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th research and development

검색결과 5,060건 처리시간 0.042초

뇌 과학적 관점에서 본 심리운동 기전에 대한 문헌고찰 (A Review of Literature on the Mechanism of Psychomotorik from Brain Science Perspective)

  • 김성운;김우철;김한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1호
    • /
    • pp.591-60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심리운동과 뇌 기능간의 관계와 관련된 국내외 문헌들을 고찰하여 심리운동의 기전을 뇌 과학적 관점에서 규명하여 아동 치료 영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교사, 치료사 및 아동 부모들에게 뇌 생리적 관점에서 심리운동의 기전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뇌 과학 관점에서 본 심리운동의 기전과 관련된 국내외 문헌들을 고찰하여 심리운동의 움직임을 통해 생애초기의 긍정적인 학습 환경과 다양한 신체경험은 뇌 생리적 관점에서 매우 중요하며, 아동이 움직이면 움직일수록 학습은 더욱더 증진되고, 건강한 정서조절 능력이 함양되어 뇌를 최적화 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심리운동의 기전을 뇌 과학적 접근을 통해 알아본 본 연구는 심리운동의 움직임과 뇌 기능간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기초정보를 제공했다고 판단된다. 특히 아동이 움직이면 움직일수록 학습은 더욱더 증진되고, 건강한 정서조절 능력이 함양되어 뇌를 최적화 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교사, 치료사 및 부모를 이해시키는 것은 향후 우리 아이들을 잘 교육하기 위해 매우 필요한 과정이라고 판단된다. 물론 지금까지는 심리운동 기전과 뇌 기능에 관한 연구가 많이 부족했지만 본 연구를 통해 조금이나마 더 많은 사람들이 심리운동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

석탄배합비율과 제조공정조건에 따른 활성탄의 물성변화 (Physical Properties of Activated Carbon with Coal Blend Ratios and Manufacturing Conditions)

  • 김상철;박경애;이승범;홍인권
    • 공업화학
    • /
    • 제9권6호
    • /
    • pp.835-841
    • /
    • 1998
  • 활성탄제조에 적합한 유연탄과 무연탄을 선정하여 활성탄을 제조하고, 유연탄과 무연탄의 혼합비율을 달리하였을 때 나타나는 물리적 특성을 규명하였다. 유연탄에 무연탄인 Dandong탄을 25, 50, 75 wt.%로 혼합하여 활성탄을 제조할 경우 활성탄 수율은 Dandong탄의 함량 증가에 따라 증가되었으나 겉보기 밀도는 유연탄의 성상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나타났고, 흡착력을 나타내는 요오드가는 반대로 감소되었다. Fushun탄과 Dandong탄을 75:25 wt.%로 혼합한 후 활성화조건에 따른 기공특성을 관찰한 결과 기공분포는 활성화온도 $850{\sim}900^{\circ}C$에서 $20{\AA}$ 이하의 미세기공이 발달되었고, $830^{\circ}C$$950^{\circ}C$에서는 중간기공이 발달되었다. 또한 제조된 석탄혼합 활성탄의 성능을 고찰하기 위해 상용화된 제품과 실험을 통해 흡착성능을 비교하였는데 경쟁력있는 흡착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활성탄 제조시 탄화 및 활성화 과정에서 여러 가지 조업변수와 원료탄 혼합효과에 의해 그 특성이 달라짐이 확인되었다.

  • PDF

혈액투석 환자의 빈혈관리에서 Erythropoietin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Determinants of Erythropoietin Hyporesponsiveness in Management of Anemia in Hemodialysis Patients)

  • 신승희;지은희;이영숙;오정미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2-130
    • /
    • 2011
  • Objective: Although recombinant human erythropoietin (rhEPO) has revolutionized the treatment of anemia in chronic kidney disease (CKD) receiving hemodialysis (HD) with no need of blood transfusion, some patients have a blunted or appear to be resistant to rhEPO. There is a controversy in the causes of rhEPO resistance in maintenance HD patients with anemia. This study is to examine current anemia treatment outcomes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rhEPO responsiveness in HD patient with CKD. Methods: The clinical parameters or factors relating to erythrompoietin treatment outcomes and erythropoietin responsiveness were collected from the HD patients in two large dialysis centers for three months. The collected paramenters included serum iron, total iron biding capacity (TIBC), transferrin saturation rate, ferritin, albumin, intact PTH, C-reactive protein (CRP), nPCR and medications such as a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bitor, an angiotension II receptor blocker and an HMG-CoA reductase inhibitor (HMG-CoA RI). The data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degree of acheiveing the anemia treatment goal and factors relating to ERI. Results: Among total 111 patients, 42 (42.3%) and 47 (37.8%) patients achieved the target Hct and Hb based on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s (HIRA) reimbursement criteria. In the higher ERI group (upper quartile), the patients had higher CRP levels (0.5 mg/dl) (p=0.0096), and lower TIBC score (<$240{\mu}g/dl$) (p=0.0027), and less patients were taking HMG-CoA RI (p=0.0019). Male patients (p=0.0204), patients with high TIBC score ($R^2$=0.084, p=0.0021) and patients taking HMG-CoA RI (p=0.0052) required to administer less dose of rhEPO meaning higher erythropoietin responsiveness. Conclusion: Less than 50% of CKD patients were achieving the goals of anemia by erythropoietin administration in large hospitals in Korea even though the goals were lower than those of NKF-K/DOQI practice guideline. The factors influencing ERI were sex, TIBC and HMG-CoA RI administration status, and neither an ACEI nor an ARB did not influence ERI.

축산 환경개선제로 생산.유통되는 생균제의 문제점 및 검증방안 (Problems and Verification System of Probiotics as Livestock-environment Improving Agent Produced and Circulated)

  • 이은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87-95
    • /
    • 2008
  • 생균제는 충분하고도 적절하게 사용되었을 때 숙주의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살아있는 미생물이다. Lactobacilli나 Bacillus와 같은 직접투여하는 미생물 (DFM)은 생장을 촉진하기 위하여 사료에 첨가되는 항생제 혹은 식품첨가물보다 장내의 정상균총의 정착에 매우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줄 수 있다. 또한, 생균제가 투여됨으로 해서 면역체계가 강화되고, 감염에 대한 예방효과가 있는데 이는 동물 체내에 병원균이 정착하는 것을 방해함으로서 이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생균제 투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배설물의 분해를 촉진하여 악취를 저감시켜줌으로서 가축의 사육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들어, 환경보호와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정착됨에 따라, 환경을 개선하고 우수한 품질의 축산품을 생산하기 위해 가축농가에서는 기존의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의 생균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거의 모든 농가에서 생균제를 사용하고 있다고 해도 무리가 없다. 국내에서 유통되는 생균제는 크게 세부류이다. 첫째는 국립수의과학독성원(NVRQS)에 의해 검증되고 약사법에 의해 관리를 받는 동물의약품으로서의 생균제, 둘째는 시군에서 등록이되는 보조사료로서의 생균제와 마지막으로 미등록된 환경개선제들이다. 그러나, 많은 검증받지 않은 제품이 유통되고 생산됨으로 인해 이를 검증할 방안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개선제로서의 생균제를 검증하기 위한 방안으로, 생균수의 검증, 항생제 내성 검증, 그리고 악취제거능에 대한 검증의 3단계 방법을 제안한다.

위탁급식전문업체의 급식소 식수 규모별 노동생산성 비교 분석에 따른 인력산정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Standardized Model of Staffing Deman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Labor Productivity by Foodservice's Meal Scale in Contract Foodservice Management Company)

  • 박문경;조선경;차진아;양일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9권4호
    • /
    • pp.417-425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a) investigate operation of human resource in contract foodservice management company (CFMC), b) identify the staffing indices for the establishment an labor productivity for CFMC, and c) develop standardized model of staffing demand as foodservice's scale in CFMC.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FS intra-net system from 138 contract-managed foodservice operations in A CFMC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the SAS/win package (ver. 8.0) for description analysis, ANOVA, Duncan multiple comparison,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types of operation were included factory (45%), small scale operation (26%), office (11%), department store (10%), training institute (4%), and hospital (3%). The distribution of foodservice scale was classified by meal served was as follows; 'less than 500 meals (47%)', 'from 500 to 1500 meals (25%)', 'from 1500 to 2500 meals (17%)', and 'more than 2500 meals (12%)'. There was two types of contract method, fee-contract (53%) and profit-and-loss contract (46%) Some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high operation indices such as selling price, food cost, monthly sales, net profit and others were significantly low operation indices such as labor, meal time a day in the small foodservice on meal scale (p<.001). The more foodservice was large, the more human resource was disposed on dietitian, cook, cooking employee altogether (p<.001). Foodservice in A CFMC was divided into 2 groups by 500 meals a day, according to comparative analysis of labor productivity as meal scale per working hour, meal scale a day and operation indices as meal per foodservice employee, meal per cooking employee (p<.001). The regression equation model was developed as 'the number of employees=1.82+0.014 ${\times}$ meal served' in the operation of less than 500 meals, 'the number of employees=9.42+0.013 ${\times}$ meal scale a day -0.94 ${\times}$ meal scale per working hour' in the operation over 500 meal scale using labor productivity indices and operation indices. Therefore, CFMC could be enhanced efficiency of human resource arrangement using the standardized model of staffing demand and would be increased effectiveness of profit.

산모의 임신말기 영양상태와 임신 중 체중증가, 출생체중과 혈청 렙틴 농도와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Maternal Nutritional Status at the End of Pregnancy, and Correlation among Pregnancy Weight Gain, Birth Weight and Serum Leptin Levels)

  • 박진희;김승보;조금호;조여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9권5호
    • /
    • pp.467-475
    • /
    • 2006
  • The necessity of adequate pregnancy weight gain for optimal pregnancy outcome has been recognized. However, the specific components of pregnancy weight gain that might be critical for fetal growth and development have not been elucidated clear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pregnancy weight gain and birth weight with serum leptin levels in women delivered newborns. The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K university hospital. The subject's characteristic data (age $32.1\;{\pm}\;4.3\;y$, gestational age $39.5\;{\pm}\;1.1wk$, pre-pregnancy weight $58.0\;{\pm}\;8.6\;kg$, pregnancy weight gain $12.7\;{\pm}\;5.5\;kg$, newborn's birth weight $3.5\;{\pm}\;0.5\;kg$) were gathered. Maternal dietary assessment was carried out at the end of pregnancy. After delivery,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20 mother-newborn pairs. Serum levels of various lipids and leptin were analyzed. Maternal daily consumption of iron, zinc, folate were lower than the RDA of each nutrient and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was less than 1 showing that the quality of maternal diet was low. The levels of serum leptin of mothers and infants were $10.2\;{\pm}\;6.7\;ng/ml$ and $1.7\;{\pm}\;0.6\;ng/ml$, respectively. The serum leptin concentrations of male infants $(1.9\;{\pm}\;0.7\;ng\;ml)$ were not different from that of females $(1.7{\pm}0.5\;ng/ml)$. A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maternal pre-pregnant BMI and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r = -0.54, p < 0.05).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regnancy weight gain and the newborn's birth weight (r=0.59, p < 0.01 There were also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ewborn's birth weight and newborn's serum leptin levels (r = 0.57, p < 0.01). No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maternal serum leptin levels and that of newborn's. Efforts should be made to attain adequate diet and weight gain during the pregnancy to reduce the likelihood of low or over birth weight of newborns.

기주식물에 따른 목질진흙버섯의 일반성분(무기물) 함량변화 I (Component(mineral) difference of Phellinus linteus on cultured to timber)

  • 이수원;한기원;장원철;이대진;정동식;이영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00-104
    • /
    • 2005
  • 두 종류의 목질진흙버섯인 P. linteus와 P. baumii를 뽕나무, 참나무, 느릅나무등 3가지의 기주식물에서 자실체를 발생시켜 무기물의 함량을 ICP 법으로 측정하였다. 각각의 균주 및 기주식물에 따라 무기물의 커다란 함량 차이를 확인하였다. 다량 함유 무기물중 K은 두 균주 모두 가장 많은 무기물 함량을 보였으며 참나무에서 재배한 자실체의 K의 함량이 두배 정도 높았고 Ca은 뽕나무의 함량이 특히 높았다. Fe은 특히 느릅나무에서 재배한 자실체의 Fe 함량이 월등히 적게 함유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미량 함유 무기물은 Na에서 가장 주목할만한 결과를 확인하여 두 균주 모두 참나무에서 재배된 자실체의 Na 함량이 10배나 크게 함유되었다. 또한 P. linteus의 무기물 함량 특징은 극미량 원소중 Zn가 원목에 따른 함량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Mn의 함량 또한 참나무 재배 자실체에서 3배 정도 높게 함유되었다. 그리고 무기물만의 함량으로 P. linteus와 P. baumii를 구별하는데 Zn의 함량을 측정할 수는 있으나 Zn 만으로는 판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을수 있으나 형태적으로 P. linteus와 P. baumii의 자실체의 모양이 차이가 뚜렷한 차이를 보여 무기물의 함량을 측정하며 P. linteus와 P. baumii가 어떤 원목에서 재배되었는가를 판정할수 있는 자료로 연구의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 PDF

장애개념의 변화와 사회복지실천 현장 함의 (Changes in the Concept of Disability and its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 김용득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1권
    • /
    • pp.157-182
    • /
    • 2002
  • 본 연구는 세계적으로 변화해 가고 있는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검토하고, 이러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가 우리나라에서 장애인을 위한 사회복지실천 현장에 어떤 과제들을 요구하고 있는가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보편적인 차원에서 장애에 대한 사회적 반응에 따라 장애인에 대한 서비스 패러다임이 어떤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장애에 대한 사회적 반응 및 서비스 패러다임의 변화가 우리나라의 실천현장에 요구하고 있는 함의들을 모색한다. 장애인에 대한 20세기 이전의 사회적 반응은 사회적으로 부적합하며, 장애는 개인의 책임으로 생각하였다. 그러다가 20세기 중반기와 후반기를 거치면서 장애에 대한 사회적 책임이 중요하게 제기되었다. 이러한 장애에 대한 사회적 반응의 변화는 장애를 설명하는 개념적 모델에서도 변화를 초래하였는데, 이른바 개별적 모델에서 사회적 모델로의 변화이다. 또한 사회적 반응 및 개념적 모델의 변화는 세계보건기구의 장애정의 및 분류에 영향을 미쳐서 1980년, 1997년, 2001년에 걸쳐서 새로운 정의와 분류체계들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변화들은 장애인에 대한 사회복지서비스 패러다임의 변화와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흐름은 강점중심의 접근, 능력강화접근법, 사례관리, 자립생활모델 등을 통해서 설명된다. 장애에 대한 사회적 반응, 장애 개념, 서비스 패러다임의 변화는 동일한 방향으로 일관되게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일관된 변화에 대한 논의를 통해서 본 연구에서 제기하는 실천현장에서의 함의는 사정과정에서 장애 당사자의 참여 강화, 사회 환경적 관점을 강조하는 방향으로의 사정 도구의 재검토, 장애당사자의 자기결정능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정보제공 기능의 강화, 장애 당사자의 공식적 및 비공식적 원조망에 대한 지원 강화, 자조집단 프로그램의 강화, 배치모델에서 지원모델로의 전환 등으로 요약될 수 있다.

  • PDF

PHM 기술을 이용한 고속 EMU의 고장 예측 방법 연구 및 적용 (Research and Application of Fault Prediction Method for High-speed EMU Based on PHM Technology)

  • 왕해도;민병원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55-63
    • /
    • 2022
  • 최근 중국에서 중대형 도시철도의 급속한 발전으로 고속철도의 총 운행거리와 총 EMU(Electric Multiple Units) 수가 증가하고 있다. 고속 EMU의 시스템 복잡성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장비의 안전성과 유지보수의 효율성에 대한 더 높은 요구사항을 제시한다. 현재 중국의 고속 EMU의 유지보수 모드는 여전히 계획적인 유지보수 및 고장보수에 기반한 사후 유지보수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유지보수가 미흡하거나 과도하게 이루어지며, 장비 고장 처리의 효율성을 떨어뜨리고 유지보수 비용을 증가시킨다. PHM(진단 및 예측관리)의 지능형 운영 및 유지관리 기술을 기반으로 합니다. 본 논문은 고속 EMU의 서로 다른 시나리오의 다중 소스 이기종 데이터를 통합하여 "차량 시스템-통신 시스템-지상 시스템"의 통합 PHM 플랫폼을 구축하고, 장비 고장 메커니즘을 인공지능 알고리즘과 결합하여 고속 EMU의 트랙션 모터에 대한 고장 예측 모델을 구축한다. 고속 EMU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작동을 보장하기 위해 고장 예측 및 정확한 유지보수를 사전에 수행해야 한다.

캄보디아 가구의 취사용 연료 결정요인 분석 (Determinants of Household Cooking Fuel Choice in Cambodia)

  • 최시원;강성진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9권4호
    • /
    • pp.469-497
    • /
    • 2020
  • 취사용 청정연료의 접근성 및 사용을 확대하고자 하는 세계적인 관심과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전세계 인구의 약 1/3 이상이 청정 취사시설을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 그들은 전통적인 방식의 바이오매스, 즉 농작물, 가축분뇨, 목재 등을 취사용 연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건강 및 경제적 피해는 심각한 수준이다. 개발도상국의 취사용 연료 선택 및 전환을 이해하고자 하는 다수의 연구는 가구주의 특성을 주요 결정요인 중 하나로 다뤄왔다. 그러나 가구 내 의사결정은 가구주에 의해 독단적으로 수행되지 않으며 가구원 간의 상대적인 특성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본 연구는 가구주를 포함한 캄보디아 부부를 대상으로 남녀 배우자 각각의 특성을 모두 고려하여 취사용 연료 결정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근로활동, 교육 수준, 미디어 이용 빈도 등 남녀 배우자 간의 특성이 연료 결정에 미치는 영향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취사용 연료 결정요인을 분석하는 데 이전에 다뤄지지 않은 배우자의 특성을 고려한다는 점과 캄보디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를 찾아보기 어렵다는 점에서 캄보디아의 청정연료 확대를 위한 보다 정교한 정책 개발에 기여할 것이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