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lplessness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23초

결혼 이주 여성의 가정폭력 대처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접근 (Process of Coping with Domestic Violence of Marriage Immigrant Women)

  • 고기숙;정미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254-279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폭력 피해 이주 여성들의 대처과정에 관한 실체이론(Substantive theory)을 개발하여, 그들이 폭력에서 벗어나 자립할 있는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문제는 '가정폭력에 대한 결혼이주여성의 대처하는 과정은 어떠한가?' 이다. 본 연구는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가정폭력을 경험한 11명의 결혼 이주여성들이 참여하였다. 패러다임 모형 분석 결과, 중심현상은 '심신의 황폐화'로 나타났고, 인과조건은 '고통의 수레바퀴', '속수무책 당하는 폭력'으로 나타났다. 또한 맥락적 조건은 '외로운 성장기', '부조리한 결혼', '냉담한 현실'로 나타났다. 중심현상 '심신의 황폐화'는 중재조건의 영향을 받으면서 작용/상호작용을 하는데, 이때 중재조건은 '사회적 도움', '문화차이', '무력감'이었으며, 작용/상호작용은 '순응하기', '저항하기', '자기보호', '자기강화' 등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현실유지하기', '결단하기', '새로운 삶 시작하기'가 도출되었다. 핵심범주로는 '심신의 황폐화를 딛고 다시 일어서기'를 상정하였다. 참여자들의 가정폭력 대처과정은 충격의 단계 ${\rightarrow}$ 인고의 단계 ${\rightarrow}$ 회한의 단계 ${\rightarrow}$ 재기의 단계이며, 참여자들의 대처유형은 "현실지탱형","회귀형","미래모색형" 등 세 가지로 구분되었다.

자살 충동 예방을 위한 음악치료적 접근 (Music Therapy Interventions for Prevention of Suicidal Ideation)

  • 이인용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3권2호
    • /
    • pp.45-58
    • /
    • 2006
  • 근래 자살예방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면서 이에 대한 실질적인 전략들이 많이 개발되었다. 특히 서구에서는 지역사회 정신건강 기관에서 자살예방을 위한 치료 프로그램이 특성화되어 운영되는 것은 물론, 대학 및 병원과 연계하여 자살 충동의 원인이 되는 다양한 정신 병리적 혹은 사회 심리적인 원인들을 규명하고 이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치료가 자살의 중요한 요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하여 자살예방을 위한 음악치료적인 접근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접근방법으로는 노래심리치료(Song Psychotherapy), MI(Music Imagery), 역할악기즉흥연주(Role Play Instrumental Improvisation)심리치료를 주요방법으로 구성한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제공되었다. 연구대상은 우울을 동반한 정신적 외상상태로 자살을 시도했던 30대 여성이었으며 치료기간은 주 1회 90~120분의 7회의 세션이 실시되었다. 음악치료 전개에 따라 우울척도와 자살생각척도를 통해 변화를 양적 질적으로 연구 방법들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내담자는 음악심리치료를 통해 안정감과 편안함을 느끼고 방어나 저항 없이 자신의 감정의 생각, 그리고 내면의 세계를 탐구할 수 있었다. 이 경험들을 통하여 내담자는 자아개념과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게 되고 부정적인 정서가 긍정적인 정서로 바뀌게 됨에 따라 우울감이 감소되었다. 또한 자살에 대한 생각보다는 현재 삶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행동으로 옮기게 되었다. 특히 역할악기 즉흥연주 과정의 음악은 기분의 변화, 타인과의 관계변화, 태도의 변화 등 다양한 영역변화를 가져오는 주체로서 '치료' 그 자체로 사용되어졌다. 그리고 음악은 해결되지 않은 정신적 외상상태에 있었던 내담자의 심리적 위축과 긴장감, 무기력한 에너지 등을 표출시키고 본능과 감정을 그대로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더 나아가 '거짓자아'와 분리되어 '참 자아'와의 통합을 이루어가도록 도움을 주었다. 결과적으로 음악심리치료는 우울을 감소시키고 자살충동 예방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MMPI-2-RF로 살펴본 불안장애, 우울장애, 불안장애와 우울장애 공병 환자군의 임상적 특성 (Comparison of Clinical Characteristics among Anxiety Disorder, Depressive Disorder, and Co-morbid of Anxiety Disorder and Depressive Disorder with MMPI-2-RF)

  • 이주연;최준호;김은경
    • 정신신체의학
    • /
    • 제28권1호
    • /
    • pp.1-7
    • /
    • 2020
  • 연구목적 본 연구는 불안장애, 우울장애, 불안장애와 우울장애를 공병으로 지닌 환자군의 심리적 특성을 탐색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 법 2017년 1월부터 2019년 5월까지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정신건강의학과에 내원 및 입원하여 심리평가를 진행한 환자들 중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혹은 임상심리사에 의해 DSM-5에 근거하여 불안장애, 우울장애, 불안장애와 우울장애를 공병으로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참가자들이 실시한 MMPI-2를 연구자들이 RF로 변환한 뒤 SPSS를 활용하여 집단 간 차이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결 과 MMPI-2-RF의 결과 EID, RC2, HLP, SAV, INTR-r가 공병 집단에서 가장 높았다. 또한 BXD, RC4, JCP, AGGR-r가 우울 집단에서 가장 높았다. 결 론 공병 집단은 단일 집단에 비하여 낮은 긍정 정서와 무력감 등과 같은 우울 증상, 사회적 회피 및 불편감과 같은 내면화 증상이 더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울 집단은 불안 집단과 공병 집단에 비해 분노감과 공격성과 같은 외현화 증상이 더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지구와 달의 운동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생각 (High School Student Conception on the Motion of the Earth and Moon)

  • 변재성;문병찬;정진우;정재구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519-531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 수준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지구와 달의 운동에 대한 생각을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경기도 수원시에 소재한 일반계 고등학교 10학년 학생 73명을 선정하여, 인지 사고 수준이 상, 중, 하인 학생 5명을 표집, 질적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연구 결과, 학생의 인지 수준이 높을수록 지구와 달의 공전과 자전에 대한 개념이 비교적 논리적이고 과학적으로 정립되어 있었다. 인지 수준이 중간인 학생의 경우, 보편적으로 수업 시간에 학습한 내용을 비판 없이 무조건 수용하고 암기하려는 수동적인 학습 태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파지된 개념이 확장되지 못하고 쉽게 망각되었다. 또한, 지구와 달의 운동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유년적 개념 및 직관과 오인이 나타났으며 논리적 오류를 범하는 경우도 있었다. 특히 달의 위상 및 계절 변화의 원인에 대한 설명에서 학생들의 오개념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 수준이 낮은 학생들은 대체로 과학을 비롯한 학업 성취도가 낮음을 이유로 의욕적인 논리적 사고를 하려고 하지 않았으며, 개념을 인지하고자 하는 태도에서도 소극적이었고, 수동적인 ‘학습된 무기력’이 나타났다.

뇌졸중환자의 희망 (The Hope of the Stroke Patients)

  • 김이순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12-227
    • /
    • 1997
  • Cerebrovascular diseases in Korea is an important health problem since mortality and mobidity have been increased rapidly. It marked the 2nd cause of specific death rates in 1993. The stroke causes physical function disorder due to hemiparalysis and emotional disorder, and stroke patients experience helplessness, powerlessness. sense of alienation and loss of hope. These feelings make the rehabilitation difficult because they lose the will of lif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even citizens who live in Pusan, are over 50 years old and belong to low income-level.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an. to Sep. 1995. The researcher as a caregiver and volunteer made confidence of them and asked for their agreement on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subjects expressed their experience as openheartedly as possible.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made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analytic method suggested by Giorgi, which is as follows ; as an unit of description which include the subject' expressions and the researcher's observation, it is examined the theme that express the hope experience with the subject's language(underlining), and the focal meanings are identified. The focal meaning is the crystalization of the theme, which is written in the language of the researcher. After intergrating the focal meaning and make the situated structural description as the meaning of the hope experience identified on each subject's point. After intergrating the situated structural description and make the general structural description as the meaning of the hope experience identified on total subject's point then the systemizing of the structure of the hope experienced phenomena and the flowing of the conciousness was researche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 The ten sources of hope which the subjects experienced were sorted as under 〈mutual relations to others : spouse, children, relatives, fellow believer. health professioner. associate patient group〉, 〈spiritual dependence〉. 〈recovery of physical function〉. 〈rumination of the past life〉, 〈expectation of the future〉. 〈economic power〉, 〈belief〉, 〈ability〉. 〈spontaneous participation〉 and 〈recovery of roles〉. Their hope was spoken out by the following two kinds of linguistics. First. the hope was expressed in the affirmative expression as follows : 〈 to be dependable〉, 〈to make efforts〉, 〈to keep under control〉, 〈to desire〉, 〈to be pleasant〉, 〈to be peaceful〉, 〈to be grateful〉, 〈to give help〉, 〈self-confidence. Courage〉, 〈to be happy〉, 〈to satisfy oneself〉, 〈to share with others〉, 〈to understand〉 and 〈to be affected, be impressed〉 Second, the hope was expressed in the negative on pression as under : 〈to be distressed〉, 〈to be uneasy〉, 〈to be sorry, be unsatisfied〉 〈despair〉, 〈to abandon〉, 〈to be fearful〉, 〈to suffer〉, 〈to bear a burden〉 〈to be confused〉, 〈to be solitary〉, 〈chest trouble〉, 〈to feel heavy〉 〈grief〉, 〈to be daunted〉, 〈to get angry〉, 〈to be uncomfortable〉, 〈to have something regretable〉 and 〈to feel guilty〉. And their hope was expressed by the following four behavioral expressions : 〈physical sphere〉, 〈psychological sphere〉, 〈social support sphere〉 and 〈spiritual sphere〉. The reaction patterns of their hope experience appeared in the following 4 coping method : 〈conquest type〉, 〈dependence type〉, 〈adaptation type〉 and 〈fate type〉. Finally, in the hope structure the sense of certainty don't always coexict with the sense of uncertainty, When the stroke patients try to search for the best quality of life, the senses of certainty and uncertainty make a continual cyclic system in the hope structure.

  • PDF

장애아동 양육을 위한 어머니의 정보요구에 관한 연구 (Information Needs Expressed by Mo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 정귀옥;이종렬;박천만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95-213
    • /
    • 2005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fostering stress and mental health state that mothers of handicapped children perceive as primary care givers and to analyze their demand for information assistance in order to release their stress so that it can provide materials that contribute to establishment of assistance system for families with handicapped children. Methods: The research subjects were 340 mothers whose children went to a nursery for special children, 3 general nurseries and 6 special schools in Daegu, and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s questionnaires. The survey analyzed mothers' fostering stress, their demand for fostering information assistance, children's daily activity abilities. Component concepts of each scale was validated by adopt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factors affecting demand for fostering information assistance were analyzed by adopting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Results: Younger mothers tend to have higher demand for information, and mothers with younger children or children with double handicaps also have higher demand. Mothers under 30 have the lowest demand for public health and medical care assistance and for home and community life assistance, while mothers with children with physical handicaps have the highest. The validity of component concepts was verified by categorizing as cognitive structure models fostering stress, information demand, children's daily activity abilities, and their appropriateness was evaluat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And then, GFI (more than 0.9), CFI (more than 0.9), TLI (more than 0.9) and RMSAE (less than 0.08) were used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It was found that all the component concepts are valid, as every item is within appropriate range. The result of analyzing information demand demonstrated that children's handicap levels significantly affect their mothers' mental health, while fostering stress significantly affect mothers' metal health, information demand. As well, it was confirmed that mothers' mental health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nformation demand. Conclusions: Therefore, to reduce special children's mothers' uncertainty, helplessness and fostering burden,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m with information on children's challenges, development and fostering and to offer them quality public health, medical care and welfare assistance along with family and local community life assistance.

마약성 진통제 사용과 부신기능부전 (Opioids Use and Adrenal Insufficiency)

  • 정지훈;최윤선;김정은;김이연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7권3호
    • /
    • pp.113-121
    • /
    • 2014
  • 치료 불가능한 암환자들은 전신적 쇠약 이외에 피로와 에너지 상실, 무력감, 식욕부진 및 통증 등이 주요 증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증상들은 부신기능부전으로 인한 증상들과 매우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부신기능부전으로 인한 증상들은 가벼운 증상부터 생명을 위협하는 증상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부신기능부전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나타난다. 완화의료병동에 입원 중인 말기암환자들 중 중등도 이상의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들은 마약성 진통제를 사용하여 통증 조절을 받고 있는데, 이러한 마약성 진통제의 사용은 부신기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물 및 비암성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 대상으로 여러 연구들이 시행되었으며 대부분의 연구에서 마약성 진통제로 인해 부신기능의 저하가 나타났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아직 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마약성 진통제로 인한 부신기능의 저하에 대한 연구 결과는 드물다. 마약성 진통제로 통증 조절을 받고 있는 완화의료병동에 입원한 말기암환자들의 부신기능을 측정함으로써 마약성 진통제의 종류, 사용기간 및 용량과 부신기능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대증치료 및 호르몬 보충 요법은 환자들의 예후 및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내적모형과 대응자원을 이용한 만성관절염 환자의 적극적 대응전략모형 (Active Coping Strategy Model for Chronic Arthritis : Appling Internal Model of World and Coping Resource)

  • 문미숙;임난영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00-135
    • /
    • 1999
  • Typical symptoms of rheumatic disease affect overall daily living and cause severe stress. Individuals afflicted with rheumatic disease have many illness-related stresses. Pain was the predominantly perceived stress followed by limitation in mobility, difficulties in carrying out activities of daily living. helplessness, dependency on others, threat to self-esteem, interference in social activity, interference in family relationships. difficulties performing at work, and discomfort of the treatment. Patients with chronic arthritis are subjected to long periods of continuous stress, which may require the management by the health care provider. In these cases, the purpose of the nursing is helping to promote health through supporting patient's coping. Therefore, for the nursing intervention to be effective, it is critical to build a theoretical framework that describes stress-coping for chronic arthritis. Thus,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present a theoretical framework which describes the stress-coping processes and to empirically test pathos of this framework for the people with chronic arthritis. The foundation upon which this framework is built in the Erickson, Tomlin, and Swain(1983) theory of Modeling and role-Modeling. The subjects were 275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or osteoarthritis who visited the outpatient clinic. A hypothetical model of stress-coping was tested by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ith PC-LISREL 8.12 program. As a result, the overall fit was good(Chi-square=94.49, P=0.00, RMR=0.067, GFI=0.95, AGFI=0.91, NNFI=0.93, NFI=0.91) for the hypothetical model.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were as follows : Basic need satisfac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illness-related experience, emotional stress and coping resources.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coping resources. However, independent variables(basic need satisfaction,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illness-related experience, emotional stress and coping resource) did not have significantly influence on coping. And then, the hypothetical model was modified by considering both the theoretical implication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parameter estimates. The revised model had a better fit to the data(Chi-square=83.11(P=0.00), RMR=0.061, GFI=0.96, AGFI=0.92, NNFI=0.95, NFI=0.92). Hypothesis emerged from the revised model was tested.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were as follows : Basic need satisfac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illness-related experience, emotional stress and coping resources.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illness-related experience and coping resources.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illness-related experience, emotional stress and coping resources had a significantly influence on cop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dissertation, basic need satisfaction and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play a central role in appraisal of illness-related experience and coping resources. And illness related-experience, emotional stress, and coping resources affect on coping activities. In summary, nursing interventions to enhance basic need satisfaction and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will decrease illness related experience and emotional stress and increase coping resources. Increased coping resources will prompt coping activities.

  • PDF

군복무 적합성 평가를 위해 정신건강의학과에 내원한 환자군의 MMPI-2-RF 프로파일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sychiatric Patients with Military Issues Using MMPI-2-RF)

  • 성기혜;박지현;김근향;이상혁;박은희;최지영
    • 정신신체의학
    • /
    • 제25권1호
    • /
    • pp.33-45
    • /
    • 2017
  •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군복무 적합성에 대한 정밀평가 및 병사용 진단서를 목적으로 정신건강의학과에 내원한 환자군의 심리적 특성을 확인하고자, 일반적인 정신과적 치료를 위해 내원한 환자군과의 비교를 통해 차이를 분석하였다. 방법 정신건강의학과에 내원한 18세에서 27세까지의 남성환자 총 319명을 병사용 진단군 165명과 일반내원군 154명으로 분류하였다. 독립표본 t-test, ANCOVA, 절단점을 초과하는 사례수에 대한 ${\chi}^2$ 검정을 통해 두 집단 간 MMPI-2-RF의 척도들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두 집단 간 연령 및 교육수준의 차이가 유의하였다. 두 집단은 MMPI-2-RF의 타당도 척도, 상위차원척도, 재구성 임상척도, 특정문제척도, 성격병리 5요인척도 모두에서 차이가 있었다. 두 집단 간 차이를 조사하기 위해 시행한 세가지 분석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척도는 EID, RC7, HLP, SFD, SAV, SHY, DSF, INTR-r이었다. 결론 군복무 적합성 평가가 의뢰된 환자군의 경우, 일반내원 환자군에 비해 정서적 고통의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무력감이나 자신감 저하, 대인관계에서의 어려움이 더욱 현저한 것으로 시사되었다. 더불어 병사용 진단 군에서 보인 타당도 척도의 상승을 고려하여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영화화된 <신데렐라> 캐릭터들의 통시적 비교분석 (A Diachronic Analysis of Characters in Movie Versions of Cinderella)

  • 이윤희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0호
    • /
    • pp.315-336
    • /
    • 2015
  • 그 시대의 대중에게 설득력을 갖기 위해서는 허구의 세계 역시 관객과 공유할 수 있는 가치관을 가져야하므로, 여러 번 영화화된 이야기의 주인공 캐릭터들은 당대 관객의 최대공감을 얻기 위해 시대에 따라 조금씩 변화를 거친다. 본 논문은 다양한 신데렐라 동화와 영화에 등장하는 주요 캐릭터들이 시대에 따라 어떻게 변천되어 왔는가를 살펴보았다. 20세기 중반까지 제작된 신데렐라 영화의 주인공은 페로 버전의 동화 원전이 그랬듯 유약하며 소극적이고 순종적 성격으로 묘사되다가 70년대가 넘어가면서 자신의 감정과 의도를 가지고 움직이는 신데렐라가 등장하기 시작한다. 1990년대 이후에는 자신에게 닥친 상황을 책임질 수 있도록 강인하게 자신의 능력을 키우는 주인공을 볼 수 있으며 최근에는 부족한대로의 자기 자신을 받아들이고 운명을 스스로 개척해나가는 주인공을 만나게 된다. 왕자 캐릭터 역시 비슷한 변천을 겪는다. 비교적 초기에 만들어진 신데렐라 버전들에서 왕자는 그저 왕자라는 이유로 모든 여성이 선망하고 있다는 것이 당연시 될 뿐 거의 실체가 없는 막연한 존재다. 70년대 이후 만들어진 영화들에서는 나름의 고민과 감정을 가진 왕자가 묘사되기 시작하며 최근에는 점차 철부지 도련님에서 자신의 의무와 책임을 아는 성인으로 성장해가는 모습이 영화에 담기고 있다. 현대 사회에 들어와 상대적으로 여성들에게 사회적 기회가 늘어나면서 더 이상 여성의 신분상승이 남성과의 관계에서만 얻어지지는 않는다. 그에 따라 신데렐라 이야기는 과거만큼의 인기를 누리고 있지는 않으며, 누군가가 신데렐라를 꿈꾼다고 하면 사회적 질타의 대상이 되기 쉬운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성의 역할을 떠나 신데렐라는 현 상태에서 자신에게 성공의 가능성이 없다는 무력감을 느끼는 사람이 꿈꿀 수 있는 희망이고, 따라서 그러한 사회적 박탈감을 느끼는 사람들이 있는 한 신데렐라 이야기의 변주는 계속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