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th education Successful aging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2초

임상간호사의 성공적 노후인식, 퇴직에 대한 태도 및 노후대책 (Attitudes toward Aging and Retirement Planning of Clinical Nurses)

  • 이민숙;이지현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29-141
    • /
    • 2013
  • Purpose: This study examine the relationships retirement plans,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and attitude toward retirement nurse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200 nurses at two hospitals in C City. The data collection period from Nov. 1 to Dec. 31, 2011. Results: The degree of retirement significant according to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dependent, duration of employment, shift, department, annual salary. he degree of economic retirement pla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dependent home, duration of employment, department, annual salary. he degree of physical retirement pla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marital status, dependent, department. The degree of emotional retirement pla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department. Conclusion: mprove the retirement of clinical nurse, we need a systematic based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성공적 노후 교육프로그램의 수요도 및 효과성에 대한 실증적 연구 (Empirical Study on the Needs and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al Program for Successful Aging)

  • 정종보;임왕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335-351
    • /
    • 2011
  • 본 연구는 성공적 노후 교육에 대한 노인들의 수요도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성공적 노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성을 평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우선 166명의 광주지역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교육수요도를 파악한 결과, 대다수의 응답자들이 성공적 노후를 위한 노후생애설계교육을 희망하고 있으며, 교육내용의 측면에서는 성공적 노후 이해, 건강관리, 재무, 사회참여, 여가, 관계, 자아정립, 실천계획수립의 각 영역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조사결과에 근거하여 노인들의 욕구에 부합하는 성공적 노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34명의 교육프로그램 지원자들을 대상으로 교육프로그램을 시행하여 교육내용 이해도의 측면에서 이 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본 교육프로그램은 교육내용 이해도의 측면에서 노년기변화, 성공적 노후 이해, 건강관리, 재무, 사회참여, 여가, 관계, 자아정립, 실천계획수립에 대한 이해도를 뚜렷하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성공적 노후 교육프로그램을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들을 대상으로 우선 실시를 제안하였다.

노인의 죽음준비도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 -우울 및 죽음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ath Preparation of the Aged and Successful Aging -Focusing on Depression and Death Anxiety as Mediators-)

  • 문남숙;남기민
    • 한국노년학
    • /
    • 제28권4호
    • /
    • pp.1227-1248
    • /
    • 2008
  • 본 연구는 노인의 죽음준비도를 독립변수로, 노인의 우울 및 죽음불안을 매개변수로, 노인의 성공적 노화로서 자아통합감을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청주시에 거주하는 만 60세 이상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연구변수들의 차이를 검증하고 이들 변수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해 봄으로써 성공적인 노후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죽음준비 및 건강한 노후생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분석결과 연구문제에 따라 첫째, 학력, 건강상태, 경제수준, 외부활동량에 따라서는 연구변수들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정신적 죽음준비도는 성공적 노화로서의 자아통합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노인의 의례적 죽음준비도는 성공적 노화로서 자아통합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정신적 죽음준비도가 성공적 노화로서의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을 노인의 우울 및 죽음불안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이비붐세대의 자녀돌봄부담감, 노화불안, 노후준비 및 삶의 질 (Baby Boom Generation's Burden for Taking Care of Children, Aging Anxiety, Preparations for Old Age and Quality of Life)

  • 김정선;강숙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40-452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use in development of strategy for healthy aging preparation and successful transfer to old age by identifying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of the baby boom generation.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205 members of the baby boom generation(aged 48 to 56), and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Version19.0) program. Results: Burden for taking care of children, aging anxiety, preparations for old age,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commonl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 level and presence of stress. The greater the more burden for taking care of children and the deeper the aging anxiety, the lower the quality of life, and the better prepared for aging, the higher the quality of life.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in the baby boom generation included preparations for old age, burden for taking care of children,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quality of sleep. Explanatory power was 32%. Conclusion: For successful transition to old age and for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in the baby boom generation, a comprehensive approach in micro and macro dimensions will be sought.

미취업 노인의 건강 개선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 탐색 (Exploring a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 Program for Health Improvement of the Unemployed Elderly)

  • 박혁;김가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428-435
    • /
    • 2017
  • 본 논문은 취업이 노인의 건강상태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는데 착안하여, 건강상의 이유로 취업하지 못한 대다수의 노인에게 취업자와 동등한 건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건강 개선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시행되었다. 따라서 취업한 노인의 건강상태를 미취업자 노인과 비교해보고 이를 바탕으로 미취업자에게 시행되어야 할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을 설정하여, 향후 건강에 관련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이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영양 상태와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차원에서 취업자가 더 긍정적인 건강 상태를 보였으며 인지력 (지남력, 주위집중, 일상인지)과 삶의 만족도 부분에서 취업자가 더 활성화 되어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안전교육과 건강습관 개선교육, 인지활성화를 통한 수행능력 개선 교육, 사회적 교류 제공을 통하여 미취업자 노인의 건강상태를 발전시키고자 하였으며, 여가적 차원에 머물러 있는 노인 평생교육프로그램의 전문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프로그램은 미취업 노인들이 성공적 노화의 핵심인 취업과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교육을 통하여 다양한 사회적 상호작용의 기회 등을 제공받아 건강을 유지하게 함으로 노인들의 삶의 질을 큰 폭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이며, 더 나아가 추후에 노인들의 사회적인 역할을 넓힐 수 있는 밑바탕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서울지역 일부 노인집단에 대한 만성질환관리 교육의 효과 (The Effects of Education of Chronic Diseases Management for the Elderly Group in Parts of Seoul)

  • 장현숙;이세영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57-172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health-behavioral change for the elderly group after community based education of chronic diseases management. We measured self recognition of health status, medication administration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regular check for blood pressure and blood sugar level, recognition of body indicators (weight, hight, blood pressure, blood sugar etc), knowledge level for chronic diseases management and smoking and alcohol habitation before and after education of chronic diseases management for participa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 of 432 people with community-dwelling Seoul citizen being active churches. Education programs designed essential parts of fundamental chronic diseases management, physical exercises for health promotion, diet and nutrition etc. All data collection completed for 5 months from Aug. 2008 to Dec. 2008 by trained surveyors via interview survey. The data obtained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Wilcoxon Singed Rank test, McNemar test and Paired t-test. The results showed that self recognition of health status, knowledge level for chronic diseases management, recognition of body indicato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education of chronic diseases management. Also, blood pressu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ecreased in elderly with hypertension and blood suga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ecreased in elderly of high-risk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preventive education policy of chronic diseases management should be considered with priority coming true for successful aging society.

노인의 비동거 자녀와의 결속력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lidarity with Non-Cohabiting Children of the Elderly on Successful Aging)

  • 이수진;홍소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47-56
    • /
    • 202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이차자료분석 연구이다. 2018년 제7차 고령화연구패널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65세 이상의 노인 중 비동거 자녀가 1인 이상이고 연구 변수에 결측치가 없는 4,10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빈도분석, 교차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노인의 성공적인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배우자 유무, 교육 수준, 주거 형태, 주관적 건강, 운동, 음주, 비동거 자녀와의 비대면 접촉 빈도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24.1%였다. 자녀 결속을 중심으로 노인이 성공적 노화를 영위하기 위해서는 자녀가 가까이 살고 자주 만나는 것보다 노인의 삶의 위로가 되고 관계의 연속으로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비대면 연락 빈도가 중요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코로나19(COVID-19) 감염 우려로 인해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있는 노인들의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다양한 전략이 필요하다.

웰에이징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성인 생애주기별 교육 요구도 분석 (Analysis of Educational Needs by Adult Life Cycle for Well-aging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 구진희;임효남;김두리;강경희;김설희;김용하;이종형;안상윤;김광환;송현동;황혜정;김문준;박아르마;조지용;장경희;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257-26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신체적, 정신적, 사회경제적 측면의 웰에이징 교육 요구를 분석하여 웰에이징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한다. 조사도구는 웰에이징에 관한 인식과 신체적, 정신적, 사회경제적 측면의 웰에이징 교육 요구를 알아보기 위한 문항으로 제작되었다. 2021년 2월 한 달 동안 한국갤럽의 온라인·모바일 조사를 통해 만 19세 이상 성인 1949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웰에이징 교육 요구를 분석하기 위해서 기술통계분석, 분산분석, Borich 요구도 분석 및 IPA분석이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웰에이징을 위한 교육 요구도의 전체 우선순위로 보았을 때 경제력, 운동, 만성질환관리 등이 높게 나타났으며, 교육 요구도가 낮은 순으로는 감염질환관리, 자립심, 사회적 책임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경제력은 전체 응답자의 82.4%에 해당하는 중년기(35~49세)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교육 요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중년기에서는 운동과 만성질환관리의 교육 요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 생애주기별 웰에이징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웰에이징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플랫폼을 구축하는데 실증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고령 사회에서 자립적인 노후생활 준비교육을 위한 중등 가정교육의 역할 (The Role of Secondary Home Economics Education to Prepare the Elderly for an Independent Life in an Aged Society)

  • 조병은;이종희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1권6호
    • /
    • pp.591-602
    • /
    • 2013
  •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role of the home economics subject in helping high school students preparing for an independent aged life and to develop problem based teaching plans toward this goal. Contents related to the elderly in the high school home economics and technology 2007 and 2009 revised curricula were analyzed, and elderly-related contents in other subject areas (the 2009 revised curricula of ethics, public health, and social studies) were also comparatively analyz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f the home economics subject in relation to preparation for independent aging. Based on these analysis, five subjects and teaching plans were presented: the aging society and population chang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individual preparation for aging, care of the elderly, and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The ultimate objectives of the lessons were, through critical reasoning, to inquire into the causes of current problems the elderly face so that teenagers can understand aging societies and the elderly and to seek reasonable alternatives for teenagers as they prepare for successful and independent aging, increasing their problem-solving abilities in choosing the best course of action by considering the ripple effect of consequences of each of those alternatives. Suggestions on what direction elderly-related education should take in the future, and what roles teachers should take are also provided.

다층모형 분석을 활용한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 지표들의 변화궤적 연구: 남녀 차이 검증을 중심으로 (Gender Differences in Trajectories of Successful Aging Indicators: Findings from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 이현엽;이혜수
    • 한국노년학
    • /
    • 제39권4호
    • /
    • pp.977-99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다층모델(Multilevel modeling) 분석을 통해, 노년기 연령 증가에 따른 9개의 성공적 노화지표들(만성질환의 개수, 우울증, 일상생활 능력, 도구적 일상생활 능력, 인지기능, 사회경제적 활동 참여, 이웃과의 접촉 빈도, 건강에 대한 주관적인 만족도, 삶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의 개인 내 변화궤적을 분석하고, 이러한 변화에 있어 학력의 효과를 통제한 후 남녀 간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연구 변수들은 고령화 연구 패널조사를 통해 수집된 1차 년도(2006년) ~ 6차 년도(2016년) 자료에서 도출되었으며, 65세 이상(2006년 기준) 노인인구 중 여섯 번의 패널조사에서 모두 응답한 2,058명(남성: 822명, 여성: 1236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65세 때에 남성 노인은 여성 노인보다 낮은 만성질환의 개수와 낮은 수준의 우울증상, 높은 일상생활 능력, 높은 인지기능, 활발한 사회경제적 활동 참여, 높은 주관적인 건강 및 삶의 만족도를 나타냈다. 그러나 65세 이후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남녀 모두 신체적, 인지적 기능은 감소하고 만성질환의 개수 및 우울증은 증가하였으며, 사회적 활동의 참여가 줄어들고, 개인의 건강과 삶에 대한 주관적인 만족도도 전반적으로 감소하였다. 대부분의 성공적 노화 지표들은 비선형의 변화를 나타냈으며 특히 70대 중반 이후부터 현저하게 증가 또는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들의 건강한 삶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정책 및 보건적 개입이 70대 중반 이후부터 더 심도 있게 진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