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xagrammos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3초

노래미, Hexagrammos agrammus(Temminck et Schlegel)의 성성숙과 산란 (On the Maturity and Spawning of the Greenling, Hexagrammos grammus(Temminck et Schlegel))

  • 정의영;김성연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22-236
    • /
    • 1994
  • 1991년 7월부터 1992년 7월까지 부산시 해운대 동백섬 조간대에서 채집된 노래미, Hexagram mosagrammus를 대상으로 성성숙에 관련된 제반 형질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식소숙도지수(GSI)는 추계인 9월부터 증가하여 11월에 년중 최고값인 암 4.31, 수 1.61을 각각 나타내었으며 12월부터 감소하여 춘하계 동안 낮은값을 유지하였다. 2. 간숙도지수(HSI)는 수컷의 경우 뚜렷하지는 않으나, 암컷은 생식소숙도지수와 동일하게 변화하여 생식소가 활성화되는 9월부터 중가하기 시작하여 11월에 2.32의 년중 최고값을 나타내었다. 3. 군성숙도는 암수 모두에서 표준체장 11.0~11.9 cm에서 50 % 이상, 13.0~13.9 cm에서 100 %로 전 개체가 생식에 가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성숙 및 산란기인 9월에서 12윌사이 난소내 난경조성의 결과에서 노래미는 한 산란기에 3회 이상의 산란을 행하는 다회 산란종으로 밝혀졌다. 5. 총포란수와 성숙란수는 체장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나, 전중과의 관계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6. 비만도는 성장기인 9월에 암수 각각 15.32, 15.14로 최고값을 보인 후 산란기를 지나며 크게 감소하였으며, 3월부터는 다시 서서히 증가하였다. 따라서 비만도의 변화는 생식주기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위험평가모형($TrophicTrace^{(R)}$)을 이용한 가상 해양오염퇴적물의 쥐노래미와 인체 영향 예비평가 (Potential Human Health and Fish Risks Associated with Hypothetical Contaminated Sediments Using a Risk Assessment Model ($TrophicTrace^{(R)}$))

  • 양동범;홍기훈;김경련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60-70
    • /
    • 2011
  • 본고에서는 현재 시행중인 해양오염퇴적물질 관리용 유해화학물질 정화지수($CI_{HC}$)를 대상으로, $CI_{HC}$은 동일하나 유해 물질별 함량이 다른 해저퇴적물들이 같은 생물위험을 보이는가를 판단하려 하였다. 이를 위해 5개의 가상 오염퇴적물을 설정하고, 퇴적물 위험평가를 위한 트로픽트레이스 모형($TrophicTrace^{(R)}$ model)을 이용하여, 이 가상 퇴적물이 쥐노래미(Hexagrammos otakii)에 대해 미치는 생물위험을 최대무작용량에 기반한 독성지수(NOAEL TQ)와 최소작용량에 기반한 독성지수(LOAEL TQ)로 평가하였다. 쥐노래미에 대한 NOAEL TQ의 합계는 5개 가상 오염퇴적물에서 0.69~1.54의 범위였고, LOAEL TQ의 합계는 0.111~0.261로 약 2배 이상의 차이가 났다. 이는 퇴적물 유해물질 환경기준이 해양저서무척추동물군집에 대한 영향만을 고려하고 사람으로 연결되는 식용의 쥐노래미에 대한 영향을 반영하지 않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인체에 대한 비발암위험지수(HI) 값은 PCB의 경우 9.8~47.1로 매우 위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PCB의 발암위험도는 5개 퇴적물에서 $39{\sim}190{\times}10^{-5}$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As의 경우에도 $8.1{\sim}18.0{\times}10^{-5}$으로 높게 나타났다. 유해화학물질정화지수가 8로 동일한 5개 가상 오염퇴적물에서 비발암위험지수(HI) 및 발암위험도가 서로 매우 다르게 나타난 것은 각 오염물질별로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노래미 (Hexagrammos agrammus)와 쥐노래미 (H. otakii)의 세포유전학적 연구 (Cytogenetic Analysis of Spotty Belly Greenling (Hexagrammos agrammus) and Greenling (H. otakii))

  • 심미아;노재구;남윤권;김동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682-685
    • /
    • 2002
  • 노래미와 쥐노래미의 유전적인 종 동정의 확립과 우량 품종 개발을 위한 유전 육종학적 연구의 기초 자료를 얻고자, 최근 양식 대상어로 대두되고 있는 두 어종을 대상으로 적혈구 세포와 핵의 크기, DNA 함량, 핵형 분석 등의 세포유전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노래미의 적혈구 세포의 크기는 장, 단축이 각각 $9.76{\pm}0.27{\mu}m^2$, $6.35{\pm}0.07{\mu}m$로, 쥐노래미의 $9.17{\pm}0.05{\mu}m$, $6.2424{\pm}0.04{\mu}m$ 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 표면적과 부피 역시 노래미가 $48.62{\pm}1.74{\mu}m^2$, $213.67{\pm}7.51{\mu}m^3$로 쥐노래미의 적혈구 세포 표면적 $44.85{\pm}0.44{\mu}m^2$, 부피 $187.57{\pm}2.45{\mu}m^3$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래미의 DNA 함량은 2.15$\pm$0.04pg, 쥐노래미는 2.10$\pm$0.03pg으로 핵의 크기와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노래미와 쥐노래미의 염색체수는 48개로 동일한 핵형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NOR분석 결과 역시 두 종에서 1쌍의 acrocentric chromosome의 short arm에서 NOR이 확인되었다. 성별에 따른 염색체의 수적 차이나 hetero-morphic한 염색체, 그리고 개체간 염색체 다형 현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쥐노래미(Hexagrammos otakii)의 생식생태

  • 강희웅;정의영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3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341-342
    • /
    • 2003
  • 쥐노래미는 쥐노래미과에 속하는 연안정착성 동계산란어종으로 우리나라 전연안과 중국, 일본에 서식하고 있다. 최근 무분별한 남획으로 인하여 자원량이 급감되어 쥐노래미는 일찍부터 양식대상종으로 각광을 받아왔다. 지금까지 쥐노래미과에 관한 연구ㆍ보고된 것은 정과김(1994)에 의한 노래미의 성숙과 산란이 보고되어 있을뿐 쥐노래미의 성성숙과 산란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중략)

  • PDF

수온급변에 따른 넙치(Paralichithys olivaceus)와 쥐노래미(Hexagrammos otakii)의 스트레스 반응

  • 장영진;허준욱;임한규;이종관;이종하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29-230
    • /
    • 2000
  • 여름철 우리나라 동해안에서 발생하는 냉수대로 인한 급격한 수온변화는 어류의 느린 성장과 질병 발생을 초래하는 요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고수온 기인 여름철에는 발전소의 온배수 배출로 주변수역의 수온이 더욱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외에서는 수온의 급변이 어체의 생리적 변화를 야기시키고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여, 생체내 대사와 혈액성상의 변화를 일으키는 것으로 연구된 바 있다(Barton and Iwama, 1991). (중략)

  • PDF

마산만에 출현하는 난자치어 종조성과 출현량의 시공간 변동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s of Ichthyoplankton in Masan Bay)

  • 곽석남;박주면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2-49
    • /
    • 2014
  • 조사기간 동안 총 4종의 부유성 어란과 24종의 자치어가 마산만에서 채집되었다. 어란의 우점종은 멸치 (Engraulis japonicus) 어란이었다. 그러나 자치어는 앞동갈베도라치 (Omobranchus elegan), 고등어 (Scomber japonicus), 문절망둑 (Acanthogobius flavimanus), 쥐노래미 (Hexagrammos otakii), 돛양태류 (Repomucenus sp.), Scartella cristata, 망둥어과(Gobiidae sp.) 순으로 우점하였다. 이들 7종은 전체 출현개체수의 78.5%를 차지하였다. 어란과 자치어는 시공간적으로 큰 변동을 보였다. 어란과 자치어의 현존량은 2007년 7월에 가장 높았으며, 2007년 2월에 가장 낮았다. 그리고 난자치어는 다른 정점에 비해 정점 5에서 현존량이 높았다. 어란과 자치어 현존량의 시간적 변화는 수온에 영향을 받았다. 부유성 어란과 자치어는 수심, 지형 등과 같은 물리적 환경 요인에 따라 좀 더 얕은 만 안쪽 정점과 깊은 만 외곽 정점 간 군집 차이를 보였다.

동해 감포 주변해역에서 저층삼중자망에 어획된 어류 군집 (Fish Assemblages Collected by Bottom Trammel Gill Net around Gampo in the East Sea of Korea)

  • 강필준;김종관;황선완
    • 환경생물
    • /
    • 제33권1호
    • /
    • pp.27-33
    • /
    • 2015
  • 2005년 6월, 9월, 12월 및 2006년 3월에 동해안의 감포연안에서 저층삼중자망에 어획된 어류 종 조성을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21과 32종, 695마리, 180,012.0 g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채집된 어류 가운데, 가장 많이 채집된 종은 망상어 (Ditrema temminckii)로서 채집 개체수의 52.4%, 생체량의 40.4%를 차지하였다. 그 다음 주요 종으로는 쥐노래미 (Hexagrammos otakii),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i), 쥐치 (Stephanolepis cirrhifer), 탁자볼락 (Sebastes taczanowskii), 용치놀래기 (Halichoeres poecilopterus) 등이었다. 이들 6종은 전체 개체수의 77.6%, 전체 생체량의 77.5%를 차지하였다. 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은 계절에 따라 변동하였다. 종수는 2005년 6월에 가장 많았고 2006년 3월에 가장 적었다. 개체수와 생체량은 2005년 9월에 가장 많았고, 2005년 6월에 가장 낮았다.

육상 사육 수조에서 쥐노래미 치어의 적정 사육 밀도 (Influence of Stocking Density on Growth, Feed Efficiency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Fat Cod (Hexagrammos otakii Jordan et Starks) in Indoor Culture System)

  • 이종관;김성철;이상민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33-237
    • /
    • 1996
  • 육상 사육 수조에서의 쥐노래미 적정 사육 밀도를 구명하기 위해 13 g 전후의 치어를 대상으로 250 l FRP 수조(수용적 : 200 l)에 각각 2반복으로 50 (330 g/100 l), 100 (660 g/100 l), 150 (990 g/100 l) 및 200 (1330 g/100 l)마리씩 수용하여 냉동 전갱이와 분말사료를 1 : 1의 비율로 혼합한 moist pellet으로 2개월간 사육 실험하였다. 사육실험한 후의 평균체중, 증체율, 사료효율, 일일사료섭취율 및 단백질 축적율이 수용 밀도가 증가됨에 따라 이 값들이 감소하여 실험 시작시 수용적 100 l당 330 g을 수용한 실험구가 $660\~990 g을 수용한 실험구와는 유의차가 없었지만, 1330 g을 수용한 실험구와는 차이를 보였다(P>0.01).

  • PDF

여수 연안에서 자망에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Fluctuations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collected by gill net fisheries in coastal water of Yeosu, Korea)

  • 오성재;한경호;고수진;이성훈;신임수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0권4호
    • /
    • pp.633-642
    • /
    • 2014
  • Monthly variation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the fishes were investigated based on specimens collected by gill net in coastal water of Yeosu from October, 2009 and February, May, August, 2010. The collected fishes were 1,529 individuals (183,840g) of the total, identified into 6 orders, 16 families and 24 species. The most dominant order fish was Perciformes comprised 9 species, 7 families, and followed Pleuronectiformes comprised 5 species, 3 families, Scorpaeniformes comprised 5 species, 2 families. These 3 orders constituted 81.1% of the total collected fish. During the study, most dominant species was Hexagrammos otakii accounted for 189 individuals (12.4%) of the total, followed by Lateolabrax japonicus 165 individuals (10.8%), Hexagrammos agrammus 154 individuals (10.0%). The fish was collected by a gill net in coastal water of Yeosu from October, 2009 and February, May, August, 2010, the diversity index of the fishes was 2.09~2.66, which was the highest in August, 2010 and the lowest in February, 2010. The evenness index of them was 0.84~0.89, which was the highest in August, 2010 and the lowest in February, 2010 and the richness index of them was 2.02~3.14, which was the highest in October, 2009 and the lowest in February, 2010. The analyzed species diversity index by the each stations was 2.47~2.66 and the evenness index was 0.84~0.90 and the richness index 2.99~3.37. The similarity of community structure per season was very high which was the least in spring and fall. In addition, the community structure was very similar in state 3 and 2 out of each s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