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speridin

검색결과 186건 처리시간 0.023초

페놀성 화합물의 아질산염 소거 및 전자공여 작용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 강윤한;박용곤;이기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32-239
    • /
    • 1996
  • 천연에 광범위하게 존재하고 있는 각종 폐놀성 화합물은 니트로화 반응의 저해제로 관여하거나 항산화제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본 연구에서는 이들 각종 페놀성 화합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과 전자공여 작용 유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들 화합들의 농도를 $0.1mM{\sim}6mM$용액을 조제한 후, 이 액 일정량을 이용해 아질산염 소거작용과 전자공여 작용을 비교하였다. 아질산염 소거율에서 phenolic acid류는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일부는 pH 1.2, 3.0에서 flavonoids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에서 phenolic acid류 가운데 hydroxybenzoic acids는 gallic acid> gentisic acid> syringic acid> protocatechuic acid> salicylic acid> vanillic acid> benBoic acid>p-hydroxy benzoic acid 순으로 나타났으며, hydroxycinnarnic acids가운데 전자공여능의 크기는 hydrocaffeic acid> caffeic acid> ferulic acid> p-coumaric acid>trans-cinnamic acid 순으로 나타났고, flavonoids 가운데에서는 (+)catechin> rutin> quercetin>naringin=hesperidin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tannic acid를 포함한 기타 phenol성 화합물에 없어서도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 PDF

볶음 새송이버섯 기능성분의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Functional Components of Roasted Pleurotus eryngii by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 이명희;윤성란;조덕조;김현구;이기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8호
    • /
    • pp.1062-1069
    • /
    • 2007
  • 볶음 새송이버섯의 기능성이 우수한 최적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에탄올 농도($0{\sim}100%$), 추출시간($1{\sim}9$ min) 및 마이크로웨이브 파워($25{\sim}125$ W)에 따른 중심합성실험계획으로 반응표면분석하였다. 그 결과 가용성 고형분 함량, 전자공여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의 경우 에탄올 농도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CE 저해활성은 추출시간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볶음 새송이버섯의 최적 추출조건은 에탄올 농도 $25{\sim}50%$, 추출시간 $3{\sim}9$ min, 마이크로웨이브 파워 $80{\sim}125$ W일 때로 나타났다. 최적 추출물의 총 단백질 함량은 45.80 mg/g,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7.42 mg/g으로 나타났으며, 페놀성 물질 중 protocatechuic acid가 1226.32 ${\mu}g/g$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salicylic acid, catechin, p-hydroxybenzoic acid, caffeic acid, coumaric acid 및 hesperidin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온재배한 한라봉 감귤의 성분분석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allabong Tangor(Citrus Kiyomi ${\times}$ ponkan) Cultivated with Heating)

  • 김화선;이상협;고정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11-615
    • /
    • 2006
  • 가온재배한 한라봉감귤의 물리화학적 성분특성을 검토하였다. 수분 함량은 한라봉과 M16A에서 각각 87.42%와 88.12%, 총당은 8.01%와 7.81%, 산 함량은 1.09%와 0.99 %이었다. 비타민 C 함량은 한라봉과 M16A에서 각각 72.01 와 68.01 mg/100g으로 온주밀감에 비하여 매우 높았다. 무기물 함량 중에 K는 한라봉은 1369.33 mg/100g으로 M16A 의 938.33mg/100g에 비해 높았으며, 한라봉은 K > P > Ca > Mg > Na, M16A는 K > Ca > P > Mg > Na 순으로 높았다. 유리당 함량은 한라봉과 M16A에서 각각 sucrose가 3.60%와 4.36%로 전체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으며, fructose와 glucose가 각각 2.22%와 1.90%, 1.94%와 1.65%였다. 유기산은 citric acid가 전체의 $69.88{\sim}82.32%$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특히 M16A의 경우 malic acid함량이 온주밀감에 비해 매우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flavonoid 함량은 품종간에 다소의 차이는 있었으나 다른 감귤류와는 달리 hesperidin과 narirutin이 주로 함유되어 있었다.

전기투석에 의한 미숙온주밀감 주스의 탈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Deacidification of Premature Citrus Juices by Electrodialysis)

  • 고원준;양민호;강영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02-208
    • /
    • 2006
  • 제주지역에서 8, 9, 10월에 수상 적과하여 폐기되는 감귤 미숙(청)과를 자원화하기 위해 전기투석을 이용하여 착즙주스의 과도한 유기산을 제거하고, 이화학적 특성 및 기능적 특성에 대한 전기투석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착즙주스의 100분 전기투석 결과 총 산도는 3.15(8월), 1.62(9월), 1.45%(10월)에서 2.37(8월), 0.86(9월), 0.74%(10월)로 감소하였으며, $^{\circ}Brix$도 약간 감소하였으나 결과적으로 당산비는 각각 9.4%, 59.7%, 70.6% 증가하였다. 그러나 pH, 환원당 및 색도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착즙액의 유리당은 거의 변화가 없었지만, 유기산 함량은 상당히 감소하였다. Flavonoids인 narirutin, hesperidin의 함량도 전기투석에 의해 약간 감소하였지만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측정된 이온성분 중$K^+,\;PO_4\;^{2-},\;SO_4\;^{2-},\;Cl^-$의 함량은 전기투석에 의해 감소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K^+$이 60% 이상으로 감소율이 가장 컸다. 그러나 $Na^+$함량만은 2.5-3.5배 증가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전자공여 작용은 전기투석에 의해 각각 감소하였으나, 아질산염 소거효과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미숙감귤착즙원액과 100분 전기투석한 미숙감귤착즙액을 가지고 색, 향, 맛,종합적기호도에 대해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100분 전기투석한 미숙감귤착즙액이 종합적 기호도가 더 좋은 것 으로 조사되었고, 100분 전기투석한 미숙감귤착즙액을 가지고 $12^{\circ}Brix$로 가당을 한 후 기호성을 조사한 결과 산 함량이 적당한 9월 미숙감귤착즙액이 가장 좋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Gluconacetobacter hansenii CV1에 의해 발효된 감귤식초의 관능적 특성 (Sensory Characteristics of Citrus Vinegar fermented by Gluconacetobacter hanenii CV1)

  • 김미림;최경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63-269
    • /
    • 2005
  • 제주 감귤복합가공공장에서 제조한 감귤농축액을 재료로 감귤식초를 발효하고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감귤농축액은 신선과즙에 비하여 naringin 및 hesperidin 함량이 낮을 뿐만 아니라 당도와 산도가 높아 식초발 효용으로 적합하였다. 6배 희석한 감귤농축액에 효모(CMY-28)를 접종하고 $28^{\circ}C$에서 3일간 발효하여 알콜도수 $5.6\~6.3\%$의 식초산 발효용 원주를 제조하였다. 여기에 분리한 식초산 발효균(Glucoacetobacter sp. CV1)을 접종하여 $30^{\circ}C$에서 8일간 발효하여 산도 $5.8\~6.2\%$의 감귤식초를 제조하였으며, 관능검사에서 국내에서 유통되는 천연과즙식초 중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다만, 식초발효 과정에서 알콜 잔류량이 $2.5\%$를 상회하여 이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마우스 대식세포 RAW 264.7 세포주에서 hesperetin에 의한 p38 MAPK와 ERK1/2를 통한 염증반응 조절 (Hesperetin Ameliorates Inflammatory Responses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 264.7 Cells via p38 MAPK and ERK1/2)

  • 이승훈;이은주;정정욱;손호용;김종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29-134
    • /
    • 2019
  • 이전 연구에서 전통주 주박 ethyl acetate 분획물로부터 11개의 순수물질을 분리 동정하였다. 11개의 순수물질은 caffeic acid, coumaric acid, D-mannitol, ferulic acid, hesperetin, hesperidin, naringenin, naringin, sinapic acid, syringic acid, 그리고 vanilic acid로 동정되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그들의 항염증 활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LPS로 활성화된 RAW 264.7 세포에서 nitric oxide (NO) 생산을 측정하였다. 11개의 순수물질 중 hesperetin과 naringenin이 가장 높은 NO 생성 억제를 보여주었다. 또한, hesperetin은 세포 생존율에 영향 없이 농도의존적으로 NO 생산을 저해하였다. 그리고, hesperetin은 농도의존적으로 염증유전자인 iNOS의 발현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한 반면, COX-2 단백질의 발현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게다가, hesperetin은 p38 MAPK와 ERK1/2의 인산화를 억제한 반면 JNK의 인산화에는 영향을 주지 못했다. 이러한 결과는 hesperetin은 항염증 활성을 가지며, 이러한 항염증 활성은 p38 MAPK와 ERK1/2 경로를 억제함으로써 일어난다는 것을 나타낸다.

Constituents of the Fruits and Leaves of Euodia daniellii

  • Yoo, Sang-Woo;Kim, Ju-Sun;Kang, Sam-Sik;Son, Kun-Ho;Chang, Hyeun-Wook;Kim, Hyun-Pyo;Bae, Ki-Hwan;Lee, Chong-Ock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5권6호
    • /
    • pp.824-830
    • /
    • 2002
  • Four flavonoid glycosides, flavaprin (7), evodioside B (8), vitexin (11), and hesperidin (12), as well as the coumarins bergapten (1), xanthotoxin (2), and isopimpinellin (3), the lignan simplexoside (10), the steroids ${\beta}-sitosterol$ (4) and daucosterol (5), the limonoids isolimonexic acid (6) and limonin (9), and uracil (13) and myo-inositol (14) have been isolated from Euodia daniellii. The structures of these compounds were established from spectral data. Among the isolates, bergapten showed cyclooxygenase-2 inhibitory activity with an $IC_{50}$ value of $6.2{\;}{\mu\textrm{g}}/ml. Flavonoids isolated from this plant exhibited no cytotoxic activity against the human tumor cell lines, A549, SKOV-3, SKMEL-2, XF498, and HCT15.

Phytochemical Constituents of Schizonepeta tenuifolia Briquet

  • Lee, Il-Kyun;Kim, Min-Ah;Lee, Seung-Young;Hong, Jong-Ki;Lee, Jei-Hyun;Lee, Kang-Ro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4권2호
    • /
    • pp.100-106
    • /
    • 2008
  • Column chromatographic separation of the MeOH extract from the aerial parts of Schizonepeta tenuifolia Briquet led to the isolation of twelve terpenes (1 - 11 and 17), four phenolics (13 - 16) and a hexenyl glucoside (12). Their structures were determined by spectroscopic means to be (-)-pulegone (1), piperitenone (2), p-cymene-3,8-diol (3), schizonepetoside A (4), schizonepetoside C (5), (+)-spatulenol (6), ursolic acid (7), $2{\alpha}$,$3{\alpha}$,$24{\alpha}$,-trihydroxyolean-12en-28oic acid (8), $5{\alpha}$,$8{\alpha}$-epidioxyergosta-6,22-diol-$3{\beta}$-ol (9), stigmast-4-en-3-one (10), ${\beta}-sitosterol$ (11), (Z)-3-hexenyl-1-O-${\beta}$-D-glucopyranoside (12), rosmarinic acid (13), apigenin-7-O-${\beta}$-D-glucopyranoside (14), luteolin-7-O-${\beta}$-D-glucuronopyranoside (15), hesperidin (16) and trans-phytol (17). Compounds 2, 3, 8, 9 and 12 were for the first time isolated from S. tenuifolia Briq.

장기보존시험에 따른 보중익기탕 전탕팩의 유통기한 평가 (Evaluation of Shelf-life of Bojungikgi-tang by Long-term Storage Test)

  • 서창섭;김정훈;김성실;임순희;신현규
    • 생약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00-208
    • /
    • 201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helf-life of Bojungikgi-tang (Buzhongyiqi-tang in Chinese) by long-term storage test.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stability such as the selected physicochemical, pH, identification, heavy metal, microbiological experiment, and amount of marker compounds under a long-term storage test of Bojungikgi-tang decoction. The significant change was not showed in pH, heavy metal, microbiological, and identification test based on long-term storage test. Furthermore, the HPLC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determinations of liquiritin, glycyrrhizin, nodakenin, and hesperidin in Bojungikgi-tang by long-term storage test. We were calculated shelf-life of Bojungikgi-tang decoction based on the amount change of four constituents. Consequently, Shelf-life by four compounds at room temperature was predicted 23 month. The suggested shelf-life would be helpful on the storage and distribution of herbal medicine.

감귤 품종별 이화학적 성분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components on citrus varieties)

  • 김병주;김효선;강영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259-268
    • /
    • 1995
  • Physico-chemical components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processed products were investigated on 10 varieties of Cheju citrus fruits. Juice ratio of Hungjin was the highest, 49.2%, while Sankyool was the lowest, 4.2%, which showed great differences among varieties. Peel ratio of Dangyooja was the highest, 46.1%, while both Navel orange and Hungjin were relatively low. Soluble solid($^{\circ}$Brix) was relatively high In Sankyool, Meiwa Kumquat, Sambokam and Iyo. Acid content was the highest, 4.86% in sudachi and relatively high in Sankyool, Natsudaidai and Dangyooja. The $^{\circ}$Brix to acid content ratio was 13.9 in Meiwa Kumquat and more than 10 in Navel orange and Hungjin. Total sugar contents of Juice were 2.78∼10.94%, while reduced sugar contents were 1.63∼6.38% which showed higher in Meiwa Kumquat, Iyo and Navel Orange. Hesperidin and naringin, the sources of biiter taste and cloudness were low in Hungjin and Iyo. Soluble solid($^{\circ}$Brix) of citrus juice showed highest statistical relationship(r=0.907) with total sugar, and was highly significant at 1% leve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