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th beneficial effects

검색결과 739건 처리시간 0.029초

약용식물 추출물이 흰쥐의 뇌혈류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dicinal Plant Extract on the Change of Cerebral Hemodynamic in Rats)

  • 박성진;함태식;김천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506-510
    • /
    • 2010
  • 본 연구는 뇌혈관성 질환의 예방을 위한 양생약선으로의 활용을 위한 약용식물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계획되었고 문헌상의 기록을 바탕으로 한 약용식물의 여러 기능 중 혈류 및 혈압 개선 효과에 중점을 두고 그 기능을 과학적으로 확인하여 보고자 하였다. 흰쥐를 대상으로 LDF를 이용하여 약용식물 추출물이 국소 뇌혈류량과 혈압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추출물을 여러 농도로 투여 시 국소 뇌혈류량은 증가되었다. 추출물이 국소 뇌혈류량을 증가시키는 기전을 확인하기 위해 atropine, L-NNA, methylene blue, indomethacin을 전 처리한 후 추출물을 투여하였을 때는 국소 뇌혈류량에 유의한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으나 propranolol을 전 처리한 후 추출물을 1.0 mg/kg 농도 이상으로 투여했을 때는 국소 뇌혈류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추출물을 여러 농도로 투여 시 혈압은 감소되었다. 추출물이 혈압의 변화를 초래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atropine, L-NNA, methylene blue, indomethacin을 전 처리한 후 추출물을 투여하였을 때는 혈압변화에 유의한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으나, propranolol을 전 처리한 후 추출물을 1.0 mg/kg 농도 이상으로 투여했을 때는 혈압이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과에서 약용식물 추출물은 뇌혈류량을 증가시키고 혈압을 강하시키는 작용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그 기전은 교감신경 $\beta$ 수용체의 활성을 변화시킴으로써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연구의 목적인 약선식으로의 활용에 있어 원재료로 사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며 완제품에 대한 영양성분 및 유효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때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만성뇌졸중 환자에 시각적 되먹임 트레드밀 보행 훈련이 보행과 균형 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readmill Gait Training Accompanied by Visual Feedback on the Gait and Balance of Chronic Stroke Patients)

  • 김지선;안진환;이현희;박효정;기경일
    • PNF and Movement
    • /
    • 제15권2호
    • /
    • pp.133-140
    • /
    • 2017
  • Purpose: This study compares the effects of treadmill gait training accompanied by visual feedback and general treadmill gait training on the gait and balance ability of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Methods: A total of 11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were randomly divided into either the treadmill gait training accompanied by visual feedback group (six patients) or the general treadmill gait training group (five patients). The gait and balance ability of the two group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s using the functional reach test, the Timed Up and Go (TUG) test, Berg's balance test, and the Biodex balance test. The treadmill gait training accompanied by visual feedback group performed the exercise under the supervision of a therapist after first being provided with a hat and a goal that was devis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visual feedback information. The interventions were applied to the respective groups for four weeks.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we conducted a Mann-Whitney test to compare the results between the two groups. Additionally, the Wilcoxon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results from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in each group. Results: The treadmill gait training accompanied by visual feedback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the functional reach test after the intervention when compared to the general treadmill gait training group (p<0.05).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treadmill gait training accompanied by visual feedback group showed a larger improvement in the TUG test, Berg's balance test, and the Biodex balance test than the general treadmill gait training group (p>0.05).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readmill gait training accompanied by visual feedback can be used as a beneficial intervention scheme for the recovery of the gait and balance ability of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Metallic Nanoparticles in an in Vitro Breast Cancer Model

  • Loutfy, Samah A;Al-Ansary, Nadia A;Abdel-Ghani, Nour T;Hamed, Ahmed R;Mohamed, Mona B;Craik, James D;Eldin, Taher A. Salah;Abdellah, Ahmed M;Hussein, Yassmein;Hasanin, MTM;Elbehairi, Serag Eldin 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4호
    • /
    • pp.6039-6046
    • /
    • 2015
  • Aims: To investigate effect of metallic nanoparticles, silver (AgNPs) and gold nanoparticles (AuNPs) as antitumor treatment in vitro against human breast cancer cells (MCF-7) and their associated mechanisms. This could provide new class of engineered nanoparticles with desired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ay present newer approaches for therapeutic modalities to breast cancer in women. Materials and Methods: A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 (MCF-7) was used as a model of cells. Metallic nanoparticles were characterized using UV-visible spectra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Cytotoxic effects of metallic nanoparticles on MCF-7 cells were followed by colorimetric SRB cell viability assays, microscopy, and cellular uptake. Nature of cell death was further investigated by DNA analysis and flow cytometry. Results: Treatment of MCF-7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5-10nm diameter of AgNPs inhibited cell viabil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with IC50 value of $6.28{\mu}M$, whereas treatment of MCF-7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13-15nm diameter of AuNPs inhibited cell viabil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with IC50 value of $14.48{\mu}M$. Treatment of cells with a IC50 concentration of AgNPs generated progressive accumulation of cells in the S phase of the cell cycle and prevented entry into the M phase. The treatment of cells with IC50 concentrations of AuNPs similarly generated progressive accumulation of cells in sub-G1 and S phase, and inhibited the entrance of cells into the M phase of the cell cycle. DNA fragmentation, as demonstrated by electrophoresis, indicated induction of apoptosis. Conclusions: Our engineered silver nanoparticles effectively inhibit the proliferation of human breast carcinoma cell line MCF-7 in vitro at high concentration ($1000{\mu}M$) through apoptotic mechanisms, and may be a beneficial agent against human carcinoma but further detailed study is still needed.

Bacillus sp. GJ-1의 Phytophthora capsici에 대한 항진균활성 (Antifungal Activity of Bacillus sp. GJ-1 Against Phytophthora capsici)

  • 이건주;한준희;신종환;김흥태;김경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12-117
    • /
    • 2013
  • Phytophthora capsici는 고추에 역병을 일으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피해를 주는 대표적인 식물병원균이다. 최근 환경문제로 화학 농약을 대체하여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방제가 가장 바람직한 방제 방법으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추역병에 피해를 보이지 않는 건전한 고추재배지 근권에서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토양근권세균을 분리하였다. 총 360여점의 미생물 콜로니를 분리하였으며, 이들 콜로니의 색깔과 모양 등의 형태학적 특징을 기준으로 총 12개의 그룹으로 재분류하였다. 그 중 항균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in vitro 실험에서 고추역병균에 길항효과를 보인 GJ-1, GJ-11, GJ-12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길항효과가 없는 균주 2개(GJ-4, GJ-5)를 대조군으로 선발하였다. 선발된 5균주에 대하여 sidero-phore의 활성을 검정한 결과 GJ-1과 GJ-5 두 균주가 CAS 배지에서 orange halo zone을 크게 형성하여 siderophore를 많이 분비하는 균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토양중의 난용성 인산염을 가용화시켜 식물의 생장촉진효과를 보이는 phosphate solubilization 활성을 검정한 결과 GJ-1, GJ-5, GJ-12 균주가 난용성 인산염에 대한 분해능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P. capsici에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며 siderophore를 생산하고 인산가용화 능력이 뛰어난 유용미생물 GJ-1을 최종적으로 선발하였다. 최종 선발된 GJ-1균주를 동정하여 Bacillus sp.로 명명하였다. Bacillus sp. GJ-1의 길항작용은 Rhizoctonia solani, Pythium ultimum, Fusarium solani에 대한 식물병원성 진균에서도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Bacillus sp. GJ-1은 생물학적 방제제로 고추역병균을 포함하여 다른 토양 식물병원성 진균 방제에 이용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심장수술시 심폐기 충전액에 첨가된 저용량 aprotinin의 효과 (Effect of Low Dose Administration of Aprotinin in Pump Priming Solution on Cardiac Surgery)

  • 문성민;최석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15-521
    • /
    • 2007
  • Serine protease 억제약물인 aprotinin은 체외순환을 동반한 심장수술 후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혈액성분 손상을 포함한 유해한 합병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그러나 이 약물의 용량이나 사용법에 대해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 본 연구자들은 심장수술 동안 심폐기 충전액에 저 용량의 aprotinin을 투여하여 그 효과를 연구하였다. 30명의 성인 심장수술 환자들을 대상으로 aprotinin 투여군(n=15)과 대조군(n=15)으로 나눈 뒤 수술 전, 동안, 후의 시기에 혈액학적 및 생화학적 변수들, 사이토카인 및 심장 표지자, 수술 후 각종 임상결과들을 비교분석 하였다. 혈소판수와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은 수술 후 24시간 때 아프로티닌군이 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Troponin-I 농도와 수술 후 출혈량은 아프로티닌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이러한 결과들을 볼 때 심장수술시 저 용량의 aprotinin을 심폐기 충전액에 첨가하는 방법은 혈소판의 파괴를 줄여줘 수술 후 출혈량의 감소를 제공해주며 심근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더 많은 성인 환자군과 소아환자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더 많이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전통주인 막걸리로부터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B-134의 gamma-aminobutyric acid (GABA)의 생산 (Production of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y 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B-134 Isolated from Makgeolli, Traditional Korean Rice Wine)

  • 이현주;손재영;이상재;이한승;이배진;최인순;손재학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67-574
    • /
    • 2017
  • 본 연구는 막걸리로부터 ${\gamma}$-amino butyric acid (GABA) 생성 유산균을 분리 및 동정하고 최적 GABA 생산조건을 확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막걸리로부터 64균주의 유산균은 MRS 배지에서 성장된 집락의 색과 모양의 특성에 따라 분리하였다. 분리균주의 GABA 생산은 1% MSG가 첨가된 MRS 액체배지에서 배양하여 TLC와 HPLC 방법에 의해 평가되었다. B-134 균주는 GABA생성을 위한 우수균주로 선발하였다. 16S rRNA 유전자 및 glutamate decarboxylase B (gadB) 유전자의 염기서열분석을 통하여, B-134 균주는 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B-134 균주로 명명하였다. GABA 생성을 위한 온도, pH, NaCl 및 MSG 농도를 달리하여 최적배양조건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B-134 균주의 최적배양 조건은 온도 $37^{\circ}C$, pH 5.7, NaCl 농도 0% (w/v), 그리고 MSG 농도 3% (w/v)로 결정되었으며 본 조건에서 48시간 배양시 25 mM의 GABA를 생산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B-134 균주는 GABA함유 건강기능식품개발을 위한 유용한 균주로 판단된다.

식용버섯 중 식이 섬유소의 함량 측정 (Determination of Dietary Fiber Contents in Mushrooms)

  • 임수빈;김미옥;구성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69-76
    • /
    • 1991
  • 6종류의 식용 버섯에 함유되어 있는 dietary fiber를 Southgate방법, NDF방법, FRI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식용 버섯 중에 함유되어 있는 dietary fiber를 Southgate방법, NDF방법, FRI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는 각각 $20.08\pm1.45g$/100g dry weight, $20.24\pm1.85g$/100g dry weight, $27.5\pm2.7g$/100g dry weight이었고, 세가지 실험 방법간의 측정치 차이를 보면, 대체로 Southgate방법과 NDF방법과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던 반면, FRI방법과는 유의적인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버섯중의 dietary fiber성분 비율은 Southgate방법에 의 한 water-soluble fiber성분이 1.7~3.1%, hemicellulose가 47.0~66.6%, cellulose가 28.4~57 7%, lignin 0.9~3.3%였고, NDF방법에 의해 측정한 hemicellulose는 61.8-79.1%, cellulose는 5.4~32.7%, lignin은 4.5~15.5% 였다. 일반적으로 버섯류의 dietary fiber성분은 hemicellulose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cellulose가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Dietary fiber와 crude fiber의 함량비 (DF/CF)는 2~4배 정도로 dietary fiber가 높았다.

  • PDF

감귤과육 및 과피의 식이섬유와 플라보노이드 검색 및 정량 (Identification and Determination of Dietary Fibers and Flavonoids in Pulp and Peel of Korean Tangerine (Citrus aurantium var.))

  • 은종방;정영민;우건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71-377
    • /
    • 1996
  • 감귤류에 존재하는 플라보노이드는 항알러지성, 항염성, 항바이러스성, 항암성 등의 활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감귤 유래 식이섬유도 다양한 생리조절 기능때문에 기능성 식품소재로 이용되어 왔다. 한국산 조생종 감귤의 과육과 과피에 나린진과 헤스페리딘이라는 두종류의 플라보이드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과육부의 나린진과 헤스폐리던 함량은 각각 100g 당 2.95 mg, 6.53 mg이었으며, 과피에서는 과육부보다 함량이 높아 10.77mg, 38.90mg으로 나타났다. 과육부의 가용성 식이섬유, 불용성 식이섬유, 총식이섬유량은 신선물 기준으로 1.90%, 0.37%, 2.27%이었으며, 과피에는 각각 1.09%, 4.77%, 5.86%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총펙틴 함량은 과육에 1.53%, 과피에 0.94%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야생산사(Crataegus pinnatifida Bunge)과육 용매별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Impact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from Wild Haw(Crataegus pinnatifida Bunge) Pulpy on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 ;김민아;성종환;이영근;김동섭;정헌식;김한수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92-399
    • /
    • 2014
  • 산사에 함유되어 있는 생리활성 물질의 특성을 알아보고 70% methanol, 70% ethanol, chloroform:methanol(CM, 2:1, v/v), n-butanol 및 ethyl acetate(EA)의 5가지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의 용매별 항산화 활성 측정을 통하여 산사의 항산화 활성 및 천연 기능성 식품 재료로서의 가치를 검토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산사 과육의 total phenol 함량은 70% methanol, 70% ethanol, CM, EA, n-butanol 추출물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70% methanol 및 70% ethanol 추출물은 각각 71.46 mg/g, 70.41 mg/g의 높은 함량을 보였다. Total flavonoid 함량은 CM(1.63 mg/g), n-butanol(1.59 mg/g), 70% methanol(1.26 mg/g), 70% ethanol(1.26 mg/g) 및 EA(1.12 mg/g) 순으로 높게 측정되었다. $NO_2$ radical 소거 활성은 total phenol 함량과 동일한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beta}$-carotene에서의 항산화 활성은 70% methanol, 70% ethanol, n-butanol, CM, EA 추출물,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 활성은 70% methanol, 70% ethanol, CM, n-butanol, EA 추출물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70% methanol 및 70% ehtnaol 추출물에서 활성이 높게 측정되었으며, 이는 산사 속에 함유되어 있는 total phenol 및 flavonoid와 같은 항산화 성분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며, 특히 total phenol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산사는 항산화제 및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Inhibitory Effects of Panaxatriol from Panax ginseng C. A. Meyer on Phosphoinositide Breakdown Induced by Thrombin in Platelets

  • Park, Kyeong-Mee;Rhee, Man-Hee;Shin, Han-Jae;Song, Yong-Bum;Hyun, Hak-Chul;Park, Ki-Hyun;Cho, Hyun-Jeong;Choi, Sun-A;Kang, Hyo-Chan;Kim, Kyoung-Jin;Kim, Hyeong-Soo;Kang, Hee-Jin;Ok, Woo-Jeong;Lee, Dong-Ha;Park, Hwa-Ji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2권2호
    • /
    • pp.107-113
    • /
    • 2008
  •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e effect of panaxatriol (PT) on phosphoinositides (PIS) breakdown and $Ca^{2+}$-elevation in thrombin-induced platelet aggregation. Thrombin (5U/ml), a potent platelet agonist which activates phospholipase $C_{\beta}$ via protease activated receptor (PAR), hydrolyzed PIS in platelet membrane. The phosphatidylinositol 4, 5-bisphosphate $(PIP_2)$ was hydrolyzed after 10 sec of the thrombin-stimulation, and both the phosphatidylinositol 4-monophosphate (PIP) and phosphatidylinositol (PI) were brokendown after 30 sec of the thrombin-stimulation. However, PT inhibited the thrombin-stimulated hydrolysis of $PIP_2$, PIP, and PI. On the other hand, thrombin increased the level of phosphatidic acid (PA) which is phosphorylated from diacylglycerol (DG) generated by PIS-hydrolysis. However, Pr inhibited the thrombin-increased PA level non-significantly. Thrombin increased cytosolic free $Ca^{2+}([Ca^{2+}])_i$) up to 72% as compared with control $(30.8{\pm}0.9 nM)$ in intact platelet. However, PT (100 ${\mu}g/ml$) inhibited the thrombin-elevated $[Ca^{2+}]_i$ to 100%. These results suggest that PT may have a beneficial effect on platelet aggregation-mediated thrombotic disease by inhibiting thrombin-induced platelet aggregation via suppression of the $[Ca^{2+}]_i$ level and PIS breakdow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