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emibarbus longirostris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1초

한국산 참마자(Hemibarbus longirostris) (Cypriniformes : Cyprinidae)의 난 발생 및 자치어 형태 발달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Eggs, Larvae and Juveniles of the Hemibarbus longirostris (Cypriniformes : Cyprinidae) from Korea)

  • 문성준;박재민;한경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203-208
    • /
    • 202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larify the larvae and juveniles of egg development and autonomous development of Hemibarbus longirostris from Korea, and to obtain basic data for species conservation and seed production. The shape of the egg was circular and sticky. The average size of the eggs was 2.01 mm (n=10). At 185 hours after fertilization, more than 50% of the total embryos were hatched. The newly hatched larvae had an average total length of 8.10 mm (n=5) and had egg yolk in the abdomen. At 3 days after hatching, the larvae absorbed all egg yolk was average total length 8.64 mm. On the 6 days after hatching, the caudal tip of the notochord started to curve upwards was average total length 10.9 mm. At 70 days after hatching, the average total length 37.9 mm. The number of fins was i 8-10 in dorsal fin, iii 7 in the anal fin, and ii 5 in the ventral fin.

한국산 누치속 어류 3종의 세포유전학적 연구 (Cytogenetic Analysis of Three Hemibarbus Species (Cypriniformes) from Korea)

  • 방인철;이윤아;이완옥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59-264
    • /
    • 2008
  • 한국산 누치속(genus Hemibarbus) 어류 3종에 대한 세포유전학적 특성을 구령하기 일해 적혈구 세포 크기, 세포당 DNA 함량 및 염색체 핵형을 분석하였다. 누치 H. labeo, 참마자 H. longirostris 및 어름치 H. mylodon의 적혈구 크기를 비교한 결과, 적혈구 세포 장경, 세포 표면적 및 세포 체적에서 어름치가 다른 2종보다 크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DNA 함량은 적혈구 세포 크기와 다른 경향을 보여 2.33-2.51 범위로 3종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P>0.05). 누치속 어류 3종의 염색체 수는 모두 2n=50개로 나타났으나 핵형에 있어서는 종별로 서로 달라 누치 16M+16SM+18T,A (Fundamental number: NF, 82), 참마자 18M+16SM+16T,A (NF, 84) 그리고 어름치가 18M+24SM+8T,A (NF, 92)로 나타나 3종은 핵형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한국산 참마자, Hemibarbus longirostris(Cypriniformes: Cyprinidae) 자치어의 골격발달 (Osteological Development of Larvae and Juvenile of Hemibarbus longirostris (Cypriniformes: Cyprinidae) from Korea)

  • 문성준;박재민;한경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14-221
    • /
    • 2019
  • 이 연구는 참마자 자치어의 골격발달을 관찰하여 유연종 간의 분류학적 연구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부화 직후 난황자어는 평균전장 8.10±0.02 mm (n=5)로 두개골의 액골과 부설골, 기저후두골이 골화하였고, 부화 후 6일째 중기자어는 평균전장 10.9±0.26 mm (n=5)로 두개골의 설악골, 접속골, 외익상골이 골화였으며, 부화 후 12일째 후기자어는 평균전장 12.2±0.55 mm (n=5)로 새개부의 간새개골, 견대부의 하후쇄골이 골화하였다. 부화 후 25일째 후기자어는 평균전장 16.1±0.27 mm (n=5)로 구개부의 상설골, 간설골이 골화하였고, 미골부에는 2개의 상미축골이 골화하였으며, 신경간극과 혈관간극이 골화하였다. 부화 후 40일째 치어는 평균전장 27.9±3.74 mm (n=5)로 미골부의 하미축골이 3개(1, 2+3, 4+5)의 형태로 융합하면서 모든 부위의 골격발달이 완성되었다.

평화의 댐 어류군집 분석 (Fish Community Analysis in the Peace Dam)

  • 이광열;장영수;최의용;서진원;최재석
    • 생태와환경
    • /
    • 제38권3호통권113호
    • /
    • pp.297-303
    • /
    • 2005
  • 2003년 4월부터 2004년 9월까지 평화의댐의 어류상 및 군집분석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기간동안 출현한 어류는 모두 8과 31종이었다. 채집어종들 중 한국고유종은 줄납자루 (Acheilognathus yamatsutae), 쉬리 (Coreoleuciscus splendidus) 등 13종 (41.94%)으로 나타났다. 우점종은 누치 (Hemibarbus labeo) 14.07%, 갈겨니 (Zacco temmincki) 13.72%, 피라미 (Z. platypus) 11.94%, 참마자(H. longirostris) 9.31%, 쏘가리 (Siniperca scherzeri) 8.10% 등 이었다. 생체량은 누치 (H. labeo) 24,278 g, 쏘가리 (S. scherzeri) 19,487 g, 뱀장어 (A. japonica) 10,400 g, 잉어 (C. carpio) 8,418 g, 붕어 (C. auratus) 4,020 g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어류상 및 어류군집에 따라 북한강수계의 인공호들은 UPGMA에 의해 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졌으며, 평화의 댐은 소양호 및 파로호와 비슷한 군집구조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강원도 홍천 속사천과 계방천의 어류군집, 서식환경 및 생물다양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sh Community, the Habitat and the Species Diversity of the Hongcheon Soksacheon and the Gyebangcheon in Kangwondo)

  • 정규회;심재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00-110
    • /
    • 1997
  • 계방산의 자연생태계에 대한 정밀 조사를 실시하기 위하여 13개 지점에서 1995년 7월부터 1996년 6월까지 서식환경과 4목 1아목 6과 7아과 20종 1,908개체의 담수어류상을 조사하였으며 그 상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채집 장소의 하천형태는 Aa, Ab형의 산간 계류형이고, 하상구조는 자갈, 모래, 바위가 섞인 형태를 보였다. 속사천의 수 환경요인은 평균 pH(7.41), [COND.(0.051), TURB.(10.00), DO(8.66), W.T.(15.4)]이었고, 계방천은 pH(7.44), [COND.(0.097), TURB.(21.59), DO(9.35), W.T.(15.4)]로 담수어류가 서식하기에 적합한 환경으로 판단되었다. 2. 총 20종의 어류중에서 일차담수어는 18종(99.98%), 주연성담수어는 2종(0.02%)이다. 이 중 한국고유종은 금강모치(Moroco kumgangensis), 배가사리(Microphysogobio longidoralis), 새코미꾸리(Cobitis rotundicudata), 미꾸리(Misgurnus anguillicaudatus), 쉬리(Coreoleucosus splendidus), 왕종개(Cobitis longicorpus), 산천어(Oncorhynchus masou ishikawai), 열목어(Brachymystax lenok), 참마자(Hemibarbus longirostris), 미유기(Silurus microdorsalis), 참종개(Cobitis koreensis koreensis) 그리고 어름치(Hemibarbus mylodon) 등 12종이었다. 3. 총 20종의 채집어류 중 금강수계와 계방산에만 서식하고 있는 한국고유종인 금강모치가 46.85%로 우점도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은 27.35%로 갈겨니였다.

  • PDF

미호천의 어류상과 어류군집 동태 (The Ichthyofauna and Dynamics of the Fish Community in Miho Stream, Korea)

  • 손영목;변화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71-278
    • /
    • 2005
  • 2004년 5월부터 2005년 8월까지 미호천에서 어류상과 어류군집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채집된 어류는 총 10과 41종이었으며 이중 한반도 고유종 종은 12종 (29.3%) 이었다. 국외에서 도입된 외래어종은 Carassius cuvieri, Lepomis macrochirus, Micropterus salmoides 3종이었고 개체수 비교풍부도는 0.3% 이었다. 미호천 수계 어류상에서 우점종은 Zacco platypus로서 54.7%의 높은 우점율을 나타내었으며 모든 조사 지점 에서도 우점하였다. 1982년에 비해 종다양도 지수, 균등도 지수, 종풍부도는 낮았고 우점도 지수는 높았으며 Lampetra reissneri, Anguilla japonica, Acheilognathus macropterus, Coreoleuciscus splendidus, Pseudopungtungia nigra, Gobiobotia naktongensis, Lefua costata, Pseudobagrus koreanus, Monopterus albus, Iksookimia choii 등은 본 조사에서 출현하지 않았고 Carassius auratus, Rhodeus uyekii, Rhodeus notatus, Acheilognathus lanceolatus, Pseudogobio esocinus, Hemibarbus longirostris, Microphysogobio yaluensis, Cobitis lutheri, Iksookimia koreensis, Pseudobagrus fulvidraco, Rhinogobius brunneus 등은 급격한 감소 추세를 나타내었다. 증가 추세에 있는 대표적인 종은 Z. platypus, Pseudorasbora parva, Squalidus gracilis majimae 등이었다.

동창천(東倉川)(운문(雲門)댐 예정지)에서의 추(秋).동계(冬季) 어류상(魚類相)에 관하여 (On the Ichthyofauna of the Dongchang Stream (Naktong River) from Fall to Winter)

  • 양홍준;남명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80-86
    • /
    • 1992
  • 동창천의 어류상을 조사한 결과 7과 18속 21종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한국고유종은 Squalidus gracilis majimae, Coreoleuciscus splendidus, Microphysogobio yaluensis, Cobitis longicorpus, Cobitis rotundicaudata, Niwaella multifasciata, Liobagrus mediadiposalis, Coreoperca herzi 그리고 Odontobutis platycephala로서 전체 채집종의 42.9%이었다. 전 지역에 걸쳐서 우점종은 Zacco temmincki(상대풍부도 ; 37.3%)와 Odontobutis platycephala(16.9%)로 나타났으며, 상대풍부도가 1% 이하인 희소종은 Pseudorasbora parva, Hemibarbus longirostris, Acheilognathus limbatus, Microphysogobio yaluensis, Cobitis rotundicaudata, Misgurnus mizolepis 그리고 Anguilla japonica로 나타났다. 납자루아과는 1종만 출현하여 아주 희소하였으며 미꾸리과는 5종이 출현하여 다양하게 나타났다. 조사지역 전체의 종다양성지수는 0.934, 균등성지수는 0.707, 우점도지수는 0.293으로서 안정되어 있었다. 조사유역은 수질이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하천의 어류상을 나타내는 곳이므로 수질오염 및 남획으로부터 어류를 보호하기 위해 어류보호구역으로 설정할 것을 제창한다.

  • PDF

Optimal Dietary Protein and Lipid Levels for Growth of Long-nosed Barbel, Hemibarbus longirostris

  • Kim, Yi-Oh;Hwang, Gyu-Deok;Lee, Sang-Mi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2권4호
    • /
    • pp.311-316
    • /
    • 2009
  • A 10-week feeding trial with four dietary protein levels (22%, 32%, 42% and 52%) and two dietary lipid levels (8% and 17%)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ptimum dietary protein and lipid levels for growth of long-nosed barbel fingerlings. Survival rate of fish was not affected by either the dietary protein or the dietary lipid level.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were affected by the dietary protein level (P<0.01), but not by the lipid level, and increased with the dietary protein level at the both lipid levels.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of fish fed the 52% protein diets with 8-17% dietary lipid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fish fed the 42% protein diets with 8-17% dietary lipids and 32% protein diet with 17% dietary lipid. Daily feed intake of fish was not affected by either dietary protein or dietary lipid level. Protein efficiency ratio and protein retention rate of fish fed the 32% protein diet with 17% dietary lipi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the 52% protein diets with 8-17% dietary lipids. Moisture content of fish fed the diets containing 8% lipid were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the diets containing 17% dietary lipid at each protein level. Crude lipid content of fish fed the diets containing 17% dietary lipid were higher than that of fish the fed the diet containing 8% dietary lipid at each protein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32% protein and 17% lipid could be the optimum dietary level for growth of juvenile long-nosed barbel.

원주천의 어류군집 동태 (Studies on the Dynamics of Fish Community in Wonju Stream)

  • 최준길;변화근;석형근
    • 생태와환경
    • /
    • 제33권3호통권91호
    • /
    • pp.274-281
    • /
    • 2000
  • 1998년 3월부터 1999년 2월까지 원주천에서 어류상과 어류군집 동태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채집된 어류는 총 8과 24종이었으며 이중 한국특산종이 8종으로 전체종의 33.3%를 차지하였다. 원주천 전 조사지점에서 출현한 어종 중 Moroco oxycephalus(30.7%), Zacco platypus(29.6%), Carassius auratus(10%), Pseudogobio esocinus(9.4%), Rhinogobius brunneus(3.6%)가 우점하였다. Hemibarbus longirostris, Pungtungia herzi, Squalidus japonicus coreanus, Zacco temmincki, Cobitis rotundicaudata, Silurus asotus, Silurus microdorsalis 및 Micropterus salmoides 등은 상대풍부도가 0.1% 이하인 희소종 이었다. 각 조사지점별 우점종은 M. oxycephlus (St. 1, 2, 3, 5, 6), Z. platypus(St. 4), C. auratus(St. 7)등 이었다. 군집분석 결과 St. 3이 가장 다양한 상태를 나타내었다. Coreoleuciscus splendidus와 Coreopera herzi는 본 조사에서 출현하지 않았고 Microphysogobio yaluensis, Liobagrus andersoni, Cottus poecilopus, R. brunneus 등은 급격한 감소 추세를 나타내었다. 증가 추세에 있는 대표적인 종은 C. carpio, C. auratus, P. esocinus, M. oxycephalus, Z. platypus 등이다.

  • PDF

한국산 모래무지아과(Cyprinidae) 어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The Taxonomic Study of Gudgeons of the Subfamily Gobioninae(Cyprinidae) in Korea)

  • 김익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436-448
    • /
    • 1984
  • 1972년부터 1983년까지 국내 여러 하천에서 채집된 모래무지아과 어류의 많은 표본을 중심으로 검토 동정하였는 바 모두 16속 28종 및 아종으로 이들의 Synonyms 와 분포를 기록하고 아과와 속의 검삭표를 고안하였다. 그리고 국내에서는 지금까지 거의 알려지지 않은 Abbottina springeri 가 우리나라 남부의 여러 지역에서 출현함을 밝히고, 이들의 형태적 특징을 재기재하였으며, 우리나라 동해 남부 연안에 유입되는 영덕오십천, 형산강 및 회야강에서는 측선린수와 모양, 체즉반문 및 안경등이 Squalidus 속의 기지종과 잘 구별되는 Squalidus sp.가 발견되어 기재하였다. 한편, 어름치의 속명 Gonoproktopterus는 Hemibarbus로 이전시켰다. 한국산 모래무지아과의 속은 여러가지 외부특징의 비교로 5개의 phyletic group 즉 Hemibarbus, Pseudorasbora, Pseudopuntungia, Gnathopogon 및 Pseudogobio group으로 구분하고 그들의 유연관계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한편 Gobiobotia 속은 수염과 두골의 몇가지 형질의 특징으로 보아 돌상어어과 Gobioboitinae로 간주하였으나 Microphysogobio와 Saurogobio 속은 모래무지 아과로 취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