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th management

검색결과 15,382건 처리시간 0.038초

자가 건강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수지침요법을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 of a Database for Self Health Management - Focusing on the Soojichim (Koryo Hand Therapy) -)

  • 정혜명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95-206
    • /
    • 2006
  • Purpose: As Koryo Hand Therapy is generally referenced by a manual, we made a database system to ease. Method: Using the basic theory of Koryo Hand Therapy with the System Development Life Cycle (SDLC), we tested, analyzed,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system and constructed a database system with MS Access according to the symptoms. Results: We constructed the database system of Handing and the symptoms of Koryo Hand Therapy in 3 parts (Basic Data Management, Disorder Therapy Management, Report) for easy management. This database system will be useful for general users to protect, promote and measure their health. The structured database system was valued on the basis of the students basic knowledge of Koryo Hand Therapy. As a result, 80%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system is well structured", 78% that "it's convenient to search", and 87% that "it's helpful for self health management". Conclusion: These study results provides people with information on the basic treatment of symptoms for the self health protection and promotion with Koryo Hand Therapy by constructing a database.

  • PDF

헬스케어 데이터 기반의 개인 건강관리 데이터 서버 플랫폼 개발 (Development of personal health management data server platform based on health care data)

  • 박도영;송호준
    •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 /
    • 제10권1호
    • /
    • pp.29-34
    • /
    • 2022
  • 21세기 들어 발생하는 Covid 19 팬더믹과 같은 새로운 질병의 발현과 바쁜 현대인의 일상에 따른 건강 이상신호가 발생하는 일이 많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헬스케어 관리 및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건강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특히 환자 개인의 헬스케어 데이터 기반의 개인건강 관리 데이터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 건강 관리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자가 건강진단 및 해결을 위한 IT를 접목한 개인건강 헬스케어 플랫폼 개발과 인체에서 발생하는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플랫폼으로 전달하는 앱 개발을 통하여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현대인의 건강관리 뿐만 아니라, 발달장애인 및 의사표현이 어려운 취약계층의 심리정서 모니터링을 통한 심리정서 케어 지원 니즈를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개인의 건강 및 생활환경 데이터 전반을 통합하여 개인에게 최적화된 의료 및 건강관리 서비스를 개발하는데 목표를 두고 진행하였다.

중대재해처벌법의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요인과 건설업 사고지표의 연관성 분석 (Relationship Analysis of the Factors for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Stipulated in the Serious Disaster Punishment Act with Accident Statistics of Construction Industry)

  • 김판기;채희윤;김성일;정기효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4-50
    • /
    • 2022
  •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factors and health management systems based on accident statistic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stipulated in the Serious Disaster Punishment Act. To determine the level of safety achieved by companies through their health management system, the top 1000 construction firms in the country were surveyed online. Four hundred sixty companies responded to the survey by providing their statistics on major accidents (mortality, accidental mortality, and injury rates). Statistical tests showed that companies with a team dedicated to the oversight of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had fewer accidents than those without one. Factor and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three factors affected the mortality and accident rates: safety and health plan, safety and health professionals, and safety and health activities. Moreover, two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injury rate: safety management supported by a cooperative company and implementation of on-site safety and health activit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fundamental reference for further research and consultation on the formulation of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s for construction companies.

산후조리원의 표준화 관리 지침을 위한 연구 - 산모와 신생아 관리현황을 중심으로 - (A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Standardized Management Manuel in Sanhujoriwon - Centered on the Management of Women & Newborn -)

  • 정은실;유은광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301-313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frame for standardized manual for Sanhujoriwon by finding out the status of the management of women & newborn in Sanhujoriwon, like postpartum care center. The subjects were 95 staffs of 22 Sanhujoriwon agreed on oral consent, in Seoul and Bundang,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Sep. 15 to Oct. 24, 2001. The instrument used for this study was a structured questionnaire consisted of 16 items of general characteristics & educational characteristics about postpartum care, 31 items of degree of management of women's postpartum care (Cronbach's $\alpha$.93 ), 24 items of degree of management of newborn's care(Cronbach's $\alpha$.94 ), 10 items of methods of management of women's postpartum care, 8 items of methods management of newborn's care.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PC+ program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mean of the degree of management for postpartum women was 4.1. The mean score for the degree of management of general postpartum care for women was 4.00 & traditional postpartum care(Sanhujori) was 4.20. The degree of management of traditional postpartum care was higher than general postpartum care for women. 2. The degree of management for newborn : The mean score for the degree of management of newborn was 4.37. 3.There was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general postpartum care and traditional postpartum care($r=.744^{**}$), and postpartum mother care and newborn care($r=.798^{**}$). 4.The basic frame for the management of the women and newborn in Sanhujoriwon. 1) For women: Integrated postpartal care Physical management : Vital sign & BP check, contraction of uterus, form and amount of lochia, management of personal hygiene, management of breast & breast-feeding, management of postpartum exercise, prevention of infection, symptom & sign of high risk and prevention & management of high risk condition; Emotional-psychological management: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mother-baby attachment, emotional state; Educational management : education of vaccination schedule, urinary incontinence, rearing infant, breast-feeding ;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 temperature, humidity, disinfection, cleaning, light, infection control integrated with 6 principles of Sanhujori. 2) For newborn Physical management : check of vital sign, management of umbilical cord, jaundice, prevention of infection, management of diaper rash; Emotional-psychological management : assessment of sleep, crying, activity, response of mother-baby attachment;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 temperature, humidity, disinfection, cleaning, light, infection control integrated with 6 principles of Sanhujori. In conclusion Sanhujoriwon must be health care center for the postpartum women and newborn. Therefore, the establishment of various laws and regulations in such a way to meet the realistic needs of Sanhujoriwon as a health care center for women and infants future health should be done. The standardized management manual based on the results is absolutely required above all.

  • PDF

해방 이후 우리나라 산업보건관리에 관한 문헌분류 및 연구동향 (Trends of Study and Classification of Reference on Occupational Health Management in Korea after Liberation)

  • 하은희;박혜숙;김영복;송현종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8권4호
    • /
    • pp.809-844
    • /
    • 1995
  • 산업보건관리영역의 범위를 정하고 이를 분류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저자들이 정의한 산업보건관리영역의 범위에 따라 분류하고 이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의견수렴과정을 거쳐 재분류하였다. 이를 토대로 해방 이후 우리나라의 산업보건관리문헌을 분류하여 연구동향을 파악하고자 정기간행물기사색인에 수록된 21종의 문헌을 분석하였으며 산업보건관리내용에 대한 우선순위 및 향후 산업보건관리 연구 방향을 조명함으로써 앞으로 산업보건관리의 방향설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산업보건을 전공하고(71.6%) 있었고, 대학에서 근무하고 있었으며(68.3%), 남자가 많았고 연령은 40세 이상이었다. 산업보건관리영역의 분류에 대찬 의견으로는 분류가 필요하다는 찬성의견이 70.0%였고 반대의견은 100.0%였다. 2. 응답자들의 의견수렴을 거쳐 재분류한 산업보건 관리영역을 크게 산업보건사법과 산업보건사업을 지지해 주는 산업보건관리체계 및 이를 평가하는데 도움을 주는 여러 가지 방법론들로 구분하였다. 3. 산업보건관리 문헌 총 510편을 연도별로 살펴본 결과 연도별로 서서히 증가하다가 1986년 이후에 급격 히 증가하고 있었으며, 학술지별 분포는 대한산업의학회지(18.2%), 한국의 산업의학(15.1%), 예방의학회지(15.1%)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 내용별로는 산업보건관리체계에 대한 연구는 33편(6.5%)에 지나지 않았으며 산업보건사업에 대한 연구가 477편(93.5%)으로 주를 이루고 있었다. 산업보건관리체계에 대한 연구는 산업보건자원체계에 대한 연구가 15편(45.5%), 산업보건재원조달체계 8편(24.2%), 산업보건관리운영체계 6편(18.2%), 산업보건조직체계 3편(9.1%), 산업보건서비스전달체계 1편 (3.0%)의 순이었으며 산업보건사업에 대한 연구는 질병관리 269편(57.2%),보건관리 116편(24.7%),작업환경관리 85편(18.1%)으로 질병관리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대상별로는 일반근로자 대상이 185편(71.1%)으로 가장 많았으며 여성근로자, 전문직, 서비스근로자 순이었다. 4. 산업보건관리내용의 우선순위에 대한 의견으로는 산업장근로자들에 대한 건강관리, 작업환경관리, 보건교육 등의 산업보건사업이 가장 필요하다고 하였고 다음으로는 산업보건인력에 대한 교육훈련 및 직무내용, 성인병 및 직업병 의뢰체계, 산업보건조직 등에 관한 산업보건의료체계에 관한 분석 등을 순위로 제시하였다. 5. 산업보건관리영역의 향후 연구방향에 대하여 병의 응답자가 48건의 의견을 제시하였으며 산업보건사업에 관한 실제적인 연구가 31.3%로 가장 많았으나 조직, 체계에 대한 연구(27.1%), 정보망구축에 관한 연구(8.3%) 등 산업보건체계에 관한 연구도 필요하다고 하였다. 건강진단에 대한 비용-편익분석 (10.4%), 산업보건사업평가(4.2%), 유해물질폭로평가(2.1%), 노동조건에 관한 연구(6.2%)등 다양한 새로운 분야의 연구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해방 이후 우리나라의 산업보건관리에 관한 연구는 1945년부터 서서히 증가하다가 1986년 이후부터 활발히 진행되어졌고, 대부분의 연구가 산업보건사업에 치중되어 있으며 산업보건관리체계에 대한 연구는 미약함을 알 수 있었다 산업보건사업에 관한 연구의 대부분도 직업병 실태와 건강관련행태 및 실태를 파악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며 산업보건관리체계의 경우도 대부분 인력의 실태 파악에 그치고 있어 산업장에서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현실에 비추어볼 때 산업보건사업에 관한 연구는 계속적으로 활발히 이루어져야 하며, 이와 더불어 산업보건관리체계 및 근로자참여, 경제성분석, 보건사업 후 평가, 연구방법론(역학연구)등의 연구들도 산업보건관리의 중요한 부분으로서 향후 보다 더 적극적으로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 PDF

건강보험 40년 성과와 과제 (Achievements and Challenges of 40th Anniversary Health Insurance)

  • 이규식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03-113
    • /
    • 2017
  • There have been many achievements for 40 years since the introduction of compulsory health insurance. Despite many achievements, it has many challenges in health insurance. Aging, non-communicable disease, and low growth economy are threatening the sustainability of health insurance, and it is time to reform the health insurance. A long-term reform plan will be an absolute necessity for reform of health insurance and health care system. Health insurance and health care reform should be an extremely revolutionary content that completely changes the framework. This reform should deal with the philosophy of health, approach of medical education and doctor training, changing supply of medical service, the innovation of primary medical care, reform of public health system, the management of medical utilization, the integration of medical cure and care services, enhancing the benefit coverage, prohibition of covered and non-covered services, etc. Therefore, it is urgent to form a consensus on the necessity of reform, to establish the health insurance plan on this consensus, and to make efforts to make health insurance sustain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