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t reuse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39초

FCS 가변형 몰드 생산을 위한 PCM 분석 (Analysis of Phase Change Materials for Production of Changable Mold for Free-form Concrete Segment)

  • 이동훈;김선국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4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50-151
    • /
    • 2014
  • A mold of free-form concrete segment can be used only one time. Thus, the construction duration and cost are increased. The materials of the mold such as wood and metal have limitations due to the implementation and reuse. The review of the material of the mold for free-form concrete segment is needed to reduce duration and production cost. Phase change material can be used both to implement free-shape by heating and to produce mold after cooling. After using Phase change material can be re-used to mold by heating. The scope of this study is many kind of phase change materials for molding.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hase change materials for production of changable mold for free-form concrete segment. In this study, the paraffin wax that is melted at 64℃ was selected by considering both the energy efficiency and the weather of Korea.

  • PDF

굴 패각을 활용한 내화모르타르의 고온수열에 따른 성분변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high-Heated according Change of Fireproof Mortar Using Oyster Sell)

  • 홍상훈;정의인;김봉주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7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76-177
    • /
    • 2017
  • IN order to use it for high-temperature fire, Fireproof boards mainly composed of Ca and Mg used. Korea does not have a fireproof board for explosive high temperatuer fire in tunnel, and it is applying existing fireproof coating. However, when a high-temperature fire(1350℃)with explosion occurs, it can not sustain its strength and can not be destroyed to have fire resistance. Each year, more than 100,100tons of wastes are produced by using Ca as an oyster shell. In this study, we try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reuse the heat-heated fireproof board.

  • PDF

시멘트 제거를 위해 가한 열이 임플란트 티타늄 지대주와 나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eat to remove cement on implant titanium abutment and screw)

  • 이효경;길기성;이정진;안승근;서재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179-187
    • /
    • 2018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의 시멘트 소환을 위해 가한 열이 임플란트 티타늄 지대주 및 지대주 나사의 풀림토크와 파절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임플란트와 티타늄 지대주 및 지대주 나사를 20개씩 준비하였다. 지대주와 나사는 가열하지 않은 것을 대조군으로, 진공소성로에서 $450^{\circ}C$까지 8분간 가열 후 공기 중에서 냉각한 것을 실험군으로 분류하였다. 임플란트에 지대주 및 나사를 연결하고 30 Ncm의 힘으로 10분 간격으로 2회의 조임력을 가하고 15분 후 풀림토크를 측정하였고 만능시험기를 이용하여 지대주 나사의 파절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평균 풀림토크는 대조군에서 $27.84{\pm}1.07Ncm$, 실험군에서 $26.55{\pm}1.56Ncm$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 < .05). 평균 파절강도는 대조군에서 $731.47{\pm}39.46N$, 실험군에서 $768.58{\pm}46.73N$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 .05). 결론: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의 시멘트 소환을 위해 가한 열이 티타늄 지대주 나사의 풀림토크를 유의하게 감소시켰고 파절강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 소환을 위해 보철물 및 지대주의 조립체에 열을 가하는 경우에는 지대주 나사를 미리 빼내어 따로 보관하거나 부득이하게 열을 가한 지대주 나사는 재사용에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나 임상적인 재사용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하이브리드 판형 열교환기 적용 컴팩트 스팀 유닛 개발을 위한 성능 평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performance evaluation for development of compact steam unit applied with hybrid plate heat exchanger)

  • 박재홍;조성열;이준석;이상래;김승현;임계훈;서정완;김정훈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1권4호
    • /
    • pp.296-301
    • /
    • 2017
  • 발전 플랜트, 석유 화학 플랜트, 단위 공장과 같은 다양한 플랜트에서 사용 후 스팀이나 잉여 스팀을 이용하여 온수나 급탕수를 생산하는 시스템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컴팩트 스팀 유닛(Compact Steam Unit, 이하 CSU)은 이러한 (폐)스팀 등을 이용하여 온수와 급탕수를 생산하는 시스템으로서 에너지 재활용 측면에서 매우 좋은 대안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SU의 핵심 기자재 중 하나인 열교환기를 기존 판형 열교환기에서 성능이 개선된 하이브리드 판형 열교환기를 사용하였고, 개선된 온도 조절 밸브 및 제어 시스템 등으로 새로운 형태의 CSU(1,600 kW급)를 구성하여, CSU의 성능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시험 결과를 CSU의 상용화를 위한 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1차측(고온측, 스팀)과 2차측(저온측, 냉수) 사이의 에너지 밸런스는 ${\pm}0.77%$ 이내였으며, CSU의 성능 평가 요소 중 가장 중요한 2차측 냉수 출구 온도 편차는 $(0{\sim}0.3)^{\circ}C$ 이었다.

화력발전소 온배수열 활용 시설하우스 열공급 모형 경제성분석 연구 (An Economic Analysis of the Effluent Heat Supply from Thermal Power Plant to the Farm Facility House)

  • 엄병환;안차수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6권1호
    • /
    • pp.6-13
    • /
    • 2018
  • 석탄화력발전소 온배수열 활용하여 발전소 인근지역 시설농업에 난방열을 공급하는 사업의 배관투자비는 설치거리에 비례하여 증가하고 발전소와 떨어진 거리는 경제성 확보에 문제를 낳는다. 또한, 설치거리가 짧은 경우는 난방열 수요 확보가 어려워 경제성 확보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준 열배관로 신설길이 1 km에 대한 경제성 평가와 열배관로 신설길이 변동에 따른 민감도를 정부지원금 수준, 난방열 수요량 수준과 정부지원금 증가에 따른 경제성 확보가능 열배관로 신설거리 수준에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기준 열배관로 신설길이에서는 NPV 131백만원, IRR 15.73%로 경제성을 확보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다만, 민감도 분석결과 열배관로 신설길이가 2.6 km를 초과하는 경우 NPV가 음수로 나타나 경제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초기투자비의 50%를 정부가 지원하는 경우 5.3 km, 80%를 지원하는 경우 11.4 km 이내에서 경제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준 열배관로 신설길이에서는 난방열 수요가 기준 열수요 대비 62% 수준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 경제성이 없으며, 열배관로 신설길이가 2 km에서는 기준 열수요 대비 14%만 감소하여도 경제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초기투자비대비 정부지원금 비율이 증가하는 경우 열배관로 신설거리의 탄력성이 증가하여, 열수요 1단위에서 부담하는 시설투자비인 고정비가 감소한다. 이는 단위당 생산원가가 감소하는 효과로 나타나고 시설농업에 더 저렴한 수준으로 열을 공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정부지원금은 열배관로 신설거리가 증가하는 효과로 경제성이 확보될 수 있고, 열수요 개발가능 범위 증가에 따라 추가적인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초기투자비 대비 정부지원금 비율이 증가할수록 생산단가 감소로 인한 시설농가의 에너지비용 또한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결과는 발전소 온배수열 활용사업에 대한 정부지원금의 효과성을 경제적 평가측면에서 분석한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향후 시범적용 또는 Pilot 단계의 실제 적용사례를 기반으로 한 경제성 평가결과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역사적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계획기법 -서양의 연구동향 및 사례를 중심으로- (Technical Measures for Improving Energy Efficiency in Historic Buildings -Focused on Researches and Case Studies of the West-)

  • 김태영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69-76
    • /
    • 2018
  • This study is to research technical measures for improving energy efficiency in the conservation and reuse of historic buildings focused on the recent research trends and case studies of the west. These measures are broadly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e passive measures for saving energy and increasing comfort, the most cost-effective energy saving strategies, and the renewable energy sources. Firstly, the passive measures are divided into the elements and systems. The passive elements are awnings and overhanging eaves, porches, shutters, storm windows and doors, and shade trees. There are also the natural ventilation systems such as the historic transoms, roofs and attics to improve airflow and cross ventilation to either distribute, or exhaust heat. Secondly, the most cost-effective energy efficiency strategies are the interior insulation, airtightness and moisture protection, and the thermal quality improvement of windows. The energy efficiency solutions of modern buildings are the capillary-active interior insulation, the airtightness and moisture protection of interior walls and openings, and the integration of the original historic window into the triple glazing. Beyond the three actions, the additional strategies are the heat recovery ventilation, and the illumination system. Thirdly, there are photovoltaic(PV) and solar thermal energy, wind energy, hydropower, biomass, and geothermal energy in the renewable energy sources. These energy systems work effectively but it is vital to consider its visual effect on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building.

열병합 발전소에서 발생한 우드칩 분진에 대한 특성 분석 (Characterization of Wood Chip Ash Generated from a Power Plant)

  • 방정원;김수룡;김영희;김미도;강원석;조계홍;권우택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6권1호
    • /
    • pp.11-15
    • /
    • 2017
  • 우드칩 분진 발생량은 우드칩 기반 난방과 에너지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계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우드칩 분진의 활용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우드칩 분진의 재활용을 위한 일안으로 열병합 발전으로부터 발생한 우드칩 분진에 대한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분석했다. 화학 분석 결과 우드칩 분진의 주된 구성성분은 실리카, 알루미나, 알칼리로 나타났다. 우드칩 분진에 대한 strength activity index 분석과 석탄재와의 비교를 통해 이차 시멘트계 재료로써 재활용 가능성을 확인했다. 90일 동안 경화한 우드칩 분진에 대한 strength activity index 최대값은 78%였으며 이는 시멘트계 재료에 대한 혼합물로써 재활용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결과이다.

환경친화적 CFB 보일러 입자재순환 장치의 고체량 분배 특성 (Characteristics of Splitting Solid Amount by Friendly Environmental CFB Boiler's Particle Re-circulating Device)

  • 김유석;황재동;최용준;문길호;선도원;배달희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756-1760
    • /
    • 2004
  • Circulating Fluidized-Bed (CFB) boilers which have been operated in Korea were manufactured by the design technology of foreign leading companies. As they are not active to transfer their technology, domestic companies don't have the enough ability to design it independently yet. Doosan Heavy Industries & Construction Co. Ltd. and Korean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are trying to develop and improve the particle re-circulating device among the components of CFB boiler. Our purpose is to control the amount of particles leaving the re-circulating system by adjusting utility air and reuse the heat of circulating particles. The results of experiments with cold model system show that a fluidization state in the particle re-circulating device is very stable when the amount of utility air is supplied to its wind box with 2.29 times of minimum fluidization velocity. Also the amount of particles entering the riser don't increase linearly when the amount of utility air is supplied over 2.5 times of minimum fluidization velocity. Now we are testing its functional run with the hotstate experiment set-up.

  • PDF

TSSG 법에 의한 KTP 단결정 성장의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KTP Crystal Growing by TSSG Method)

  • 김형천;윤경구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2-48
    • /
    • 1993
  • K6P4Ol3 응제를 사용하여 TSSG법에 의해 KTP(K Tiop04) 단결정을 성장시켰다. 가열로의 내부에 heatpipe와 복사방열판을 설치하여 도가니 내의 온도 안정성 및 균일도를 향상시켰다. 크고 양질의 단결정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 조업온도 구간,초기 냉각속도, 강제교반, 융제의 재사용과 같은 몇 가지 조업변수들에 따른 영향을 비교 고찰하였다. 본 융제의 조건하에서(0.6g KTP/lg flux), 초기 냉각속도가 0.1℃/hr 이하까지 느릴수록, 적절한 결정 회전이 수반될수록 양질의 단결정성장에 유리하였다. 최대 44 × 39 ×17체 크기의 KTP단결정을 얻을 수 있었으며, 단순가공 상태하에서도 21.3% SHG 변환효율을 나타내었다.

  • PDF

Proteomic Evaluation of Cellular Responses of Saccharomyces cerevisiae to Formic Acid Stress

  • Lee, Sung-Eun;Park, Byeoung-Soo;Yoon, Jeong-Jun
    • Mycobiology
    • /
    • 제38권4호
    • /
    • pp.302-309
    • /
    • 2010
  • Formic acid is a representative carboxylic acid that inhibits bacterial cell growth, and thus it is generally considered to constitute an obstacle to the reuse of renewable biomass. In this study, Saccharomyces cerevisiae was used to elucidate changes in protein levels in response to formic acid. Fifty-seven differentially expressed proteins in response to formic acid toxicity in S. cerevisiae were identified by 1D-PAGE and nano-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nano-LC-MS/MS) analyses. Among the 28 proteins increased in expression, four were involved in the MAP kinase signal transduction pathway and one in the oxidative stress-induced pathway. A dramatic increase was observed in the number of ion transporters related to maintenance of acid-base balance. Regarding the 29 proteins decreased in expression, they were found to participate in transcription during cell division. Heat shock protein 70, glutathione reductase, and cytochrome c oxidase were measured by LC-MS/MS analysis. Taken together, the inhibitory action of formic acid on S. cerevisiae cells might disrupt the acidbase balance across the cell membrane and generate oxidative stress, leading to repressed cell division and death. S. cerevisiae also induced expression of ion transporters, which may be required to maintain the acid-base balance when yeast cells are exposed to high concentrations of formic acid in growth medi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