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ring screening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5초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자동청력검사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ABR System Using a Microprocessor)

  • 노형욱;이탁형;김남현;김수찬;차은종;김덕원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6권2호
    • /
    • pp.15-21
    • /
    • 2009
  • 난청은 가장 흔한 선천성 장애이다. 이 질병의 발생 빈도는 신생아 1000명 출생 당 $1{\sim}3$명 정도로 상당히 높다. 이러한 청력 장애가 조기에 발견된다면 수술적인 치료 등으로 예방할 수 있으나, 그렇지 못할 경우 언어와 학습장애를 초래하게 된다. 이런 관점을 근거로 신생아를 대상으로 한 선천성 난청의 선별검사는 큰 의미를 가지며 난청환자의 조기발견을 위한 노력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기존의 수동 청력검사 시스템은 신생아 청력 평가 시 검사자의 주관성에 의존하게 되므로, 청성뇌간 반응의 뇌파 분석이 잘못될 가능성이 커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난청여부를 자동으로 판독하여 결과를 나오도록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기존 제품들과 차별화하기 위하여 휴대용으로 개발하여 차폐실이 아닌 일반 병실에서도 검사가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유소아의 청각 장애를 극복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Population-Based Newborn Hearing Impairment Screening Test Using GJB2 Mutation Analysis

  • Lee, Kyung-Ok;Jeong, Su-Jin;Byun, Ji-Young;Kim, Jeong-Sook;Lee, Hye-Jung;Seong, Hye-Soon;Kim, Kyung-Tae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13-121
    • /
    • 2007
  • 선천성난청은 비교적 흔한(1/1,000) 유전성질환으로 여러 유전자와 관련이 있으며, 최근에는 connexin 26 단백질내의 GJB2 유전자 돌연변이와의 관련성이 보고되고 있다. 유전질환을 예측하기 위한 유전자선별검사를 임상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각 해당 국가별로 정상인에서 유전자돌연변이의 빈도를 구하고, 환자의 결과를 비교하여 활용성을 검토한 후 사용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청력검사(TEOAE)가 정상인 신생아에서 GJB2 유전자 돌연변이 빈도를 구하여 screening test를 위한 한국인의 database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검체로는 437 명의 건강한 신생아의 발꿈치를 천자하여 얻은 혈액을 이용하였고, DNA는 Intron 사의 킷트를 사용하여 추출하였으며, GJB2 PCR을 실시한 후 증폭산물(783 bps)은 2% agarose gel로 전기영동을 실시하였고, DNA 자동염기서열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437명의 한국인 신생아에서 GJB2 유전자 중 8곳의 돌연변이(35delG, 167delT, 235delC, V27I, V37I, M34T, E114G, I203T)를 분석하였으며, 이 중 5곳에서 돌연변이가 발견되었다. 총 437명 중 301명(68.9%)에서 GJB2 유전자돌연변이가 발견되었는데, 그 중 154명이 단일돌연변이였다. V27I 변이가 271명으로 가장 많이 발견되었으며, 대부분의 V27I 변이는 E114G 변이와 함께 나타났다. E114G 변이는 총 146명, I203T 변이는 17명, V37I 변이는 14명, 235delC 변이는 1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중돌연변이의 대부분은 V27I/E114G였으며, V27I/I203T는 3명에서 나타났고, 삼중돌연변이 V27I/E114G/I203T는 1명에서 발견되었다. 본 연구결과, PCR을 이용한 자동염기분석검사는 GJB2 유전자의 돌연변이 검출에 매우 유용하며, 본 결과는 향 후 신생아 난청선별검사를 위한 한국인의 database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난청감별을 위한 휴대용 자동 청성반응 검사기의 개발 (Development of a Portable Automatic Auditory Response Tester for Hearing Loss Screening)

  • 김수찬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9권2호
    • /
    • pp.38-45
    • /
    • 2012
  • 선천성 난청으로 태어난 아이를 조기에 진단하여 가능한 빨리 적절한 치료를 해줌으로써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고, 이후에 발생되는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신생아로부터 난청 이상 유무를 객관적으로 판별하는 검사 장비가 필요하다. 대표적인 것으로 청성뇌간반응(auditory brainstem response, ABR) 검사가 있으나 클릭음(click sound)에 대한 반응으로 주파수 특이성이 없고 고주파수 대역에 대한 청력을 주로 반영하는 단점이 있다. 청성지속반응(auditory steady-state response, ASSR) 검사는 주파수 특이도는 좋으나 오진의 가능성이 조금 높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청성뇌간반응 검사와 청성지속반응 검사를 하나의 시스템에서 측정하고, Fsp와 F-test 분석을 통하여 객관적 지표를 보여주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최소화하고 소프트웨어 역할을 강화하여 추후 하드웨어 수정 없이 소프트웨어의 수정만으로 다양한 검사가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의 객관적 평가 기능은 정상인 10명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청력 손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500 g미만의 청력 검사 결과 (Risk Factors for Hearing Loss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Results of Hearing Test in Infants <1,500 g)

  • 성민정;한영미;박경희;이일우;변신연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2호
    • /
    • pp.328-336
    • /
    • 2011
  • 목적: 양측 고도 난청은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치료를 하였던 신생아나 미숙아인 경우 위험률이 증가한다. 이에 저자들은 1,500 g 미만으로 출생한 미숙아를 대상으로 난청을 유발할 수 있는 인자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8년 12월부터 2011년 2월까지 부산대학교 어린이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1,500 g 미만의 미숙아 65명을 대상으로 난청의 위험 인자들의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청력 검사는 교정 연령 37주 이상이 되었을 때 ABR로 시행하였으며, 처음 검사에서 정상 청력인 환아와 난청인 환아로 분류하였다. 결과: 65명의 환아 중에서 34명은 정상으로 나왔고, 31명은 난청을 보였다(47.7%). 난청을 보인 환아 중에서 일상 생활에 지장을 주는 중도 이상의 난청을 가진 환아는 10명(15.4%) 이었다. 이들의 위험인자를 비교해본 결과 비정상군에서 청력 검사를 시행했던 시기가 늦었고, 출생 체중이 적었으며, 기계 환기를 했던 기간이 길었고, 생후 1주일간 동맥혈 가스 분석 결과 최저 산소 분압이 낮았고, 이뇨제의 누적 용량이 의미 있게 많았다 (P<0.05). 이 위험 인자를 경도 난청과 중/고도 난청/농으로 나누고 출생 체중으로 보정한 다인자 분석을 하니 5분 Apgar 점수가 증가할 때마다 중/고도 난청/농의 가능성은 낮아지고 (OR=0.34, 95% CI: 0.13-0.89), 기계 환기의 기간이 길어질 때마다 중/고도 난청/농의 가능성은 증가하였다(OR=1.06, 95% CI: 1.01-1.12). 31명의 난청 환아 중에 추적 검사를 시행한 17명 중 16명이 호전을 보였고(94.1%), ABR로 재검을 한 8명 중 7명은 호전이 될 때까지 평균 5.6개월이 소요되었으며, 1명만이 양측 농으로 나와 보청기를 착용하였다. 결론: 1,500 g 미만의 미숙아에게 처음 시행한 청력 선별 검사에서 중도 이상의 난청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은 낮은 5분 Apgar점수와 장기간의 인공 호흡기 사용이었고, 대부분이 5-6개월 이내에 청력에 호전을 보여 수개월간은 추적 검사를 시행하면서 회복되기를 기다려도 될 것으로 생각된다.

유기용제와 소음에 폭로된 근로자들의 청력 손실 (Hearing Loss in the Workers Exposed to Organic Solvents and Noise)

  • 김영기;이용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36-145
    • /
    • 1999
  • 유기용제와 소음의 폭로가 청력손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유기용제 폭로군 32명, 소음 폭로군 31명, 소음과 유기용제에 동시에 폭로된 군 31명 그리고 대조군 53명을 대상으로 소음과 유기용제 폭로 정도와 청력손실치를 계산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 대상자들은 소음과 유기용제에 허용기준치 이하로 폭로되었으며, 요중 마뇨산 배설량도 참고치 이하로 배설되었다. 소음의 경우 소음과 유기용제 동시 폭로군과 소음 폭로군이 유기용제 폭로군보다 높았으며(p<0.05) 요중 마뇨산은 소음 유기용제 동시폭로군과 유기용제 폭로군이 소음폭로군보다 배설량이 더 많았다(p<0.05). 2. 주파수별 기도청력은 소음과 유기용제 동시 폭로군이 소음군보다 우측귀의 500Hz, 좌측귀의 500, 2000Hz에서 유의하게 더 높은 청력손실치를 나타내었고(p<0.05), 유기용제군과의 비교시에는 왼쪽귀 4000Hz에서 청력손실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p<0.05). 3. 조사 대상자 147명중 43명이 청력손실군에 해당되었으며 청력손실군의 연령이 42.6세로 정상군 38.0세 보다 더 높았으며 요중마뇨산 배설량도 유의하게 더 많았다(p<0.05). 4. 청력손실자는 소음군에서는 대상자의 38.7 $\%$(12명), 유기용제군 40.6 $\%$(13명), 소음과 유기용제 동시폭로군은 51.6 $\%$ (16명), 그리고 비폭로군은 3.8 $\%$(2명)의 빈도를 보였으며 비폭로군에 비해 폭로군에서 청력손실자가 많이 발생하였으나 폭로군 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청력손실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변수는 연령과 요중마뇨산 배설량이었으며, 유기용제로 인한 청력손실의 영향을 보기위해 연령을 보정하였을 때는 요중마뇨산 배설량만이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6. 대조군과 폭로군사이의 청력손실에 대한 교차비에서는 비폭로군에 비해 소음폭로군은 6.1배(95 $\%$ CI,: 3.3-8.7),유기용제 폭로군은 7.4배(95 $\%$ CI,: 3.5-14.6) 그리고 동시폭로군은 1$\ulcorner$.2배(95 $\%$ Cl,: 5.31.8)로 더 켰다(p<0.01).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유기용제 폭로 근로자에 대해서도 청력장애에 대한 건강진단이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직업적으로 소음에 노출되는 근로자들에서 청력의 비대칭성 (Hearing Asymmetry among Occupationally Noise-exposed Workers)

  • 김욱태;김대환;이채관;안진홍;이창희;김휘동;김정호;손병철;이종태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53-159
    • /
    • 2007
  • Usually equal noise exposure is considered to cause symmetrical hearing loss, but some screening audiometries of employees who were exposed to noise showed asymmetry.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distribution of asymmetrical hearing loss and the difference of air conduction level between left and right ear at the different frequencies (500, 1,000, 2,000, 3,000, 4,000, 6,000 Hz). Study subjects were 326 male employee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noise-specific health examination from May to October, 2002. They were evaluated by otoscopic examination, pure tone audiometry and tympanometry. In all frequencies, hearing threshold level of left ear was worse than right ear. The mean interaural threshold differences between two ears were 0.83 dB at 500 Hz, 1.18 dB at 2,000 Hz, 2.29 dB at 3,000 Hz, 2.18 dB at 4,000 Hz,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The hearing loss of left ear was greater than right ear in occupationally noise-exposed workers. It is believed that left ear was more susceptible to noise damage than right ear

A Review of Contemporary Teleaudiology: Literature Review, Technology, and Considerations for Practicing

  • Kim, Jinsook;Jeon, Seungik;Kim, Dokyun;Shin, Yerim
    • 대한청각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7
    • /
    • 2021
  • The scope of teleaudiology has been noted with telehealth due to Coronavirus disease (COVID-19) recently. As the notion has been around us for more than 20 years ever since 1999, it is necessary to perceive the knowledge accurately and prepare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it. Therefore, the literature review including screening and diagnostic audiometry, cochlear implants and hearing aids, and aural rehabilitation,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regarding several fields of teleaudiology, and considerations for practicing were identified. Although overall internet-based audiological services showed benefits in terms of outcome and accessibility, uncertainties of cost-effectiveness, the optimal level of support, and a need for further studies of many aspects for teleaudiology has arisen. In the view of technology, the store-and-forward (asynchronous/hybrid) and a real-time (synchronous) methods were introduced with one applied and nine registered patents recorded from 2004 to 2020 for the invention of teleaudiology in the United States. Also, 10 checklists were suggested for planning teleaudiology practice from prior experience in hosting the teleaudiology program. Conclusively, it is hoped that this review sheds light on recognizing and improving the existing teleaudiology services and helps overcome the challenges faced in the era of pandemic and untact world to come.

Towards Size of Scene in Auditory Scene Analysis: A Systematic Review

  • Kwak, Chanbeom;Han, Woojae
    • 대한청각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9
    • /
    • 2020
  • Auditory scene analysis is defined as a listener's ability to segregate a meaningful message from meaningless background noise in a listening environment. To gain better understanding of auditory perception in terms of message integration and segregation ability among concurrent signals, we aimed to systematically review the size of auditory scenes among individuals. A total of seven electronic databases were searched from 2000 to the present with related key terms. Using our inclusion criteria, 4,507 articl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four sequential steps-identification, screening, eligibility, included. Following study selection, the quality of four included articles was evaluated using the CAMARADES checklist. In general, studies concluded that the size of auditory scene increased as the number of sound sources increased; however, when the number of sources was five or higher, the listener's auditory scene analysis reached its maximum capability. Unfortunately, the score of study quality was not determined to be very high, and the number of articles used to calculate mean effect size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insufficient to draw significant conclusions. We suggest that study design and materials that consider realistic listening environments should be used in further studies to deep understand the nature of auditory scene analysis within various groups.

Towards Size of Scene in Auditory Scene Analysis: A Systematic Review

  • Kwak, Chanbeom;Han, Woojae
    • Journal of Audiology & Otology
    • /
    • 제24권1호
    • /
    • pp.1-9
    • /
    • 2020
  • Auditory scene analysis is defined as a listener's ability to segregate a meaningful message from meaningless background noise in a listening environment. To gain better understanding of auditory perception in terms of message integration and segregation ability among concurrent signals, we aimed to systematically review the size of auditory scenes among individuals. A total of seven electronic databases were searched from 2000 to the present with related key terms. Using our inclusion criteria, 4,507 articl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four sequential steps-identification, screening, eligibility, included. Following study selection, the quality of four included articles was evaluated using the CAMARADES checklist. In general, studies concluded that the size of auditory scene increased as the number of sound sources increased; however, when the number of sources was five or higher, the listener's auditory scene analysis reached its maximum capability. Unfortunately, the score of study quality was not determined to be very high, and the number of articles used to calculate mean effect size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insufficient to draw significant conclusions. We suggest that study design and materials that consider realistic listening environments should be used in further studies to deep understand the nature of auditory scene analysis within various grou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