환자 4명중 1명 에서는 승모판막윤 성형술도 함께 시 행하였 다. 수술사망은 1명에거 발생하였으며(4.5%), 사망원인은 수술 전후 심근경색에 의한 저심박출증이었다. 술후 IABP는 모두 7례에서 사용하였고, 평균사용시간은 50.3$\pm$ 16.4시간이 었다. 수술 생존자중 2명은 술 후 계속되는 심부전증과 추가 심근경색으로 술후 16개월 및 22개월째 사망하였고, 나머지 1명은 뇌 경색 증 및 패혈증으로 술후 8개월째 사망하였다. 18명의 생존자중 술후 24개월과 27개월후에 추적 도중 탈 락된 2명을 제외하고 나머지 16명은 6개월엔서 47개월사이로 평균 30.4$\pm$ 13.4개월 추적 조사를 받고 있 다. 이들중 1명 에서만 총통이 재발하였고 다른 환자에서는 흉통이 사라졌다. 이들의 기능상태를 NYHA 기준에 따라 분류하면 class I이 8명, class ll가 7명 , class 111가 1명이었다. 이 연구 결과, 관상동맥 우회로 조성수술은 심한 좌심실 기능 저하를 동반\ulcorner 환자$\circledcirc$서도 비교적 납득 할 만한 위험도로 시행될 수 있으며 협심증의 완화 및 소멸에는 효과적이나, 심부전 증세의 호전에는 크 게 기여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