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matologic tests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8초

Safety of red ginseng and herb extract complex (RHC) in menopausal women: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 Hyun, Sun Hee;Han, Chang-Kyun;So, Seung-Ho;Park, Soo Kyung;Park, Chae-Kyu;In, Gyo;Lee, Ji You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6권4호
    • /
    • pp.601-608
    • /
    • 2022
  • Background: Various treatments are used to relieve menopausal symptoms for women. However, herbal substances are frequently used as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as other treatments can increase ovarian and breast cancer risk. While the herbal substances' therapeutic effect is essential, the safety of their use is considered more important.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safety of red ginseng and herb extract complex (RHC), which are used to relieve menopausal symptoms. Methods: This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clinical study recruited and divided 120 women experiencing menopausal symptoms into the RHC and placebo groups (60 women per group). Subjects were administered with 2 g RHC or placebo daily for 12 wk. Adverse reactions, female hormonal changes, and uterine thickness were observed and recorded on wk 0, 6, and 12. Hematologic and blood chemistry tests were also conducted. Results: The reactions of the subjects who received RHC or placebo at least once were analyzed. A total of six adverse reactions occurred in the RHC group, while nine occurred in the placebo group; common reactions observed in both groups were genital, subcutaneous tissue, and vascular disorder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dministration groups (p = 0.5695), and no severe adverse reactions occurred in both groups.

가와사끼병에서 발병 6주째에 시행하는 추적검사의 임상적 유용성에 관한 고찰 (Clinical significance of follow-up laboratory tests, performed at 6 weeks after the onset of Kawasaki disease)

  • 오일지;문경희;홍명은;김연순;이창우;윤향석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6호
    • /
    • pp.672-676
    • /
    • 2006
  • 목 적 : 가와사끼병에서 급성기 항염치료 후 회복기에 항혈전 요법으로 저용량 아스피린을 사용한다. 대개 6-8주간 투여하고 종료 시기에 혈소판 치를 포함한 각종 혈액검사와 관상동맥 이상 유무를 알기 위한 심초음파 검사를 시행하기도 한다. 발병 6주째에 시행하는 각종 추적검사가 임상적으로 얼마나 유용한지 알아보고자 본 조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7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만 8년간 원광대학교병원 소아과에 입원하여 가와사끼병으로 치료받았던 28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입원 당시와 6주째에 백혈구수와 혈소판수, ASO, ESR, CRP, AST, ALT, 소변검사, 심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다. 6주째에 혈소판이 증가했던 군과 대조군을 각종 검사 척도로 비교하였고, 나이와 성별, 재치료 여부, 발열-입원 기간, 치료-해열 기간, 관상동맥 이상 등이 6주째의 혈소판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통계적 비교는 paired t-test와 Fisher's exact test, logistic 회귀분석으로 하였다. 결 과 : 입원 시에 증가를 보였던 ESR과 CRP는 6주째 시행한 검사상 각각 35명(12.4%), 12명(4.3%)을 제외하고 정상화되었고, 무균성 농뇨는 전례에서 모두 정상화되었다. 혈소판 증가는 36명(12.8%), 백혈구 이상 15명(5.3%), 관상동맥 이상 6명(2.1%), AST 상승 22명(7.8%), ALT 상승 3명(1.1%), AST/ALT 동시 상승은 3명(1.1%)에서 관찰되었다. 관상동맥 이상은 발병 초기에 이상을 보였던 경우에서만 관찰되었다. 6주째의 혈소판 증가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성별과 재치료, 입원 시의 백혈구 이상, 농뇨, AST/ALT의 동시상승, 관상동맥 이상 빈도의 비교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6주째의 혈소판 증가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는 어린 나이와 발병초기의 혈소판 증가증이었다. 발열-입원 기간과 치료-해열 기간, 입원 시의 ESR, CRP, AST, ALT치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입원 시와 6주째의 혈소판 증가는 관상동맥 이상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결 론 : 가와사끼병에서 6주째에 시행하는 각종 추적검사에서 소변 검사는 생략해도 될 것으로 보이며, 심초음파 검사는 발병 초기에 이상이 있었던 군에서만 선택적으로 시행해도 될 가능성을 시사했지만 이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혈소판 수는 계속적인 항혈전 치료와 관련이 있으므로 6주째의 검사가 필요하나, 백혈구수와 AST, ALT, ESR, CRP 검사의 임상적 의의는 크지 않다고 판단된다.

농촌 및 대도시의 노인건강진단에 있어서의 검사치 비교 고찰 (Comparative Health Status of Rural Urban and Aged Perosons by Some Screening Tests)

  • 한인수;홍광선;박선주;임한종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14권1호
    • /
    • pp.5-15
    • /
    • 1989
  • To compare the health status of rural and urban aged persons(over 65 years old) by an abnormality of a hematologic and some biochemical values as well as urinalysis and chest X-ray, following examinations were done on 8,756(male : 4,339: female 4,417) by hemoglobin, total cholesteol, GOT, and glucose, on 9,207(male: 4,467; female : 4.740) by urinalysis and on 9,148(male : 4,426: female : 4,722) by chest X-ra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proportion of outlier of normal range of the GOT(over 40 unit) showed higher in rural aged persons(5.3%) than in urban aged(2.8%).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of urban and rual female, but the rural male(7.4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urban male(3.9% ). 2) The proportion of abnormality of the total cholesterol value(over 260 mg/dl) was 7,0% in urban and 1.7% in rural aged persons. In the ma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urban(2.2%) and rural(1.4%), however the urban female(10.5%)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rural female(2.2%). 3) In the blood glucose level, the proportion of abnormality(over 120 mg/dl) showed 17.1% in urban and 19.3% in rural aged persons. The rural aged persons in both sexes(male : 18.1% : female : 20.7%) were relatively higher abnormality rates than those of the urban aged(male : 15. 3%: female : 18.4% ) respectively. 4) The proportion of abnormality of hemoglobin level(less than 12.0 g/dl in male: less than 11.0 g/dl in female) showed 7.1% in urban and 2.6%J in rural aged persons. The urban aged persons in both sexes(male : 8.3%: female 6.3%) were relatively higher abnormality rates than those of the rural aged(male : 3.0%: female : 2.2%) 5) In the urinalysis by urine stix(Korea Green Cross Co.), the positive rates of urine protein were 1.0% in urban and 0.5% in rural aged per-sons, and there was no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areas by sex. 6) The positive rates of urine glucose in urban aged persons(5.8'% : male : 7.3% : female : 4.7%). showed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of rural aged (3.4% : male : 3.9%: female : 2.8%). 7) The positive findings of pulmonary tuberculosis by indirect X-ray examination were observed in 7.7% of aged persons in both rural and urban areas respectively. However, the positive rates of male in both areas(urban : 12.8% ; rural : 10.0%) showed higher than those of female (urban 4.2% ; rural 5.0%).

  • PDF

일부 대학생들의 타우린 섭취가 생화학적 및 혈액학적 검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aurine Intake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Serum Biochemistry and Blood Hematology)

  • 최우순;이재식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36-244
    • /
    • 2018
  • 타우린은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고 간 기능 개선 및 당뇨병 및 혈소판 기능을 향상시키는 여러 작용을 보고하고 있다. 하지만, 타우린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우리나라에서 연구된 결과가 많지 않다. 이에 기본 용량을 복용 후 혈당질환과 간질환, 지질 질환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타우린 복용군 15명과 대조군 15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타우린은 기본 용량인 1,000 mg을 식후에 2주 동안 복용 후 변화를 확인하였다. 대상자 모두 기숙사에서 제공하는 식사 외에 약이나 기타 음식을 절제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타우린 복용군에서 간 기능 검사인 GGT는 섭취 전 $23.53{\pm}25.73IU/L$, 섭취 후 $15.15{\pm}4.91IU/L$로 감소하였다(P=0.186). 지질 대사인 TG는 섭취 전 $100.4{\pm}28.33mg/dL$, 섭취 후 $80.22{\pm}17.08mg/dL$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05). T-cho, LDL-C이 감소를 보였고, HDL-C이 약간 증가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간 기능과 지질대사 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액학적 검사에서는 segmented neutrophil 백분율이 감소하고, lymphocyte 백분율이 증가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면역학적 기능과 관계가 있으리라 사료된다.

홍화약침(紅花藥鍼)의 퇴행성(退行性) 슬관절염(膝關節炎)에 대한 임상적 연구(硏究) (Clinical Study on Effect of Carthmi-Flos Herbal acupuncture therapy on Osteoarthritis in Knee Joint)

  • 허태영;윤민영;조은희;이옥자;김경식;조남근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19권2호
    • /
    • pp.189-200
    • /
    • 2002
  • Objective : This study is design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Carthmi-Flos herbal acupuncture theraphy on knee joint with osteoarthritis. Methods : 32 cases of diagnostic patient with the osteoarthritis of knee joints by biochemical method, X-ray analysis and hematologic & serologic tests are divided Carthmi-Flos herbal acupuncture theraphy Group(HAG, 16 peples) and non-Carthmi-Flos herbal acupuncture theraphy Group(NHAG, 16 peoples) at Ik-San Oriental medical hospital in wonkwang university from 1th June 2000 to 31th January 2002. After treatment, we evaluated the effect per each group . Results : 1. In the both HAG and NHAG females were much more than males. Sixty aged patients were the most in the HAG(56.3%) and Seventy aged patients were the most in the NHAG(68.8%). 2. Over 5 years duration of disease in HAG was the most(37.5%). 6 months and over 5 years duration of disease in NHAG was the most(each 31.3%). 3. Two groups were not improved chronic stage(over 5 years). 4. The effect of treatment by condition of patients was follows: After treatment, Grade IV & III were decreased 75.0% in HAG and 56.2% in NHAG 5. In the distribution of treatment progression : 15 cases(93.7%) were recoverd in HAG but 14 cases(87.5%) in NHAG. 6. After comparing the results before and after treatment, we found 93.3% of patients showed recovery at anterior area and 88.9% showed at posterior. Conclusion : These results shows that Carthmi-Flos(CF) herbal acupuncture treatment has good effect on osteoarthritis in knee joint. Futhermore it is possible that CF acupuncture is one of the promising candidates for long-term therapy of osteoarthritis.

  • PDF

입원 초기 지표를 통한 호스피스 환자의 퇴원 형태 예측 (Prediction of Patient Discharge Status Based on Indicators on Admission)

  • 정성인;이승훈;김윤진;이상엽;이정규;이유현;조영혜;탁영진;황혜림;박은주;김경미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1권3호
    • /
    • pp.75-83
    • /
    • 2018
  • 목적: 호스피스 완화의료에서 환자의 기대 여명 예측뿐 아니라 퇴원형태를 예측하여 적절한 치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입원 초기 환자의 퇴원 형태 예측에 유의한 요소들을 알아보고 효율적인 완화의료의 방향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2016년 4월 1일부터 2017년 12월 31일까지 P병원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말기암환자 568명 중 37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입원 시 사정한 환자의 수행 지수, 증상 및 징후, 사회 경제적 상태와 혈액검사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과: 입원 당시 높은 수행지수, 양호한 증상 및 징후, 정상에 가까운 혈액검사 수치를 보일 때 생존 퇴원할 가능성이 높았다. 결론: 환자의 퇴원형태 예측에 ECOG, KPS, Global health, Mental status와 같은 수행지수, dyspnea, anorexia, dysphagia, fatigue와 같은 증상 및 징후, CBC, LFT, BUN, CRP 혈액검사 수치가 유의한 지표임을 확인하였다.

아급성흡입독성시험을 이용한 3-Methylpentane의 GHS 분류·표시 (A Study on GHS Classification of 3-Methylpentane by Subacute Inhalation Toxicity)

  • 정용현;한정희;신서호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17
    • /
    • 2017
  • 본 연구는 3-methylpentane에 대한 흡입유해성을 평가하여 국제연합에서 정하는 화학물질의 분류 및 표지에 관한 세계조화시스템(Globally harmonized system, GHS)지침 및 고용노동부고시 제2013-37호에 따른 3-methylpentane의 화학물질 분류 표시 자료를 생산하기 위하여 OECD 화학물질 시험가이드라인 아급성흡입독성시험 TG 412(Subacute inhalation toxicity) 시험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6주령의 랫드(Rat)를 도입하여 1주간 순화시킨 후 암수 각각 대조군 5마리, 저농도군(284 ppm) 5마리, 중농도군(1,135 ppm) 5마리, 고농도군(4,540 ppm) 5마리 등으로 군을 구성하여 일일 6시간, 주 5일, 4주 동안 시험물질을 랫드에 전신으로 노출시켰다. 시험물질 노출을 종료하고 2주 후 시험동물을 희생하여 시험물질에 의한 시험동물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사료섭취량 변화, 체중 변화, 임상관찰, 혈액검사, 부검 소견, 장기무게 측정, 조직병리검사 등 모든 시험결과에서 시험물질에 의한 영향은 나타나지 않아 3-methylpentane의 무유해영향농도는 암수 모두 4,540 ppm이상으로 판단되어 세계조화시스템(GHS) 지침 및 고용노동부고시 제2013-37호(화학물질의 분류 표시 및 물질안전보건에 관한 기준)의 특정표적장기독성(반복노출) 구분 표시 물질에 해당하지 않은 물질로 판단되었다.

소아 만성 기침의 원인 질환과 컬러 도플러 초음파 검사의 진단적 유용성 (The Etiologic Diseases and Diagnostic Usefulness of Color Doppler Ultrasonography in Children with Chronic Coughs)

  • 박선영;이준성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4호
    • /
    • pp.489-497
    • /
    • 2002
  • 목 적 : 만성 기침을 주소로 내원한 환아들을 전향적으로 조사하여 그 원인 질환의 종류와 빈도를 알아보고 이에 대한 적절한 진단적 접근 방법과 관리 지침을 설정하는데 도움을 얻고자 한다. 방 법 : 2000년 8월부터 2001년 7월까지 일년 동안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소아과 만성 기침 클리닉에 3주 이상 지속적인 기침을 호소하여 내원하였던 132명의 환아를 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원인 질환의 규명을 위해서 설문지를 통한 자세한 병력 청취, 이학적 진찰과 함께 흉부와 부비동의 방사선 촬영을 하였고, 혈액학적 및 면역학적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필요한 경우 알레르기 피부 검사와 메타콜린 유발 검사를 시행하였다. 위식도역류증을 진단하기 위해 24시간 식도 pH를 측정하였으며, 이와 함께 위식도역류증의 진단방법으로서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컬러 도플러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의 성별은 남 : 녀가 1.1 : 1였으며 연령 분포는 영아기 9명, 유아기 82명, 학령기 38명, 청소년기가 3명이었다. 만성 기침을 유발하는 가장 흔한 원인으로는 기관지 천식이 40례로서 가장 많았고, 만성 부비동염이 22례, 위식도역류증이 7례, 그리고 천식과 부비동염을 동반한 경우가 28례, 천식과 위식도역류증을 동반한 경우도 14례가 있었다. 그 외 심인성 기침, 후두 연화증, 호흡기 이물, 만성 기관지염, 선택적 IgA 결핍증 등이 일부 원인 질환이었고 원인을 알 수 없었던 경우도 5례 있었다. 기관지 천식과 다른 원인 질환들간의 면역 글로불린, 림프구아형(lymphocyte subset)을 측정 비교한 바, 기관지 천식으로 진단 받은 환아들에서 만 IgE가 유의하게(P<0.01) 증가되었다. 메타콜린 유발 검사를 시행한 대상 환아들에게서 양성 반응을 보인 평균 메타콜린 양은 8.06 mg/mL로서 대부분 경도의 기도 과민성을 보여 기침이형천식임을 시사하고 있었다. 24시간 식도 pH 측정과 컬러 도플러 검사를 함께 시행하였던 51례에서 24시간 식도 pH 측정과 비교한 컬러 도플러 초음파 검사의 민감도는 88%, 특이도는 69%였으며, 양성 예견치는 85%, 음성 예견치는 73%의 결과를 보였다. 결 론 : 만성 기침의 원인 질환으로는 빈도상 기관지 천식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부비동염, 위식도역류증의 순이었다. 단독 질환에 의한 경우가 많았으나 두가지 이상 복합 질환에 의한 경우도 많아, 원인 질환을 규명할 때는 이를 염두에 두어야 되겠다. 또한 위식도 역류증 선별 검사법으로 외래에서 간단하게 실시 할 수 있는 컬러 도플러 검사가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