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vy Rain Disaster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7초

GIS를 이용한 산사태 발생잠재가능성 평가 기법 (A method for Assessment of landslide potentialities using GIS)

  • 양인태;천기선;이상윤;이인엽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13-318
    • /
    • 2006
  • The main cause of natural disaster in Korea is meteorological phenomenon, such as typhoon, heavy rain, storm, rainstorm, heavy snow, hailstorm, overflowing of sea and so on(including thunderstroke, blast, snow damage, freezing and earthquake), and among those disasters, heavy rain takes place most often, and it occupies 80% of total disaster Especially, disaster related to slope collapse (landslide, collapse of retaining wall, burying ect.) takes place every year due to meteorological cause such as localized heavy rain, which is getting stronger. (National Institute for Prevention Disaster, 2002,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features of slope collapse related to natural disaster in Korea, and also to make up counterplan to prevent disaster. This paper will try to analyze potential areas which are susceptible to landslide regarding factors inducing landslide and heavy rain, and to evaluate the potentiality of landslide regarding local particularity of rainfall, furthermore to provide essential information for development of community such as preventing damages from landslide, construction Industry, and effective use of land.

  • PDF

침수유발 강우량을 이용한 강원특별자치도 호우특보 기준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heavy rain warning in Gangwon State using threshold rainfall)

  • 이현지;강동호;이익상;김병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6권11호
    • /
    • pp.751-764
    • /
    • 2023
  • 강원특별자치도는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지방에 따라 기후 특성이 매우 다르며, 국지성 호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역이다. 호우재해는 발생 시간이 짧고, 시공간적 변동성이 매우 커 많은 인명 및 재산피해를 유발한다. 최근 10년(2012~2021)간 강원지역 호우피해 발생 횟수는 28건이고, 평균 발생 피해액은 456억 원가량으로 집계되었다. 호우재해를 저감하기 위해선 지역단위의 재난관리 방안을 수립해야 한다. 특히나 현재 운영 중인 호우특보 기준은 획일화되어 지역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강원특별자치도에 위치한 특보구역을 대상으로 침수유발 강우량을 고려한 호우특보 기준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보구역별 침수유발 강우량 대푯값 분석 결과 평균값이 호우특보 발령 기준과 유사했고, 이를 본 연구의 호우특보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호우특보 기준 검토를 위한 강우사상으로 2019년 태풍 미탁, 2020년 태풍 마이삭과 하이선, 2023년 태풍 카눈 강우사상을 적용했고, Hit Rate 정확도 검증 결과 강릉평지 72%, 원주 98%로 본 연구는 실제 특보를 잘 반영함을 확인했다. 본 연구의 호우특보 기준은 위기경보 단계(관심, 주의, 경계, 심각)와 위계가 동일하여 선제적 호우재해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호우재해 대응의 획일적 의사결정 시스템을 보완하고, 이를 토대로 지역별 재해위험성을 고려한 호우특보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2006년 인제군 집중호우의 원인 분석 (Cause Analysis of 2006 Concentrated Heavy Rain Which Occurred in InJe-Gun)

  • 배선학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96-408
    • /
    • 2007
  • 2006년 인제와 평창에서 발생한 자연재해는 기상관측 이후 한반도에서 경험하지 못한 기상이변이 2000년대 이후 일반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에 따라 향후의 방재는 수시로 변화하는 재해의 특성과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가상의 공간에서 모델링한 후 다음해의 방재정책에 적용하여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 GIS가 활용된다면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최선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도 그러한 관점에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2006년 7월 인제군에서 발생한 수해는 지형적인 요인과 장마전선, 그리고 태풍 빌리스의 영향에 의한 국지적 집중호우가 주요 원인이었다. 국지적인 집중호우에 의한 피해는 지형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인제 군에서 발생한 수해 또한 비구름을 맞이하는 높은 산지에서 국지적인 집중호우가 발생한 것이 가장 큰 원인이었다.

  • PDF

자연재해 저감을 위한 한반도 피해 현황 분석 (The Meteorological Disaster Analysis for the Natural Disaster Mitig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 박종길;최효진;정우식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7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319-322
    • /
    • 2007
  • This study aims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damage and states of natural disasters at the Korean Peninsula from 1985 to 2004. Using the data of Statistical yearbook of calamities issued by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and Annual Climatological Report issu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we have analyzed the cause, elements, and vulnerable regions for natural disasters. Major causes of natural disaster at Korean Peninsula are four, such as a heavy rain, heavy rain typhoon, typhoon, storm snow, and storm. The frequency of natural disaster is the highest from June to September. The period from December to March also shows high frequency. The total amount of damage is high during the summer season(Jul.-Sept). The period from January to March shows relatively high amount of damage due to storm and storm snow The areas of Gangwon-do, Gyeongsangnam-do and Gyeongsangbuk-do are classified the vulnerable region for the natural disasters. By establishing mitigation plans which fit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disaster for each region, damage from disaster can be reduced with efficient prevention activities.

  • PDF

김해시 수자원관리를 위한 자연재해 현황과 피해특성분석 (On the Characteristics of Damage and States of Natural Disasters for Water Resources Control at Gimhae, Gyeongsangnam-do)

  • 박종길;최효진;정우식;권태순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7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94-97
    • /
    • 2007
  • This study aims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damage and states of natural disasters at Gimhae, Gyeongsangnam-do from 1985 to 2004. Using the data of Statistical yearbook of calamities issued by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and Annual Climatological Report issu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we have analyzed the cause, elements, and vulnerable regions for natural disasters. Major causes of natural disaster at Gimhae are four, such as a heavy rain, heavy rain typhoon, typhoon, storm snow, and storm. The cause of disaster recorded the most amount of damage is typhoon. The areas of Hallim-myeon, Sangdong-myeon, and Saengnim-myeon are classified the vulnerable region for the natural disasters in Gimhae. Therefore, it seems necessary to build natural disaster mitigation plan each cause of disaster to control water resources and to reduce damage for these areas.

  • PDF

경상남도 수자원재해관리를 위한 자연재해현황과 피해특성조사 (Investigation of Characteristics and States of Natural Disasters for Water Resources Disasters Control in Gyeongsangnam-do)

  • 박종길;장은숙;최효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621-627
    • /
    • 2005
  • It is analysised the causes and extent of damage of natural disasters through the investigating of natural disaster states occurred in Gyeongsangnam-do.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based on disaster annual report between 1987 and 2003. Especially, the data between 1993 and 2003 were used for the analysis in Gyeongsangnam-do area. A typhoon and a heavy rain were the major causes of the natural disasters in Gyeongsangnam-do. For all that the extent of damage by a heavy rain was twice as much as that of a typhoon, Gyongsangnam-do suffered heavy damage from a typhoon. So, special attentions should be paid to establish prevention plans for that in this area. Also, half of the natural disasters were occurred between July and August, the intensive prevention plans for the summer season are needed.

폭우재난 대응 사례를 통한 대응체계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Response System through the Case of Heavy Rain Disaster Response)

  • 심우섭;김상범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597-607
    • /
    • 2023
  • 연구목적:고용노동부는 근로자의 산업재해 및 건강장해 예방을 위한 업무를 수행하는 주무부처로서 그간 자연재난 중 폭우로 인한 근로자의 안전을 위해 노력을 해 왔으나, 폭우로 인한 사업장 재난을 막기에는 역부족이였다. 이에 따라, 고용노동부에서 폭우재난을 대응했던 실제 사례를 분석하고 대응체계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부·지방관서·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재난업무를 수행하는 담당자로 구성된 내부 전문가집단과 교수, 컨설팅 대표, 타부처 재난담당자로 구성된 외부 전문가집단과 함께 폭우재난을 대응하기 위해 실시한 비상대응체계, 업종별 자율점검, 사업장 점검, 중대사이렌 활용, 안전관리 및 복구작업 지도 등에 관한 내용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우선, 상시 연락체계는 수시로 점검이 필요하며, 세부적인 업종별 자율점검표 마련·배포도 필요하다. 또한, 사업장 점검 시 자율점검 이행여부 확인을 해야 하며, 중대재해 사이렌으로 통해 알리는 정보의 가독성을 높일 방안도 필요 해 보인다. 아울러, 안전작업은 도급형태로 이뤄지기 때문에 구체적인 안전지침 마련도 필요해 보인다. 결론:계절적 유해·위험요인으로 인한 근로자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과거처럼 수동적인 대처방법과 달리 이상기후는 돌발상황으로 여겨서는 안되고, 관행적인 틀에서 벗어나 적극적이고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할 것이다.

1시간 호우피해 규모 예측을 위한 AI 기반의 1ST-모형 개발 (Development of 1ST-Model for 1 hour-heavy rain damage scale prediction based on AI models)

  • 이준학;이하늘;강나래;황석환;김형수;김수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6권5호
    • /
    • pp.311-323
    • /
    • 2023
  • 집중호우, 홍수 및 도시침수와 같은 재해를 저감시키기 위하여 자연 재난으로 인한 재해의 발생 여부를 사전에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현재 국내는 기상청에서 운영하고 있는 호우주의보 및 호우경보를 발령하고 있지만, 이는 전국에 일괄적인 기준으로 적용하고 있어 사전에 호우로 인한 피해를 명확하게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일괄된 기준을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호우특보 기준으로 재설정하고 1시간 후에 강우로 발생할 수 있는 피해의 규모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지역으로는 호우피해가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였던 경기도 지역으로 선정하였고, 강우량 및 호우 피해액 자료를 활용하여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시간단위 재해 유발 강우를 설정하였다. 강우에 의한 호우피해 발생 여부를 예측하는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재해 유발 강우 및 강우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머신러닝 기법인 의사 결정 나무 모형과 랜덤 포레스트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 및 비교하였다. 또한 1시간 후의 강우를 예측하기 위한 모형으로는 장단기 메모리, 심층 신경망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 및 비교하였다. 최종적으로 예측 모형을 통해 예측된 강우를 훈련된 분류 모형에 적용하여 1시간 후 호우에 의한 규모별 피해 발생 여부를 예측하였고, 이를 1ST-모형이라고 정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1ST-모형을 활용하여 예방 및 대비 차원의 재난관리를 실시한다면 호우로 인한 피해를 저감하는데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PPLICATION OF IT TO REDUCE FLOOD DAMAGE DURING HEAVY RAINFALL DISASTER IN JAPAN

  • Kang, Sang-Hyeok;Motoyuki ushiyama, Motoyuki-Ushiyama
    • Water Engineering Research
    • /
    • 제4권4호
    • /
    • pp.187-192
    • /
    • 2003
  • The rainfall observation systems have largely been improved in Japan. The Japan Meteorological Agency, prefecture governments, and other administrative bodies have also increased the number of rain gauges thru out the country. The density of observatories is now one per several $\km^2$. Heavy rainfall information systems have been improved. Besides it, the Internet was popularized in the late 1990s, and has been used to transmit data of heavy rainfall. Internet accessible cellular phones have been popular in Japan since 1999. Such phones are expected to be useful in the field of disaster warning announcements, because they can automatically notify users bye-mail of pending disasters. The use of the Internet during natural disasters is groundbreaking in Japan today. However, in order to use disaster information effectively on Internet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how to use the information during the rainfall disaster. Therefore in our study we suggest methods on the effective construction and their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on Internet.

  • PDF

한반도에서 발생되는 기상재해 분석 (An Analysis of Meteorological Disasters Occurred in the Korean Peninsula)

  • 박종길;장은숙;최효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613-619
    • /
    • 2005
  • Recently, we are suffered enormous loss from a natural disaster and making an effort to prepare measures for dealing with disasters. This study shows the major causes of natural disasters and stricken area with the analysis of meteorological data based on the Korean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the Central Disaster Relief Center records during 1987-2003 and classifies natural disasters according to the causes and damaged conditions. In this study, the most damaged area were Gangwon, Gyeongnam and Gyeongi province as a result of a typhoon and a localized heavy rain. To establish an effective disaster measure for these area, detailed prevention plans should be established by its causes after investigating precise regional damage data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