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mibarbus labeo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32초

청계천에서 수량 감소에 따른 어류군집 변화 (Variation of Fish Community by Reduced the Amount of Water in Cheonggye Stream, Korea)

  • 변화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65-171
    • /
    • 2019
  • 청계천에서 수량이 감소한 이후 2018년 4월부터 10월까지 복원된 구간에서 조사하였다. 수량이 감소되기 전인 2011년에 비해 수심이 지점에 따라 1~5 cm 정도 감소하였다. 출현한 어종은 총 5과 21종이었고 고유종은 몰개 Squalidus japonicus coreanus와 참갈겨니 Zacco koreanus 2종이었다. 2018년에 출현하지 않은 종은 각시붕어 Rhodeus uyekii, 줄납자루 Acheilognathus yamatsutae, 가시납지리 Acheilognathus gracilis, 누치 Hemibarbus labeo, 버들매치 Abbottina rivularis, 끄리 Opsari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강준치 Erythroculter erythropterus 등 7종이었다. 수량이 감소한 이후 개체수가 급격히 증가한 어종은 피라미 Zacco platypus였으며 개체수 구성비에 있어 24.9%가 증가하였다. 반면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한 어종은 버들치 Rhynchocypris oxycephalus (12.3% 감소)와 참갈겨니(13.2% 감소)이었다. 각 조사 지점에서 우점종은 납자루 Acheilognathus yamatsutae (St. 4)와 피라미(St. 1, 2, 3)이었다. 민감종의 개체수는 34.0%에서 8.5%로 감소하였고 내성종은 50.2%에서 75.5%로 증가하였으나 중간종은 변화가 없었다. 충식성종의 개체수는 48.1%에서 19.2%로 급격히 감소하였고 잡식성은 51.6%에서 80.7%로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육식성과 초식성은 큰 차이가 없었다. 우점도지수는 0.62에서 0.76으로 증가, 종다양도 지수는 1.80에서 1.33으로 감소, 종균등도 지수는 0.57에서 0.42로 감소, 종풍부도 지수는 3.02에서 2.90으로 감소하였다.

한국산 담수어류(잉어과) 몇종의 핵형과 DNA 상대량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Karyotypes and Comparative DNA Values in Several Korean Cyprinid Fishes)

  • Kang, Yung-Sun;Park, Eun-Ho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7-108
    • /
    • 1973
  • 한국산 담수어류 4종(잉어과)에 대한 염색체 및 DNA 상대량을 조사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어 이들의 세포유전학적 특징을 계통학적인 면에서 고찰하였다. 1) 참마자(Hemibarbus longirostris) 및 누치 (H. labeo)의 염색체수는 2n=50으로써 그중 참마자는 7쌍의 metacentric (A그룹), 14쌍의 submeta와 subtelocentric(B 그룹) 그리고 acro 내지 telocentric 염색체(C그룹) 4쌍으로 구성되며 arm수 (AN)는 92였다. 누치의 핵형은 A, B 및 C 그룹이 각각 9, 11 그리고 5쌍으로써 AN은 90이된다. 2) 버들개(Moroco lagowskii) 및 버들치 (M. oxycephalus)의 염색체수는 역시 2n=50이었으며, 이들의 핵형도 다같이 A그룹이 6쌍, B그룹이 14쌍 그리고 5쌍의 C그룹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AN은 90이었다. 3) 4종의 DNA상대량은 모두 붕어의 약 60%에 해당하였다.

  • PDF

Infection Status with Clonorchis sinensis Metacercariae in Fish from Yangcheon (Stream) in Sancheong-gun, Gyeongsangnam-do, Korea

  • Sohn, Woon-Mok;Na, Byoung-Kuk;Cho, Shin-Hyeong;Ju, Jung-Wo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7권2호
    • /
    • pp.145-152
    • /
    • 2019
  • The infection status with Clonorchis sinensis metacercariae (CsMc) was examined in freshwater fishes from Yangcheon (a branch of Gyeongho-gang), which is located in Sancheong-gun, Gyeongsangnam-do, the Republic of Korea. Total 2,201 fishes in 26 species were examined by the artificial digestion method through 7 years. CsMc were detected in 1,171 (53.2%) fishes in 21 spp. (80.8%) and their density was 85 per fish infected. Total 532 (99.6%) out of 534 Pungtungia herzi (index fish) examined were infected with 147 CsMc per fish infected. Metacercarial densities in this fish were highest in 2015 (179 CsMc), followed by 2012 (168), 2013 (152), 2016 (145), 2014 (114), and 2017 (89) respectively. In the gobioninid fish group, i.e., P. herzi, Sarcocheilichthys spp., Squalidus spp., Pseudogobio esocinus, Hemibarbus longirostris, and Hemibarbus labeo, 841 (92.7%) fishes were infected with 117 CsMc per fish infected. Total 250 (54.7%) acheilognathinid fish (bitterlings), Acheilognathus spp. and Acanthorhodeus spp. were infected with 5.8 CsMc. In the rasborinid fish (chubs) group, i.e., Zacco platypus, Zacco temminckii, and Zacco koreanus, 77 (13.7%) out of 563 fish examined were infected with 2.4 CsMc in average. The susceptibility indices of CsMc were 49.09 in the overall positive fish group, 104.15 in the gobioninid group, 3.17 in the acheilognathinid group and 0.35 in the rasborinid fish group respectively. Only 1 CsMc was detected in 3 fish species, Coreoperca herzi, Channa argus, and Lepomis macrochirus, respectively. Conclusively, it was confirmed that CsMc are moderately prevalent in fishes from Yangcheon in Sancheon-gun, Gyeongsangnam-do, Korea.

수동형 전자발신장치(Passive Integrated Transponder, PIT) 모니터링 기법 적용에 따른 어종별 생존율 평가 및 어도에서 어류이동성 평가 (The Evaluations of Fish Survival Rate and Fish Movements using the Tagging Monitoring Approach of Passive Integrated Transponders (PIT))

  • 최지웅;안광국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8호
    • /
    • pp.1495-1505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urvival rate and fish movement (migration) using a tagging approach of passive integrated transponder (PIT) in Juksan Weir, which was constructed as a four major river restoration projects. For this study, survival rates of each fish species and the mobility of fish individuals were analyzed during 2 weeks by the insertion of PIT tags to various fish species in the laboratory. According to tagging tests in the laboratory, the survival rate 37.5% (30 survivals of 80 individuals) after the insertion of PIT tags. The survival rate of Carassius auratus and Hemibarbus labeo was 100% and 80% after the insertion of the tags, respectively, whereas it was only 13.3% for Zacco platypus. In the field experiments of Juksan Weir, 6 species and 157 individuals from 8 species (563 individuals) were detected in the fixed automatic data-logging system, indicating a detection rate of 27.9% in the fishway of Juksan Weir. In the meantime, some species with no or low detection rates in the fixed automatic data-logging system were turn out to be stagnant-type species, which prefer stagnant or standing water to live.

Analysis of Prey of Mandarin Fish and Large Mouth Bass and Distribution of Fish Population in Lake Paro, Korea

  • Lee, Jaeyong;Lee, Kwang Yeol;Park, Sungchul;Choi, Jaeseok;Jang, Hong Gi;Kim, Joon Chul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10-220
    • /
    • 2015
  • We quantified temporal and spatial changes in the habitat for fish populations, the distribution of mandarin fish(Siniperca scherzeri) and an introduced species, largemouth bass(Micropterus salmoides) in Lake Paro and inflowing streams. The number of fish species identified in Lake Paro and the tributary streams included 10 families, 24 species and 10 families 30 species, respectively. The dominant fish species in Lake Paro were Zacco platypus, Hemibarbus labeo, Squalidus gracilis majimae, S. scherzeri and Tridentiger brevispinis, Z. platypus, Z. koreanus, and S. gracilis majimae in the inflowing streams. Although the habitat segregation for S. scherzeri and M. salmoides occurs, these two species showed the use of the fishes of the family Gobiidae as an important prey item based on IRI analysis. S. scherzeri and M. salmoides preyed mainly on T. brevispinis(67.4 %) and R. brunneus(84.0 %), respectively. The species preyed on by S. scherzeri and M. salmoides were benthic fishes that inhabit shallow water depths around the lake and have little swimming ability.

인공수초섬이 어류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rtificial Vegetation Island on Fish Fauna)

  • 변명섭;박혜경;전남희;최명재;공동수
    • 생태와환경
    • /
    • 제40권1호
    • /
    • pp.103-109
    • /
    • 2007
  • 2005년 6월부터 11월까지 팔당호의 경안천 수역에 설치한 인공수초섬을 대상으로 인공수초섬(AVI)영향권역과 자연수초군락지 (NVA) 그리고 비수초대 (VFA)에서 어류의 분포를 조사하여 인공수초섬이 어류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중 인공수초섬 영향권에서는 11과 23속 24종의 어류가 채집되었고 자연수초군락지에서도 같은 수준인 24종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나 비수초대에서는 6과 11속 12종의 어류만이 채집되었다. 세조사지점 모두 잉어과 어종이 절대 우점하였으며 인공수초섬 영향권역과 자연수초군락지에서는 소형 어종인 S. japonicus coreanus가 극우점하는 현상을 보였다. 반면 비수초대에서는 중대형 회유성 어종인 H. labeo와 E. erythropterus가 개체수를 기준으로 할 때 58%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소형어종은 전혀 채집되지 않았다. 우점도지수는 인공수초섬 영향권역과 자연수초대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다양도지수와 균등도는 비수초대에서 높게 나타났고 종풍부도는 인공수초섬 영향권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한국고유종으로는 A. gracilis, S. variegatus wakiyae, S. japonicus coreanus 및 O. interrupta 등이 채집되었으며 외래어종은 C. cuvieri를 포함하여 생태계교란외래생물종으로 지정된 L. macrochirus와 M. salmoides등이 출현하였다. 본 조사의 결과 인공수초섬이 자연수초군락지와 비슷한 수준으로 어류 산란처 및 서식처로써 역할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낙동강하구의 어류상과 댐의 어도에서 어류의 이동 (The fish Fauna and Migration of the Fishes in the Fish Way of the Nakdong River Mouth Dam)

  • 김구환;금지돈;양홍준
    • 생태와환경
    • /
    • 제34권3호통권95호
    • /
    • pp.251-258
    • /
    • 2001
  • 낙동강 하구의 어류상과 하구둑에 설치한 어도의 어류 이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0년 6월부터 12월까지Dam을 중심으로 상${\cdot}$하류에 서식하는 어류와 어도를 통과하는 어종을 조사하였다. 하구에 Dam을 건설함으로서 기존에 존재하던 기수지역의 생태계가 완전히 사라지고 Dam을 중심으로 담수생태계와 해양생태계가 선상으로 인접하여 추이대가 형성되지 않았다. 조사기간에 해수와 담수의 두 생태계에서 채집된 어종은 모두 10목 29과 45속 49종이었는데 그 중 담수산 어류가 10종. 주연성 어류는 11종, 해산 어류는 28종이었다. 해수와 담수라는 생태계의 차이 때문에 조사지역별로 종 구성이 달랐는데, 명지지역에서 채집된 어류는 9목27과 36속 39종이며 우점종은 A. flavimanus (39.1%)이었고 담수영역인 사상지역은 6목 9과 19속 21종 중에 우점종은 A. macropterus (44.4%)였다. 낙동강 하구 Dam의 어도에 설치해 둔 video camera로 촬영한 어류를 3회에 걸쳐 확인한 결과 C. ectenes, C. carpio, H. labeo, S. gracilis majimae, P. altivelis, L. japonicus, A. japonica, M. cephalus 및 P. nebulosa 등 9종만이 확인되었다. 채집된 개체수를 기준으로 산출한소하성 어류의 이동율은 10.1%이었는데, 이를 근거로할 때 회유어류의 이동을 위해 어도의 설치는 필요하지만, 현재 운영되고 있는 어도의 효율성은 낮았다.

  • PDF

낙동강 본류의 어류상 (Fish Fauna of the Main Channel in the Nakdong River)

  • 조가익;주기재;장민호
    • 생태와환경
    • /
    • 제34권3호통권95호
    • /
    • pp.223-238
    • /
    • 2001
  • 낙동강 본류 및 지천을 중심으로 20개 지점에서 1999년 7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지점별 3${\sim}$7회에 걸쳐 어류상을 조사한 결과 총 17과 48종 4,791개체가 채집되었다. 잉어과 (25종: 상대풍부도 (RA), 91.8%)가 우점하였으며, Zacco platypus (RA: 18.0%)는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아우점종은 Opsariichthys bidens (17.1%),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13.2%), Hemibarbus lab대 (9.9%), Z. temmincki (8.2%) 순으로 나타났다. 채집된 종중 한국고유종은 모두 12종으로 나타났다(4과, 1,172개체 , 24.5%). 외래도입종은 Carassius cuvieri (25개체), Micropterus salmoides (214개 체), Lepomis macrochirus (14개 체), Oreochromis niloticus (6개체) 등 4종이 채집되었다. M. salmoides는 낙동강의 중류와 하류부에 고루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괴분석 결과 세집단으로 나뉘었으며, St. 10(구미)부터 하류집단에 포함되었다. 1990년대 후반 낙동강에 유입된 M. salmoides는 하류부에서 급격히 그 수가 증가하였다(하류 RA 8.8%). M. salmoides의 섭식은 Daphnia sp.가 일반적이었으며 (<100 mm), Cladocera (< 150 mm)와 Insecta (< 200 mm)는 특별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강하구 생물자원 및 서식처 특성에 관한 연구 -신곡수중보 하류 한강하구의 어류상- (A Study on Fish Fauna and Fish Habitat -Downstream of Singok Submergerd Weir in Han River Estuary-)

  • 문병렬;전숙례;현문식;황종서;최준길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5호
    • /
    • pp.757-764
    • /
    • 2011
  • This study is performed to clarify the fish fauna and fish habitat of downstream of Singok submerged weir within Han River estuary during April ~ December 2009. It was studied at the nine sites of Han River estuary area. The three of them were located in the mainstream of Han River and six of them were located in three wetlands which as Sannam, Janghang and Dolbangguji. Total fish fauna was identified as 9 order 15 family and 38 species (2,230 individuals). It was divided as 8 order 11 family 28 species from three sites in the mainstream of Han River and as 5 order 8 family 19 species in waterways at mud flats of three wetlands. It was made up the fish fauna as 3 order 4 family 12 species during the survey period at the waterways in the rice paddies. Hemibarbus labeo was dominant species in the whole research sites and waterways at mud flats. Carassius auratus was dominant species in the waterways between rice paddies and Chelon haematocheilus was dominant species in mainstream of Han River estuary.

Infection Status of Freshwater Fish with Metacercariae of Clonorchis sinensis in Korea

  • Kim, Eun-Min;Kim, Jae-Lip;Choi, Sung-Yil;Kim, Jae-Whan;Kim, Si-Won;Choi, Min-Ho;Bae, Young-Mee;Lee, Soon-Hyung;Hong, Sung-Tae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6권4호
    • /
    • pp.247-251
    • /
    • 2008
  • This study investigated freshwater fish for their current infection status with metacercariae of Clonorchis sinensis in Korea. Twenty-one species of freshwater fish (n = 677) were collected from 34 regions nationwidely from February 2007 to June 2008. They were individually examined by digestion technique. Eight species of freshwater fish from 17 different regions were recognized positive for the metacercariae of C. sinensis. The positive rates (range of metacercariae number per fish) of fish by the species were as follows: 48% (1-1,142) in Pseudorasbora parva, 60% (1-412) in Pungtungia herzi, 15.7% (1-23) in Pseudogobio esocinus, 29% (1-7) in Acheilognathus intermedia, 21% (1-4) in Odontobutis interrupta, 33% (1-6) in Zacco temmincki, 3.6% (1-4) in Zacco platypus, and 26.3% (1) in Hemibarbus labeo. The two species, P. parva and P. herzi, are able to be the index fish for estimation of C. sinensis transmission in a certain locality. Still several species of freshwater fish are briskly transmitting C. sinensis infection in many riverside areas of souther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