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terotopia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38초

헤테로토피아로 본 영화 <창>의 공간구조 분석 (Analysis of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Movie Viewed as a Heterotopia)

  • 태지호;김대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181-191
    • /
    • 2021
  • 본 연구는 1997년 개봉한 임권택 감독의 영화 <창>에 나타난 공간 구조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영화의 공간은 등장인물의 성격과 특징을 포함하여 인물을 둘러싸고 있는 당대의 현실 및 외재적 상황을 파악하게 해주는 영화적 조건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미셸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공간 개념을 활용하였다. 헤테로토피아 개념은 당대의 성격을 규정하면서, 우리 삶을 둘러싼 자본과 권력, 제도와 규범이 공간을 통해 어떻게 가시화되고 있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제 속에서 본 연구는 우선 미셸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개념에 대한 이론적인 고찰과 그 함의에 대해서 다루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영화 <창>의 공간이 헤테로토피아로 논의될 수 있는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영화 <창>의 공간은 일탈의 헤테로토피아, 저항 불가능성의 헤테로토피아, 경계의 헤테로토피아로 구분되었으며, 이는 영화의 대사, 장면, 편집 등과 같은 영화 요소들에 대한 분석과 병행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한 영화 <창>에 드러나는 의미는 다음과 같다. 우선 영화 <창>에서의 여성들은 수동적으로 재현되며, 헤테로토피아의 경계를 부유하고 있었다. 그리고 영화 <창>은 역사와 기억을 동시에 재현하고 있으며, 그 경합의 장으로서 헤테로토피아를 제시하고 있었다.

헤테로토피아의 개념으로 본 남성복의 젠더리스 스타일 (Genderless Styles in Menswear Analyzed through the Heterotopia Concept)

  • 정수진;임은혁;서승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626-638
    • /
    • 2018
  • Recent perspectives on masculinity have changed and are expressed as a genderless style in fashion. Male models wearing womenswear are frequently presented in menswear collections. This study analyzes the genderless men's styles from the Heterotopia concept viewpoint. Heterotopia, coined by the post-modern philosopher Michel Foucault, is a space that deviates from normality and a space of alternative. The research methodology is combined with a literature study and case study. Contemporary men's genderless styles examined through the Heterotopia concept are categorized as transition, deviation, contradiction, crisis, and coexistence. Genderless phenomenon are also accelerated by the development of the media as well as the younger generation who express personality and social messages through a genderless style.

식민지 근대의 헤테로토피아와 괴담, 그리고 모던의 불안 (Heterotopia, Strange Stories, and Modern Anxiety in the Colonial Era)

  • 이주라
    • 비교문화연구
    • /
    • 제42권
    • /
    • pp.23-46
    • /
    • 2016
  • 이 글에서는 식민지 근대 조선의 영토 내에서 존재하였던 헤테로토피아적 공간에 주목하였다. 근대 질서에서 보기에는 이질적이나 당대 사회의 희망을 구현했던 헤테로토피아를 찾아서, 그 공간들이 가졌던 실제적 특징을 파악하였다. 또한 이런 헤테로토피아적 공간을 식민지 근대 지식인들이 담론화하는 방식을 살펴보며, 근대적 지배 체제에 대한 당대의 또 다른 시각을 알아보았다. 삼일독립운동이 시작되었던 탑동공원과 정신병동인 동팔호실은 근대적 관점에서 가장 이질적이면서도 그로테스크한 공간이었다. 그곳은 근대성이 실패한 공간들로 표상되었다. 하지만 이 공간 속에서는 독립에 대한 발화가 공공연하게 이루어졌으며, 이는 이 공간들이 당대 사회의 희망을 담아내는 유토피아로 기능하게 하였다. 그렇지만 당대의 지배 체제는 이 공간 속에서 이루어지는 발화를 괴담으로 간주하며 폄하했다. 원인을 알 수 없는 이야기인 괴담은 근대의 지식 체계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 당대의 지배 체제가 불완전함을 드러내었다. 체제의 불완전함은 일상에 대한 불안을 야기하였다. 이처럼 이 글에서는 헤테로토피아를 괴담으로 왜곡하여 전달하였던 담론화의 방식을 통해 식민지 근대의 질서가 가지고 있던 불안의 한 측면을 살펴보았다.

캐럴 처칠의 "클라우드 나인" 에서의 혼재향 (The heterotopia in Caryl Churchill's Cloud Nine)

  • 정귀훈
    • 영어어문교육
    • /
    • 제13권1호
    • /
    • pp.211-233
    • /
    • 2007
  • Caryl Churchill achieved spacial politics to resist dominant ideology in Cloud Nine. It is suggested that heterotopia is a counter-site to the places which are controlled by colonialism and sexuality. Churchill juxtaposes African colony of Victorian period in the first act and modern London in the second act. It implies that individuals are similarly oppressed by dominant ideology until now though several conditions for individuals are drastically improved. White heterosexual men in the play try to build their utopia to keep their privileges. If they find anything abnormal to their standard, they systematically classify people and organize them into the different ranks and levels to seclude them from their utopia. Actually, the ideal people in the ideal place are oppressed by patriarchal ideology, compulsory heterosexuality, and colonialism which are covertly associated with gender. Therefore, Churchill uses the cross-casting to challenge the artificiality of gender, sexuality, generation and race in the play. People realize that they need to find their own desires free from gender, compulsory heterosexuality, ethnic, and race and their subjectivity flowing in and out of space. It is the site that all the binary oppositions are deconstructed and creates new multiple nodes to expand the boundary of their communities to heterotopia in real places.

  • PDF

현대 패션에 나타난 Fluid Form의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luid Form Expressed in the Modern Fashion)

  • 서승미
    • 복식문화연구
    • /
    • 제19권4호
    • /
    • pp.805-819
    • /
    • 2011
  • In contemporary society, heterotopia is the law dominates thoughts and is the concept reconstituted spaces calls order in chaos. And that is the place which refuses the paradoxical and social custom and sometimes poses a danger and rise in reb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how forms of clothing fluid form images are expressed in modern fashion develop body around in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and its environment. The study method consider changed characterastics of fluid space through the heterotopia thinking system of Foucault Michel. Based on this method, the heterotopia space that appeared in the plastic arts in aspects of artistic significance and aesthetic value was examined.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on modern fashion Fluid Form were expressed in any formative characteristics were conside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luidity is the transformed interaction. It expanded external representation of organic body structure and reconstructed flexible forms of dynamic structures continuously. Transformation is the new space structure. It constructed invisible transformation and developed convertible dress space by combining a variety of functional overlap and fold. Deconstruction was expressed structural forms, expanding the existing forms in the open structure which have ambiguous boundaries.

Heterotopia images of fashion space represented on Instagram - Focusing on the case of Ader Space in Korea -

  • Syachfitrianti Gadis Nadia;Se Jin Kim
    • 복식문화연구
    • /
    • 제31권4호
    • /
    • pp.467-488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concepts of heterotopic image and fashion spa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space and images from the perspective of fashion brands and users. This study examines the evolution of fashion space and consumers with it, based on Foucault's theory of heterotopia, which refers to spaces that blend contradictory features not typically found within a single physical structure. This is accomplished by employing a single case study of Ader Error's Ader Space, a Seoul-based brand known for its unique approach to presenting and communicating fashion. Based on an analysis of Instagram posts of Ader Error along with the hashtag searches "aderspace" and "adererror", this study categorizes heterotopia from the perspective of fashion brands into three properties: fashion space as a medium for selling fashion products; fashion space as getaway to hybrid fashion practices; and fashion space as an illusionary place to experience fashion. From the user perspective, the heterotopic image of Ader Space portrayed on Instagram is characterized by the image of fashion products in an extraordinary fashion space, the image of a fashion space beyond space and time, and the image of exposing the hidden and the illusion-compensation of fashion space. This study contributes to a heightened understanding of the evolutionary concept of the fashion space.

존재하지만 존재 않는 타자들의 공간 영화 <죽여주는 여자>의 담론 공간을 중심으로 (Existent, but Non-existent Spaces for Others Focusing on Discourse-spaces of a Korean Movie (2016))

  • 장은미;한희정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84권
    • /
    • pp.99-123
    • /
    • 2017
  • 본 연구는 여성주의적 시각으로 영화 <죽여주는 여자>가 구성하는 공간을 헤테로토피아의 개념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젠더, 계급, 연령, 국가, 섹슈얼리티, 민족, 직업의 정치학이 상호 교차하면서 다음과 같은 공간을 구성하였다. 첫째, 나이 듦과 죽음이 교차하는 공간이다. 요양 병원, 달동네 쪽방촌, 북한산 바위, 호텔, 교도소 등을 통해 구성되는 이 공간은 죽음에 대한 역설과 모순을 불러일으키면서 죽음에 작동하는 가부장적 시선에 이의를 제기한다. 둘째, 밥벌이로서의 성매매 노동 공간으로 싸구려 여관과 녹음 짙은 야외 공원으로 대비되는 장소들이다. 낡은 여관방은 가부장적 성규범 사회에서 보호받지 못하는 '성매매 여성' 소영이 늙은 몸이 되면서 비체화되고 타자화되는 순간을 드러낸다. 셋째, 끊임없이 소환되는 모성 공간은 자식을 버린 죄책감에서 벗어나지 못한 소영의 일상을 통해 구성된다. 민호에 대한 과한 돌봄과 남성노인들에 대한 과도한 연민은 모성 결핍과 연결되면서, 모성 집착의 서사는 영화 내 다른 시선들과 충돌한다. 넷째, '다문화 소수자 유사가족 공간'은 이태원을 중심으로 경계 바깥의 구성원들이 모여 사는 공간이다. 이곳은 이성애 기반의 혈연 중심 '정상 가족'의 동질성에 균열을 내고 정상성 바깥의 섹슈얼리티를 가시화시키는 이질적 공간이다. 다섯째, 하위주체로서의 소영의 말하기 공간이다. 하위주체인 소영의 영화적 재현이 '말 걸기'라면 영화 텍스트 내에서 소영은 '말하기'의 주체로서 적극적으로 응대한다.

  • PDF

Periventricular nodular heterotopia in a child with a mild Mowat-Wilson phenotype caused by a novel missense mutation of ZEB2

  • Kim, Young Ok;Lee, Yun Young;Kim, Myeong-Kyu;Woo, Young Jong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16권2호
    • /
    • pp.71-75
    • /
    • 2019
  • Periventricular nodular heterotopia (PNH) is a malformation of cortical development in which normal neurons inappropriately cluster in periventricular areas. Patients with Mowat-Wilson syndrome (MWS) typically present with facial gestalt, complex neurologic problems (e.g., severe developmental delay with marked speech impairment and epilepsy), and multiple anomalies (e.g., Hirschsprung disease, urogenital anomalies, congenital heart defects, eye anomalies, and agenesis of the corpus callosum [CC]). MWS is mostly caused by haploinsufficiency of the gene encoding zinc-finger E-box-binding homeobox 2 (ZEB2) due to premature stops or large deletions. We present a case report of a 9-year-old girl with PNH, drug-responsive epilepsy,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y, and facial dysmorphisms only in whom we performed whole-exome sequencing and found a de novo heterozygous missense mutation (c.3134A>C; p.His1045Pro) of ZEB2 (NM_014795.3; NP_055610.1). This mild case of MWS caused by a rare novel missense mutation of ZEB2 represents the first report of MWS with isolated PNH.

과학적 실행의 회색상자(grey box): 비/가시적 협력의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로서의 실험실 공간 (The Grey Box of Technoscientific Practices: Laboratory as a Heterotopic Space where In/visible Collaborations Take Place)

  • 이준석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3권1호
    • /
    • pp.1-39
    • /
    • 2013
  • 과학적 실행에서 기술과학자들의 협력은 어떻게 발생하는가? 과학의 주변부에 위치지어진(situated) 한국의 기술과학자들은 실험실에서 맥락화된 형태로 협력연구를 하게 된다. 이러한 협력은 실험실의 블랙박스를 열기 전에는 보이지 않다가, 논쟁 토론 공동연구 하청 등의 특정한 상황 하에서는 가시성을 획득하여 화이트박스가 된다. 그리고 해당 상황이 종료되면 다시 블랙박스화가 이루어져 기술과학자 본인들과 외부의 관찰자 모두에게 비가시적이 된다. 블랙박스가 열리고 닫히는 이 과정은 실험실 공간에서 순간순간 서로 겹쳐진 형태로 무수히 발생하여 매 단계 이를 구분하는 것이 어려울 정도이며, 실험실에서 과학적 실행의 결과로 정돈된 불변의 동체가 생성되는 과정을 블랙박스화의 과정으로 본 크노르-세티나나 린치, 라투어-울가 등의 분석은 지나치게 단층적이고(single-layered) 실제 상황을 충분히 잘 묘사하지 못한 측면이 있다. 실험실에서의 협력은 가시성과 비가시성을 동시에 갖는 비/가시적 특성을 지니며, 이는 블랙박스와 화이트박스를 구분하는 것이 불가능한 회색상자에 가깝기 때문이다. 또 이러한 기제의 작동 공간인 실험실은 푸코가 주장한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로서 기능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