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patotoxicity

검색결과 801건 처리시간 0.028초

다이옥신-유도 독성에 대한 녹용 추출물의 방어효과 (Protective Effect of Cornu Cervi Parvum Extract on Toxicity Induced by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in Rat)

  • 황석연;양진배;장철수;이영찬;이형철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674-679
    • /
    • 2002
  • The toxicity and bioaccumulation of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 and 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 continues to be a focus of research in human and various species. The main human exposure is via the dietary rout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 of Cornu Cervi Parvum extract on clinical parameters and hepatotoxicity in Sprague-Dawley rat (SD rat) accutely exposured to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 Male SD rats received single intraperitoneal (ip) injection of TCDD (40 ㎍/kg), and administered 10 or 20 mg/kg/day of the ethanol extract oral injection for 4 weeks from 1 week before TCDD treatment. The gain in body weight was less in group treated with TCDD than in CON group, while that of C/H+ TCDD group (Cornu Cervi Parvum extract 20 mg/kg/day) increased. The decrease in spleen and testis weight caused by TCDD was prevented by Cornu Cervi Parvum extract 20 mg/kg/day. The fluctuation in BUN content, WBC and platelet count by TCDD intoxication were significantly attenuated by the ethanol extract treatment (20 mg/kg/day for 4 weeks). Treatments of rats with the extract (10 or 20 mg/kg/day) were significantly reduced AST and ALT levels compared with TCDD-treated group. Moderate swelling of hepatocytes, hyperchromatism, acidophilic cytoplasm and cytoplasmic vacuolation were observed in TCDD-treated animals (TCDD group). The administration of EtOH extract 10 or 20 mg/kg along with TCDD significantly alleviated the liver histopathological alteration induced by TCDD.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rnu Cervi Parvum extract can be useful as a protective agent against TCDD, an endocrine disruptor.

위선세포의 항산화 방어기전으로의 Nitric Oxide의 역할 (Role of Nitric Oxide as an Antioxidant in the Defense of Gastric Cells)

  • 김혜영;이은주;김경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89-397
    • /
    • 1996
  • 위점막은 위강내에서 생성되는 독성이 강한 활성산소종에 노출된다. Nitric oxide는 glutathione의 항상성을 유지시킴으로써 acetaminophen 유도 간독성에 대한 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hydrogen peroxide로 인한 위선세포 손상에 대한 nitric oxide의 작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Hydrogen peroxide는 ${\beta}-D-glucose$와 glucose oxidase의 반응에 의해 생성시켰으며, 위선세포에 L-arginine, $N^{G}-nitro-L-arginine$ methyl ester 및 $N^G-nitro-L-arginine$을 전처리 한 후, 세포외로 유리되는 지질과산화물 및 nitrite를 정량하고 세포내 glutathione 함량을 측정하였다. 결과로서, glucose/glucose oxidase를 처리한 경우 glucose oxidase 농도의존적으로 지질과산화물 생성은 증가되었으며, nitrite 유리 및 glutathione 함량은 감소되었다. NO synthase의 기질인 L-arginine 전처리시 glucose/glucose oxidase에 의한 지질과산화 및 nitrite 유리 증가와 세포내 glutathione 감소등이 방지되었다. $N^G-nitro-L-arginine$ methyl ester 및 $N^G-nitro-L-arginine$등 NO synthase 억제제들은 세포손상에 보호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nitric oxide는 hydrogen peroxide로 인한 세포손상에 대한 보호효과가 없으며, 이는 지질과산화 반응 및 세포내 glutathione 고갈등을 억제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고 사료된다.

  • PDF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동향 분석 (Analysis of Article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al Prescription)

  • 김안나;송미영;배순희;김철;김하영;김영식;박경범;김홍준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7-77
    • /
    • 2010
  • Objective : This study reviews the recent trend of oriental medical prescription research. The data examined are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al Prescription from 1990 to 2009. Method : The data are retrieved through the internet database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 (OASIS) and the collection of the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al Prescription. The number of articles examined is 385, published in 25 volumes of the journal. This study examines the nature of the articles, research methods, subjects, and author information. Research subjects are sorted out by the OASIS key words for the articles published before 1999, and by key word indexes cited in the abstracts for the articles published sinceafter. Results : Among the 385 articles collected, 206 are research articles, 143 philological articles, 35 case studies, and 1 special contribution. A majority of research articles are experimental studies (199 articles or 96.6%), while clinical reports (5 articles or 2.43%), and others studies (2 articles) occupy a small portion. Most of experimental studies (183 articles or 91%)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certain prescriptions or treatments. Among the effectiveness studies, 114 articles (62.3%) employ in vivo experiment design, 52 articles (28.42%) in vitro experiments, and 17 articles (9.29%) both in vivo and in vitro experiments. In terms of research subject, the most frequently indexed key words are hepatotoxicity among diseases (9 articles), Bojungikgitang (Bu-Zhong-Yi-Qi-Tang) among prescriptions (10 articles), Buja (Acontii Tuber) among meteria medica (4 articles), immunity and anti-oxidation among efficacy terminology (6 articles each), and Donguibogam(東醫寶鑑) among references in the key words (25 articles). Universities are the main affiliation of authors (76.42%), followed by university hospitals (6.71%), non-academic research institutes (5.55%), local clinics (4.67), academic research institutes (2.81%), hospitals (2.38%), and others (1.44%). The most affiliated institute of the first and correspondent authors is Wonkwang University. In terms of authorship, co-authorship outnumbers sole-authorship by 82.08% to 17.92%. The proportion of authors of a single article is 63.54% which is near the author productivity distribution described by Lotka's law.

관절6호방이 Type II collagen으로 유발된 관절염에 미치는 영향 (Suppressive Effect of Kwanjulbang-6 on Collagen-Induced Arthritis in Mice)

  • 김현수;홍서영;허동석;오민석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1003-1011
    • /
    • 200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know the effects of Kwanjulbang-6(GJB-6) on the inhibition of arthritis. GJB-6 was orally administered to mouse with arthritis induced by collagen II . Cytotoxicity, hepatotoxicity, arthritis index, value of immunocyte in draining lymph node and paw joint, rheumatoid factor in serum were measured in vivo. The incidence of arthriti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otal cell number of draining lymph nod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Total cell number of paw join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The absolute number of $CD19^+$, $CD8^+$, $CD3^+/CD69^+$, $CD3^+/CD49b^+$, $CD4^+/CD44^+$, $CD3^+$, $CD4^+$, $CD4^+/CD25^+$ and $CD3^+/CD8^+$ cells in draining lymph nod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The absolute number of $CD3^+$, $CD4^+$, $CD4^+/CD25^+$ and $CD11b^+/Gr-1^+$ cells in paw join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The absolute number of $B220^+/CD23^+$ and $MHCII^+/CD11c^+$ cell in draining lymph nod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The levels of IgG was decreased and The levels of IgM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Anti-collagen II in serum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With the hematoxylin and eosin stain, the cartilage destruction and synovial cell proliferation were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With the Masson's trichrome stain, the expression of collagen fibers was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Results showed that GJB-6 had immunomodulatory effects. So we expect that GJB-6 should be used as a effective drugs for not only rheumatoid arthritis but also another auto-immune disease.

랫드의 간에서 다양한 농도의 아플라톡신 투여에 의한 DNA Adduct의 형성과 Ras의 발현양상 (DNA Adduct Formation and Expression of Ras Gene in the Liver of Rats Treated with Aflatoxins at Various Levels)

  • 김태명;허진주;리란;김대중;남상윤;윤영원;이범준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1권4호
    • /
    • pp.339-345
    • /
    • 2005
  • Aflatoxins are produced by Aspergillus flavus, parasiticus that grows in improperly stored cereals. Aflatoxin $B_1\;(AFB_1)$ is a potent hepatocarcinogen in a variety of experimental animals including human beings. In spite of a high attention to the hepatocarcinogenecity of aflatoxins, the relative toxicity of other types $(AFB_2,\;AFG_1\;and\;AFG_2)$ of the toxins is not fully clarified. Sprague-Dawley male rats were orally administered with $AFB_1,\;AFB_2,\;AFG_1\;and\;AFG_2$ at the dose of 250, 1250, and $2500\;{\mu}g/kg$ body weight. Animals were then killed at 12, 24 or 48 hrs following aflatoxin adminstration. Subsequently the relative weight of liver was measured and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on the liver was performed. Level of 8-OxodG and expression of ras gene in the liver was determined. The relative liver weights at high doses of $AFB_1\;and\;AFG_1$ was significantly low. The treatment of $AFB_1$ at the high dose of $2500\;{\mu}g/kg$ showed vacuolar degeneration and centrilobular hepatic necrosis with inflammatory cells. The pathological changes by $AFB_2\;AFG_1,\;and\;AFG_2$ were not clearly found. The formation of 8-OxodG by $AFB_1$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up to 24 hrs after a single treatment of $AFB_1$ thereafter decreased to the level of the control. The treatments of $AFB_2\;AFG_1,\;and\;AFG_2$ showed an inconsistent pattern in the formation of 8-OxodG in the liver of rats with increasing time. The expression of ras oncogene in the liver by $AFB_1$ at the dose of $1250\;{\mu}g/kg$ was increased twice compared to the control. The treatments of $AFB_2\;AFG_1,\;and\;AFG_2$ at all doses decreased the expression of ras in the liver. These results in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AFB_1$ among aflatoxins with low comparable levels is the most toxic as determined by early biomarkers such as 8-OxodG formation and ras expression. However, the levels of 8-OxodG and ras as biomarkers were not useful to predict the relative hepatocarcinogenicity of aflatoxins to $AFB_1$ in the present model.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look for other biomarkers to predict carcinogenic potency of aflatoxins.

누에나방(Bombyx mori L.) 번데기 분말 섭취가 마우스의 저항성운동 훈련 후 근육량 증가에 미치는 영향 (Increased Muscle Mass after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and Ingestion of Silkworm Pupae Powder (Bombyx mori L.) in ICR Mice)

  • 김이슬;김희빈;전병덕;이동운;류승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1-9
    • /
    • 2016
  • 식용곤충은 대체 식량자원으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누에나방 번데기 분말 섭취 유무에 따른 저항성운동 훈련(등장성 수축)이 ICR 마우스의 근육량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ICR 마우스 28마리를 대조군(CON), 저항성운동 훈련군(EX), 누에나방 번데기 분말 섭취군(SP), 누에나방 번데기분말 섭취 저항성운동 훈련군(SPEX)으로 그룹 당 각각 7마리씩 분류하였다. 체중증가율은 EX와 SPEX가 CON과 SP에 비해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혈중 총 단백질 농도는 SPEX가 다른 그룹에 비하여 가장 높았다. 알부민 농도 변화는 운동훈련 병행 시에만 증가하였다. 혈액 GOT와 GPT 수준은 유의차가 없었다. Akt와 Gsk-$3{\beta}$의 단백질 발현의 유의차는 없었다. 그러나 번데기 분말 섭취 시 Akt 증가 및 Gsk-$3{\beta}$의 감소 경향이 나타났다. 비복근 근육 양은 저항성 운동 훈련을 하였을 때만 증가하였다. 그리고 또한, 번데기 분말 섭취 시 근육량은 유의차가 없었으나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저항성 운동훈련과 누에나방 번데기 분말 섭취는 간독성을 유발하지 않고 근육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그러나 보다 상세한 결과를 제시하기 위해 부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작업장에서 사용하는 포름아미드(Formamide)의 근로자 건강 유해성과 위험성 평가 (Worker Health Hazard and Risk Assessment of Formamide using in Workplaces in South Korea)

  • 김현영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5-42
    • /
    • 2016
  • 포름아미드(formamide)는 암모니아 냄새의 무색 액체로 흡입 시 자극성이 강하며, 급성독성 $LD_{50}$ 5,577 mg/kg(랫드), 표적장기(간장) 전신독성의 무유해영향농도(NOAEL)는 113 mg/kg/day) 및 생식독성물질(1B)로 작업환경 노출기준은 10 ppm이었다. 포름아마이드 취급사업장에 대한 작업환경 측정결과는 25개 시료 모두가 노출기준보다 매우 낮은 농도를 보였다. 그러나 작업강도, 국소배기장치의 가동 및 보호구(방독마스크)의 착용 여부 등 작업환경에 따라 노출농도가 변할 수 있어 가상 노출 시나리오별 노출량을 산출한 결과 노출량은 $5.16mg/m^3$, $1.72mg/m^3$, $0.43mg/m^3$으로 산출되었다. 이를 전신독성 및 생식독성의 유해성을 고려한 위험성을 평가한 결과 평균값은 0.02-0.58, 누적 90% 값은 0.02-0.66, 95% 값은 0.02-0.69로 모두 1보다 낮은 대체로 안전한 값으로 산출되었다. 단, 작업 상황에 따라 순간적 고농도에 노출될 위험도 있으며, 간독성 및 생식독성 물질이기에 건강장해 예방을 위해 노출되지 않도록 취급 시 주의가 요망된다.

고본양정방 투여가 TCDD 유도 랫드의 항산화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obonyangjeonbang Administration on Antioxidative of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 induced Rats.)

  • 양동현;오지혜;박운규;조충식;황석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231-23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TCDD로 인해 발생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GYB의 내분비 기능 및 항산화 효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2017년도에,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GYB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35마리의 수컷 SD랫드를 5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정상 대조군은 vehicle 및 saline을 투여하였으며, TCDD 단독투여그룹은 TCDD(2 ㎍/kg, weeks) 및 생리식염수를 복강 내 투여하였으며, 시험 군은 6주 동안 GYB (75, 150, 300 mg/kg)를 3가지 농도로 나누어 경구로 투여하였다. 체중은 NC 그룹의 랫드와 비교하였을 때 TCDD 노출 후 6주 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1). 그러나 TCDD에 의한 체중 감소는 GYB 300 mg/kg 투여에 의해 현저하게 보호되었다(p<0.01). TCDD로 유도된 랫드의 간은 세포질의 공포 변성이 나타났으며, 간의 동양 혈관과 중량의 증가를 나타냈다. MDA, SOD를 측정한 결과, TCDD 투여에 의하여 두 항목 모두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반면, GYB 투여에 의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고, SOD 결과에서 GYB 300군에서 NC군 대비 유의성이 관찰(p<0.05) 되었다. 이러한 발견은 GYB가 랫드에서 TCDD 유도 간 독성에 대해 보호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알코올로 유도된 간 손상 동물모델에서 굴 추출물의 간 보호 효과 (Hepatoprotcetive Effects of Oyster (Crassostrea gigas) Extract in a Rat Model of Alcohol-Induced Oxidative Stress)

  • ;;김범식;이민재;정창식;강남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805-811
    • /
    • 2016
  • 본 연구는 에탄올로 유도한 알코올성 지방간 동물모델에서 굴 열수 추출물의 알코올성 간 손상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6주령의 SD rat(male)을 총 6개 군으로 분리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500 mg/kg b.w.)을 처리하였다. 6주 동안 하루 간격으로 CGW를 50, 200, 800 mg/kg b.w. 농도로 경구 투여하였으며, control군을 제외한 나머지군은 40% ethanol 5 g/kg b.w.를 6주간 투여하였다. 43일째 실험동물을 희생시켜 혈액 분석 및 간 조직의 항산화 효과 분석을 통해 에탄올로 유도한 동물모델에서 굴 열수 추출물의 알코올성 간 손상 회복 효과를 확인한 결과, 에탄올에 의해 증가한 ALT와 ${\gamma}-GT$의 수준이 CGW를 투여함으로써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항산화효소 활성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에탄올에 의해 손상된 간 조직의 손상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한 조직병리학적 검사에서는 에탄올의 투여로 증가한 지방변성 비율 및 간세포 수와 같은 인자들이 굴 열수 추출물의 투여로 유의적으로 회복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에탄올에 의해 증가한 CYP2E1의 발현이 굴 열수 추출물의 투여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로 보았을 때 본 실험에서 굴 추출물의 다당류 및 폴리페놀의 항산화 작용으로 알코올로 유도된 간 손상을 억제할 수 있음을 예상할 수도 있지만, 이후 추가적인 연구로 다른 활성성분의 규명과 관련 활성 기작을 탐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진은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굴 열수 추출물이 알코올성 지방간 동물모델에서 항산화 방어시스템의 강화를 통해 간 손상을 회복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러한 연구 성과들로 굴 추출물이 알코올성 간 손상 개선에 있어 효과적인 대안으로서 더욱 더 많은 분야에서 연구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삼차신경통 진단 및 치료의 중요 고려사항 (Clinical Considerations of Trigeminal Neuralgia)

  • 전영미;태일호;최종훈;안형준;심우현;권정승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4호
    • /
    • pp.449-453
    • /
    • 2007
  • 삼차신경통은 삼차신경의 하나 이상 분지에서 나타나는 안면 편측 통증 질환으로 짧은 찌르는 듯한 통증이다. 삼차 신경통의 가장 흔한 원인은 인접 삼차신경이나 삼차신경근 부위를 압박하는 혈관에 의하거나 특발성으로 나타나는 특발성 삼차신경통과 구조적 병소에 의해 나타나는 증후성 삼차신경통으로 분류된다. 증후성 삼차신경통은 수막종, 청신경종, 표피양암종 등이 주된 원인이며, 감각 결함, 운동 결함, 운동실조, 안구진탕 등과 같은 신경계 증상이 동반된다. 삼차 신경통의 치료는 크게 약물 치료와 외과적 치료가 있다. 이 중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약물은 Carbamazepine이며, 졸음, 현기증, 불안, 오심, 식욕부진 등의 다양한 부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특히 간독성, 골수 기능 억제 등의 위험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혈액검사, 간 및 신장 기능 검사가 필요하다. 이에 삼차신경통의 임상 증례를 통해 증후성 삼차신경통과 특발성 삼차신경통의 예를 들어 진단과 치료를 시행함에 있어 여러 고려 사항들 중 특히 우리가 소홀히 하거나 간과하기 쉬운 중요 고려사항을 되짚어 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