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reditary hemorrhagic telangiectasia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8초

유전성 출혈성 모세혈관 확장증 1례 (A case of hereditary hemorrhagic telangiectasia)

  • 이영승;김성국;강은경;박준동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10호
    • /
    • pp.1018-1023
    • /
    • 2007
  • 유전성 출혈성 모세혈관 확장증은 피부 점막 모세혈관확장증, 동정맥기형, 가족력을 3대 증상으로 하는 상염색체 우성 유전성 질환이다. 빈번한 코피가 가장 흔한 증상이며 폐, 뇌, 간 등에 동정맥기형이 동반될 수 있다. 저자들은 빈번한 코피, 폐와 뇌동정맥기형, 가족력을 가진 유전성 출혈성 모세혈관확장증 1례를 경험하고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유전출혈모세혈관확장증을 가진 가족 1예 (A Familial Case of Hereditary Hemorrhagic Telangiectasia)

  • 김민;송화영;정훈;박이내;최상봉;이현경;이성순;이영민;김수영;김용훈;허진원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6권4호
    • /
    • pp.314-318
    • /
    • 2009
  • 저자들은 반복적인 코출혈이 있는 가족에서 폐동정맥기형이 있는 동생과 점막의 모세혈관확장증을 가진 형을 경험하고 희귀한 유전질환인 유전출혈모세혈관확장증의 가계도를 확인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자발성 혈흉으로 내원하여 진단된 유전출혈모세혈관확장증 1예 (A Case of Hereditary Hemorrhagic Telangiectasia Diagnosed through Spontaneous Hemothorax)

  • 김종환;박일환;권우철;김영주;정순희;이선녕;이석정;이지호;정세현;정예령;김상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2권1호
    • /
    • pp.50-54
    • /
    • 2012
  • Hereditary hemorrhagic telangiectasia (HHT, Osler-Weber-Rendu disease) is a rare autosomal dominant disease characterized by heterogenous multisystemic dysplasia of the vascular tissue. Prevalence of HHT is 1 in 5,000~8,000. HHT commonly presents with recurrent epistaxis, but may have more serious consequences if visceral vascular beds are involved. Approximately 30~50% of HHT cases also present with pulmonary arteriovenous malformation (PAVM). Spontaneous hemothorax is less common, and PAVM is one of the causes leading to hemothorax. Our case involved an 18-year-old female who had suddenly developed right chest pain. The reason for chest pain was due to right spontaneous hemothorax accompanied by PAVM in the right middle lobe. The patient was additionally diagnosed with HHT upon examination of her family history, specifically through her mother's symptom that included recurrent epistaxis and mucosal telangiectasia.

유전성출혈모세혈관확장증의 증례 및 문헌 고찰 (Hereditary Hemorrhagic Telangiectasia)

  • 권정승;안형준;최종훈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7권3호
    • /
    • pp.135-139
    • /
    • 2012
  • 유전성출혈모세혈관확장증은 피부 및 점막에 있는 말단 혈관이 비정상적으로 확장된 모세혈관 확장증과 내부 장기, 특히 폐, 뇌, 간 부위의 동정맥기형 발생을 특징으로 하는 상염색체 우성 유전질환이다. 이 질병을 가진 환자들은 종종 오랜 시간 동안 진단이 되지 않은 채로 지내다가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출혈, 뇌졸중, 뇌농양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 질환의 조기 진단 및 적절한 선별검사가 매우 중요하다. 유전성출혈모세혈관확장증의 조기 진단을 통해 증상 없이 존재하다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폐, 간, 뇌 부위의 동정맥기형에 대한 선별 검사를 시행함으로써 이 질병에 이환된 환자와 가족에 대한 예방적 관리가 가능하다. 피부 및 점막에 발생하는 모세혈관확장증은 특징적인 소견을 보이며 치과의사에 의해 쉽게 발견되므로 치과의사는 유전성출혈모세혈관확장증에 대해 잘 알고 조기 진단에 기여할 필요가 있다. 최근 이 질환으로 진단된 증례가 있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가족력이 동반된 폐동정맥루 1예 (A Case of Pulmonary Arteriovenous Fistula with Family History)

  • 권은상;박원경;류정선;곽승민;이홍렬;조철호;노형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3호
    • /
    • pp.649-653
    • /
    • 1998
  • 폐동정맥루를 보이는 환자의 40~60%에서 유전성 출혈성모세혈관확장증이 동반되어 나타나고, 유전성 출혈성 모세혈관 확장증 환자의 약 15% 정도에서 폐동정맥루가 관찰되므로 폐동정맥루 환자에서는 가족력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국내에서 폐동정맥루에 대한 보고는 상당수 있어 왔으나 가족력의 동반을 보고한 예는 없었다. 저자들은 객혈을 주소로 입원하여 폐동정맥루로 진단받고 wire coil spring을 이용하여 색전술을 시행한 23세 여자 환자 1예와 그 가족력을 소개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 PDF

Osler-Rendu-Weber 증후군 환자에서 색전요법을 이용한 다발성 폐동정맥루 치험 1예 (Treatment of Multiple Pulmonary Arteriovenous Fistulas with Therapeutic Embolization in Osler-Rendu-Weber Syndrome)

  • 김재학;최택희;남승모;장재진;박연희;허남현;최두환;이병희;김유철;이춘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4호
    • /
    • pp.914-921
    • /
    • 1997
  • 저자들은 최근 가족력은 없지만 폐동정맥루와 간동맥혈관 조영술 및 위점막에서 관찰된 혈관기형을 동반한 Osler-Rendu-Weber 증후군 1예에서 폐동정맥루에 대해 금속코일을 이용한 색전요법을 시행하여 특별한 합병증 없이 증상의 개선을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폐동정맥루 치험 1례 (Pulmonary arteriovenous fistula-Report of one case-)

  • 임승평;윤갑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6권3호
    • /
    • pp.362-367
    • /
    • 1983
  • Pulmonary arteriovenous fistula is a congenital malformation resulting from errant capillary development, with incomplete formation or disintegration of the vascular septa that normally divide the primitive connections between the venous and arterial plexuses. It generally occurs as part of the disorder known as hereditary hemorrhagic telangiectasia [Rendu-Osler-Weber disease]. The hereditary lesion is transmitted as a simple non-sex-linked dominant trait. It may be single or multiple, too small to see on plain chest films or large and easily recognized. One third of the lesions are multiple on plain chest film. The pathogenesis of its symptoms is that unoxygenated, desaturated arterial blood enters into the pulmonary venous system, directly. Recently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the pulmonary arteriovenous fistula in 26 years old male soldier, which was confirmed by pulmonary angiography preoperatively. 2 thumb-tip sized, well circumscribed cystic masses filled with bright red colored blood were seen in subpleural and anterolateral portion of the right upper lobe. Right upper Iobectomy was performed due to close approximation of the fistula with pulmonary vein. Microscopically, it shows angiomatous dilatation of the abnormal vessels embedding in the parenchyma. Postoperative physiologic studies show nearly normal arterial oxygen saturation, hemoglobin and RBC count. There was good, uneventful postoperative course.

  • PDF

후천성 폐 동정맥루 -1례 보고- (Acquired Pulmonary Arteriovenous Fistula -A Case Report-)

  • 김남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8권5호
    • /
    • pp.495-498
    • /
    • 1995
  • Pulmonary arteriovenous fistula can be either congenital or acquired. The vast majority are congenital, and about 60% have been associated with hereditary hemorrhagic telangiectasia [Rendu-Osler-Weber disease . Secondary or acquired pulmonary arteriovenous fistula occurs with trauma, schistosomiasis, long-standing hepatic cirrhosis, metastatic carcinoma, and actinomycosis. Pulmonary hemorrhage secondary to acquired pulmonary arteriovenous fistula is a rare event associated with mortality. We have experienced 64 year-old female patient with the hemoptysis secondary to acquired pulmonary arteriovenous fistula due to the infection of pulmonary parasite. The chest PA and CT scan was showed calcified nodule to the distal portion of lateral segmental bronchus of RML. The bronchial angiogram was demonstrated slightly hypertrophied bronchial artery supplying RML bronchus and the presence of hypervascularization around the calcified nodule, rapid A-V shunting is noted by fluoroscopy. The patient was successfully treated by the right middle lobectomy.

  • PDF

임신중에 발견된 다발성 폐 동정맥 기형 1예 (A Case of Multiple Pulmonary Arteriovenous Malformation in Pregnancy)

  • 이병호;조용선;최천웅;유지홍;강홍모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2권5호
    • /
    • pp.545-549
    • /
    • 2002
  • 임신시에 발생한 폐동정맥기형은 드문 질환으로 유전성 출혈성 모세혈관확장증과 같이 유전적으로 동반되어 나타날 수 있는 질환이다. 저자들은 임신시에 발생한 호흡곤란과 흉부방사선촬영상의 종괴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발견된 폐동정맥기형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비디오흉강경을 이용하여 폐절제술로 치료한 편측 미만성 폐동정맥루 1례 (A Case of Video-Assisted Thoracoscopic Pneumonectomy for Unilateral Diffuse Pulmonary Arteriovenous Malformation)

  • 정종열;임종근;전성완;서원나;김대준;이광훈;박무석;김세규;장준;김성규;김영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1권6호
    • /
    • pp.585-590
    • /
    • 2006
  • 저자들은 편측성으로 우측 폐전체를 침범한 미만성 폐동정맥루에 대해 색전술 등의 중재적 시술이 불가능하여 비디오흉강경을 이용해서 폐절제술로 치료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