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th - Promoting Behavior

검색결과 551건 처리시간 0.033초

중년여성의 운동참여 촉진을 위한 향유방식: 긍정심리학의 향유 이론을 중심으로 (The Ways of Savoring for Promoting Exercise Participation in Middle-aged Women: Focused on Savoring theory in Positive Psychology)

  • 권오정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8권3호
    • /
    • pp.123-141
    • /
    • 2019
  • 본 연구는 긍정심리학의 향유이론을 바탕으로 중년여성의 신체활동 향유방식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1단계로 운동참여경험에 대한 배경을 이해하고 향유방식에 대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오리엔테이션을 진행하였다. 2단계로 개방형설문을 통해 운동 시 활용하는 향유방식을 수집한 뒤 심층면담을 통해 향유방식을 구체화하였다. 수집된 원자료는 긍정심리학의 향유방식을 토대로 유목화 하였으며, 각 방식의 사례를 구체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개방형설문 결과 중년여성들은 신체활동 시 타인과 공유하기, 자축하기, 비교하기, 세밀하게 감각 느끼기, 축복으로 여기기, 행동으로 표현하기 등의 향유방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탐색되었다. 심층면담을 통해서 각 향유방식의 사례를 긍정심리학의 향유이론을 기반으로 구체화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년여성의 운동지도 현장에서의 향유방식 적용 가능성, 향유하기 관련 프로그램 개발 가능성 등을 논의하였다.

Comparison of laxative effects of fermented soybeans (Cheonggukjang) containing toxins and biogenic amines against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 mouse model

  • Kim, Ha-Rim;Park, In-Sun;Park, Su-Bin;Yang, Hee-Jong;Jeong, Do-Youn;Kim, Seon-You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6권4호
    • /
    • pp.435-449
    • /
    • 2022
  • BACKGROUND/OBJECTIVES: Cheonggukjang is a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paste with significant health-promoting effects. On the other hand, there have been insufficient studies on the safety and efficacy of Cheonggukjang, which is produced using traditional methods containing toxins and biogenic amines (BAs). This study compared the laxative effect of Cheonggukjang, containing high or low levels of toxins and BAs (HTBC or LTBC) in a loperamide (Lop)-induced constipation mouse model. MATERIALS/METHODS: To induce constipation, Lop (5 mg/kg) was administered orally to ICR mice twice a day for 4 days, and the dose was increased to 8 mg/kg after a 3-day rest period. Cheonggukjang (500 mg/kg, HTBC, or LTBC respectively) was administered for four weeks before the Lop treatment. RESULTS: The number of stools, fecal weight, water contents, gastrointestinal transit, and histological alterations were recovered significantly in the HTBC or LTBC groups. HTBC and LTBC administration did not induce significant changes in body weight, dietary intake, and behavior. The opioid-receptor downstream signaling pathway in colon tissues was also evaluated. The c-Kit, stem cell kinase, and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subfamilies, including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1/2, c-Jun N-terminal kinases, and p38, were all downregulated in the HTBC or LTBC-administered mice colon compared to the Lop group.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at Cheonggukjang, containing high levels of toxins and BAs, have a similar laxative effect in a mouse model of Lop-induced constipation.

Double burden of malnutrition in ethnic minority school-aged children living in mountainous areas of Vietnam and its association with nutritional behavior

  • Truong, Duong Thuy Thi;Tran, Trang Huyen Thi;Nguyen, Tam Thanh Thi;Tran, Van Hong Thi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6권5호
    • /
    • pp.658-672
    • /
    • 2022
  • BACKGROUND/OBJECTIVES: Although children of ethnic minority groups are experiencing a transition from a predominance of undernutrition to overnutrition, there is little evidence of a dual-malnutrition burde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double burden of malnutrition among school-aged ethnic minority children living in mountainous areas and its association with their diets. SUBJECTS/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019 to March 2020 in 3 mountainous areas of Northern Vietnam among 1,556 ethnic minority school-aged children. The prevalence of under-nutrition (stunting and thinness) and over-nutrition (overweight and obesity) were measured using the WHO 2006 child growth standards (height-for-age and BMI-for-age Z-score). Nutritional practices were evaluated by the frequency of food consumption based on a 4-level scale. RESULTS: The percentage of children with stunting and thinness were 14.0% and 5.4%, respectively, while the figure for overweight/obesity was 9.4%. The factor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tunting were living in a family with more than 2 children or being Muong/other ethnicities compared to the Tay ethnicity. Children who consumed fish/shrimps/crabs or milk weekly/daily were less likely to be undernourished compared to those who never consumed these foods. By contrast, children who never consumed foods rich in vitamin A precursors and vitamin A and fruit or consumed daily snacks/junk food were more likely to be overweight/obese. CONCLUSIONS: Undernutrition remains a common issue among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of ethnic minority groups, while over-nutrition exists simultaneously. Public health nutrition programs promoting adequate diets and positive lifestyle changes related to nutrition are essential to tackle the double burden of malnutrition among ethnic minority children.

병원조직에 팀제 도입이 팀직무만족과 팀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a Team System's Introduction to Hospital Organization, Regarding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 최순연;남은우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32-271
    • /
    • 2000
  • The introduction of a team system to any organization is usually to improve that organizations dynamics, by increasing the proper adaptation to rapidly changing environments, by reducing approval procedures, and by promoting power authoriza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an attempt to determine (1) whether or not the introduction of a team system can be as effective in hospital organizations as it has been in business organizations, and (2) what behavior factors influence such effectiveness. For the current stud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employees of a university hospital in Pusan. Four hundred eighty three of them(94.7%) were retrieved and analyzed through statistical processes. The three types of variables that were found to influence team effectiveness were: (1) independent variables of team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such as communication, organizational atmosphere, leadership and team knowledge, (2) intervening variables of team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such as job autonomy, technological variety, task subjectivity, task feedback and task importance, and(3) the dependent variables of team level effectiveness, such as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to team organization. The gathered data were processed by using the 6.12 version of the statistical program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and the reliance coefficient of those measured variables was then evaluated as an average of 0.78. The influence of team level effectiveness was analyzed by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se differences in effectiveness were then analyzed on the basis of related mean values, while the differences among demo-soci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using the dispersion analysis(ANOVA) and the t-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by the following. First,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and team level effectiveness, all of the factors including communication, organizational atmosphere, leadership and team knowledg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effectiveness. Second, the factors of team job characteristics, such as technological variety, task importance and job autonomy, had significan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the teams members. Team level effectiveness was generally high, while team job satisfaction was higher the team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regarding the demo-sociological characteristics, team level effectiveness was found to be higher among those who were older, who had more job experience, and who had a higher position. Comparing the differences among job types, the effectiveness was relatively higher in the fields of nursing and administration/management then in other fields. Further study should be done towards the setting of variables for characteristics of hospital organization, developing suitable methods of measurement, and researching individual level effectiveness.

  • PDF

일반 성인들의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요인 (Factors Affecting Self-efficacy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CPR) in Adults)

  • 전소연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4권3호
    • /
    • pp.124-137
    • /
    • 2019
  • 이 연구는 일반 성인들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을 포괄적으로 탐색함으로써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시행률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급성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전략 개발에 필요한 근거 자료를 마련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 자료는 질병관리본부가 매년 수행하는 2016년 지역사회 건강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였고, 연구대상은 성인(만 19-64세) 총 164,165명, 조사방법은 가구방문 1:1 면접 조사, 조사기간은 2016년 8월 16일부터 10월 31일까지이었다. 조사내용은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 보유여부, 심폐소생술 용어 인지여부, 심폐소생술 교육 경험여부, 인구사회학적 특성, 의료 특성, 건강증진 행위, 안전 행위 실천여부를 파악하였다. 일반 성인들의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 보유율은 60.6%로 다소 낮은 수준이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 영향 요인으로 고연령 일수록, 남자가, 읍면지역 거주자가, 고학력일수록, 직업이 있을 때와 특히 군인에서, 미혼보다는 배우자가 없을 때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이 있을 가능성이 높았다. 평생 심폐소생술 교육 경험이 있을 때, 최근 2년간 심폐소생술 교육 경험이 있을 때, 최근 2년간 마네킨을 이용한 실습 교육 경험이 있을 때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이 있을 가능성이 높았다. 1년간 사고나 중독으로 응급실 방문이 있을 때, 신체활동 실천을 할 때, 자전거 운전을 할 때, 다른 사람 운전차량 뒷좌석 탑승 시 안전벨트를 착용할 때, 버스 탑승 시 안전벨트 착용할 때에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이 있을 가능성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일반 성인들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의 향상을 도모하는 전략 수립 시 영향요인으로 밝혀진 최근 시기의 심폐소생술 교육 경험률 향상, 건강증진 행위 실천 향상, 안전 행위 실천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나 전 국민 대상 홍보 전략 등이 마련되어야 하겠다. 일반 성인들의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 향상은 실제 목격자 심폐소생술 시행률을 높이며 궁극적으로는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reatment and Follow-up of Human Papillomavirus Infected Women in a Municipality in Southern Brazil

  • Ruggeri, Joao Batista;Agnolo, Catia Millene Dell;Gravena, Angela Andreia Franca;Demitto, Marcela de Oliveira;Lopes, Tiara Cristina Romeiro;Delatorre, Silvana;Carvalho, Maria Dalva de Barros;Consolaro, Marcia Edilaine Lopes;Pelloso, Sandra Maris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5호
    • /
    • pp.6521-6526
    • /
    • 2015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analyze the risk behavior for cervical cancer (CC) and the human papillomavirus (HPV) prevalence and resolution among women who received care through the private healthcare network of a municipality in southern Brazil. Materials and Methods: This descriptive and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with 25 women aged 20 to 59 years who received care through the private healthcare network and were treated at a specialty clinic in the period from January to December 2012 in a municipality in Northwest Parana, Southern Brazil. Data from medical records with cytological and HPV results were used. Following treatment, these women were followed-up and reassessed after 6 months.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t-test and chi-squared test at a 5% significance level. Results: The mean age of the studied women was $27.8{\pm}7.75$ years old, and the majority were married, with paid employment and were non-smokers. The mean age at menarche was $13.0{\pm}0.50$ years old, and the mean age at first intercourse was $17.5{\pm}1.78$ years, with only 8.0% (2) initiating sexual activity at an age ${\leq}15$ years old. The majority had 1 to 2 children (60.0%), while 88.0% reported having had one sexual partner in their lifetime, and all the women were sexually active. A total of 68.0% used a hormonal contraceptive method. All the women had leukorrhea and pain and were infected by a single HPV type. Regarding the lesion grade, 80.0% showed high risk and 20.0% low risk. The most prevalent high-risk HPV strain was 16. Conclusions: These findings provide relevant information on HPV risk factors and infection, as well as the treatment and 6-month follow-up results, in economically and socially advantaged women with no traditional risk factors, corroborating previous reports that different risk factors may be described in different populations. Thus, this study reinforces the fact that even women without the traditional risk factors should undergo HPVmonitoring and assessment to determine the persistence of infection, promoting early diagnosis of the lesions presented and appropriate treatment to thus prevent the occurrence of CC.

노인 영양지수 (NQ-E)를 이용한 서울 일부지역 노인의 식생활 및 영양 상태 평가 (Evaluation of the dietary quality and nutritional status of elderly people using the Nutrition Quotient for Elderly (NQ-E) in Seoul)

  • 함선욱;김경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3권1호
    • /
    • pp.68-82
    • /
    • 2020
  • 본 연구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78.6세로 75세 이상이 75.0%를 차지하였으며, 만성질환을 2개 이상 갖고 있는 노인이 55.4%였다. 가구 유형에서 독거노인의 비율이 40.7%였고, 70.6%의 노인이 식사 준비를 본인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대상자의 평균 NQ-E 점수는 61.9점으로 전국 단위 조사와 비교하면 '중상'에 속하였다. 균형, 절제, 식행동 영역은 전국 단위 조사의 '중상'에 속하였고 다양 영역은 '중하'에 속하였다. 여자노인이 남자노인보다 절제와 식행동 영역의 점수가 높았다. 독거노인은 배우자동거노인에 비해 다양성 영역의 점수가 낮았다. 다양성 영역은 소득과 교육수준이 높은 노인의 점수가 높았고, 절제 영역은 소득수준이 낮은 노인과 2개 이상의 만성질환을 보유하고 있는 노인의 점수가 높았다. 영양 보충제를 1개 이상 섭취하는 노인이 영양지수 총점수와 균형, 다양성 및 식행동 영역의 점수가 높았다. 연구 대상자의 51.0%가 모니터링 필요군으로 영양지수 평균은 54.8점이었고, 양호군은 49.0%로 영양지수는 69.3점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대상자의 에너지, 니아신, 리보플라빈, 비타민 A의 섭취량이 EAR 미만으로 나타났고, 비타민 A, 니아신, 비타민 C, 칼슘 등은 영양권장량 대비 75% 미만으로 섭취하고 있었다. 모니터링 필요군의 1일 에너지 섭취량과 단백질, 티아민, 리보플라빈 및 비타민 C 섭취량이 양호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모든 영양소의 영양소 적정섭취비 (NAR)가 1 미만이었으며, 모니터링 필요군이 양호군에 비해 비타민 A, 티아민, 리보플라빈, 비타민 C, 칼슘 및 칼륨의 NAR이 유의하게 낮았다. 비타민 A, 리보플라빈, 니아신, 비타민 C, 칼슘, 칼륨의 INQ가 1보다 낮아 에너지 섭취량에 비해 부족한 영양소로 나타났다. 1일 식품섭취량에서 모니터링 필요군이 양호군에 비해 총 식품 섭취량과 채소류 및 버섯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본 연구 결과 노인 영양지수가 높은 군이 낮은 군보다 24시간 회상법으로 조사한 식품섭취조사에서 단백질을 비롯한 대부분의 필수영양소 섭취 수준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서, NQ-E가 노인의 식생활 및 영양 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타당한 도구임을 보여준다.

매실에 대한 소비자 선호 및 소비행태분석 (Analysis of Consumer Behavior toward and Preferences for Prunus mume (Maesil), the Chinese Plum)

  • 백종희;최정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571-580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매실의 소비촉진을 위한 주요 동기와 요인을 찾기 위하여 관심소비자층과 일반소비자층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특히 열매매실과 매실가공식품에 대한 소비실태 및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설문내용은 섭취방법, 구매경험, 구매경로, 구매가격, 소비경험, 구매결정요인, 선호요인, 불만족요인, 소비전망, 새로운 가공식품과 소비활성화에 대한 의견 등이었다. 총 534명에게서 응답을 받았으며 SAS program(Version 9.1)의 frequency test, Chi-square test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설문분석결과 관심집단은 열매매실을 직접 구매하여 집에서 제조하는 비율이 높았고 일반집단은 시중에 판매되는 제품의 이용률이 높았다. 그러나 일반집단에서도 연령이 많을수록, 소득이 높을수록, 가구원수가 많을수록 열매매실을 구매하여 집에서 직접 제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경로에 있어서는 인터넷과 직거래 이용률이 높았으나 일반집단에서는 백화점이나 대형마트도 많이 이용한다고 응답했다. 구매가격에 대해서는 일반 집단보다 관심집단이 더 비싸다고 응답했으며 가격에 더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경험에 있어서도 다양한 매실제품을 경험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결정요인으로는 관심집단은 원산지, 일반집단은 맛이라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선호요인은 건강에 좋고 맛과 향이 좋다는 점이었으며, 불만족요인은 제품이 다양하지 못하고 매실함량이 적다는 점이었다. 일반집단이 관심집단에 비해 맛에 더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가 촉진되고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소비자가 편리하게 접하고 먹을 수 있는 제품과 건강 이미지제품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홍보와 더불어 소비자와 가까운 시장을 확보하여 자주 접할 수 있는 기회의 제공이 중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조사결과는 향후 일반소비자집단들의 매실소비가 관심소비자집단의 소비유형으로 이전되어 가리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즉 일반소비자가 관심집단의 유형으로 변함에 따라 매실소비가 증대되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산채(산나물)에 대한 소비자 의향 및 수요 분석: 소비자 의향 조사와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An Analysis of Consumer Preference and Demand for Wild Vegetables: Through a Consumer Preference Survey and Social Big Data Analysis)

  • 변승연;석현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1호
    • /
    • pp.116-126
    • /
    • 2019
  • 최근 5년간 단기소득임산물 생산량 및 생산액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그 중에서도 산채(산나물) 생산액은 2017년 기준 약 4천억 원으로 전체의 14 %를 차지하고 있다. 산채 중에서도 특히 고사리, 취나물, 곤드레 등의 생산량 및 생산액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산나물의 특성상 값 싼 수입산과의 가격경쟁이 심하고, 소비패턴의 변화가 거의 없는 점들로 인해 국내산 산채류 가격에 악영향을 미치고 이는 결국 산채 소비시장의 전반적인 소비 위축 현상을 불러일으킬 위험이 있다. 하지만 최근 소득수준의 향상과 건강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도가 증가함에 따라 건강에 좋은 웰빙 식품 선호 현상이 나타나고 있어, 지금이 산채 소비시장에서는 매우 중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채 소비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전략 및 정책 수립에 도움이 되기 위하여 소비자조사를 통한 산채에 대한 소비자들의 구매행태 및 소비행태를 분석하였고, 이와 더불어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산채에 대한 소비자 인식 및 의향을 파악하였다.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설문조사뿐만 아니라 SNS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소비자 인식 및 의향 조사도 실시했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으며, 본 연구 결과가 향후 산채 소비 증진을 위한 전략 및 정책 마련에 있어 우선순위를 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서울 위생 병원 5일 금연 학교를 방문한 우리나라 흡연자의 특성 및 입원 금연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moker, Enrolled in '5 day Smoking Cessation School' and The Effect of Inpatient Smoking Cessation Program)

  • 이병수;강기훈;채은하;김명찬;정재일;장희종;이상훈;조동식;신재규;김휘정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7권5호
    • /
    • pp.411-418
    • /
    • 2004
  • 연구배경 : 우리나라의 성인 흡연율은 세계적으로 높고 청소년과 여성의 흡연율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흡연이 이렇게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효과적인 금연 프로그램이 필요한 상태이다. 이에 본 병원 금연 학교의 입원 금연 교육의 효과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8년 1월부터 2001년 1월까지 본원 금연학교를 수료한 64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흡연자들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입원 대상 금연교육 대상자 235명중 응답 가능한 100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특성 및 금연 성공 유무 등을 조사하였다. 결 과 : 금연 학교 등록자의 금연 동기로는 건강이 가장 많았고, 흡연 동기로는 스트레스가 가장 많았다. 입원 금연학교의 최소 1년 이상 금연율은 60%를 보였다. 입원 금연 교육 대상자에서 흡연 시작 연령과 직업이 금연 성공 유무와 의미 있는 연관을 보였다. 금연을 실패한 경우 일상 생활의 스트레스가 가장 흔한 원인이 였고, 1주에서 1개월 내에 흡연 재발이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