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ing forest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28초

치유의 숲 산림명상공간 인자의 중요도와 만족도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Importance of Space and Users' Satisfaction)

  • 정경미;신원섭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73-288
    • /
    • 2023
  • 국내 산림치유명상연구에 있어 산림명상에 적용할 수 있는 기법과 효과에 대한 연구들은 많이 진행되어 왔지만 산림명상이 이루어지는 공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명상공간은 단순한 장소적 개념이 아니라 산림의 '치유'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산림환경요소 즉, 치유인자를 담고 있는 곳으로 치유메커니즘을 밝히는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치유의 숲 산림명상공간이 명상에 적합한 공간인지 알아보고자 델파이 전문가 설문조사(Delphi Expert Survey Method)로 명상공간의 속성항목을 선정 한 후, IPA기법(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을 활용하여 치유의 숲 산림명상 공간 이용자의 만족도를 설문 조사하였다. 설문은 국립산림치유원과 산음 치유의 숲, 경기도 잣향기 푸른숲에서 산림명상공간을 이용한 일반성인 315명을 대상으로 2022년 8월부터 11월까지 진행하였다. IPA분석 결과 산림명상공간의 만족도 평균은 5점 리커트 척도에 4.33점(국립산림치유원 4.33점, 산음 치유의 숲 4.34점, 잣향기 푸른숲 4.37점)으로 높게 나타나 세 곳 치유의 숲 명상공간은 산림명상에 적합하게 조성되어 있다고 판단된다. 세 숲 모두 '자연의 소리'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반면 세 숲 모두 '고요함'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로 나타났다. 또 개방형설문 결과 자연의 소리, 경관, 공기, 숲 공간, 향기 등 명상공간의 자연요소가 시설과 같은 인공요소보다 명상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명상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명상 공간 주변에 물소리 새소리 등의 소리자원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고, 방문객과의 조우를 피하는 독립된 공간에 '명상 숲'을 따로 조성하여 산림치유명상 프로그램 참여자만 입장하는 방법 등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Effects of Forest Healing Program on Depression, Stress and Cortisol Changes of Cancer Patients

  • Lee, Mi-Mi;Park, Bong-Ju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45-254
    • /
    • 2020
  • Patients diagnosed with cancer face mental problems such as alienation, isolation, anxiety about death and fear, recovering from psychological difficulties. In this study, a forest healing program was provided for cancer patients to recover from psychological stress, depression, social isolation and self-esteem caused by cancer and changes in salivary cortisol through psychological and emotional recovery were measured. From September 19 to November 28, 2017, a forest healing program composed of a total of 10 sessions, two hours per session was provided for 12 cancer patients in the Forest of Taegyo located in Yongin. Psychological tests were performed with Social Adaptation Self-evaluation Scale (SASS), Korean-version Perceived Stress Scale (PSS)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18.0. The salivary cortisol level was measured along with the psychological tests and were analyzed by a specialized testing agenc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pre- and post-assessment score of SASS was 29.17 and 25.92, respectively, and that the pre- and post-assessment score of PSS was 30.50 and 23.92, respectively. The pre- and post-assessment score of BDI was 41.00 and 34.83, respectively, whic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dition, the pre- and post-assessment level of saliva cortisol was 3.13 and 1.68, respectively, showing a significant decrease. In short, the forest healing program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reducing physiological changes caused by social isolation and stress due to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that the subjects who were diagnosed with cancer and were recovering from it have.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a forest healing program by conducting a forest healing requirement survey on cancer patients.

사상체질별 숲치유의 생체학적 변화 : 예비연구 (Biological Change by Forest Healing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 preliminary study)

  • 홍선기;최은주;선승호;최가영;이선주;한인식;이재훈;유준상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87-502
    • /
    • 2011
  • 1.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search the biological change of forest healing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2. Methods Forty seven applicants are involved in this study. They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Soyangin, Taeeumin, Soeumin) by QSCC II. And then they participated in forest healing program from March 26 to March 27 in 2011. We performed before and after experiment, including vital sign, electroencephalography(EEG), heart rate variability(HRV), complete blood cell count(CBC), biochemical test(BC), and stress hormones. 3. Results Men had the relaxative effect of tension. While, the group of women and Soyangin was more sensitive to sudden environmental change than the group of men or other constitutions. The tension of women and soyangin's group increased after the forest healing program. Soeumin group showed reduced diastolic blood pressure after the forest healing program. 3. Conclusions Forest healing program has shown better efficacy in relaxation in men than women, in lowering diastolic blood pressure in Soeumin group than other constitutional groups. However a single positive result within this study should be carefully interpreted.

Effects of Forest Healing Program on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Foreign Workers

  • Kim, Han-Won;Shin, Won-Sop;Jang, Cheoul-Soon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05-513
    • /
    • 2019
  • As the number of foreign workers increases in Korea, people's interest in their adaptation to this society has also in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forest-healing program on foreign workers'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 recreation forest located in Hongcheon-gun, Gangwon-do.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cluded 40 foreign workers (16 males, 24 female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three days and two nights from June 26 to 28, 2019. The forest healing program was composed of activities that can enhance immunity and restore physical and mental health by utilizing various healing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landscapes, sunlight, anion and oxygen in forest.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changes in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program. As a result, cultural adaptation stres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duced in sub-factors including discrimination experience, language conflict and legal status. Psychological wellbeing improved in all the surveyed sub-factors such as self-confidence, ego, immersion, and jo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reducing the stress foreign workers experience from cultural adaptation and restoring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future.

디지털 환경에서 시각적 산림자극의 치유효과에 대한 실험적 분석 (Experimental Analysis of the Healing Effect of Visual Forest Stimulation in Digital Environment)

  • 김일두;신원섭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473-483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실제 자연의 숲과 인위적으로 통제가 가능한 디지털 환경에서의 가상현실(VR)을 활용한 가상 숲에서의 체험이 피험자의 심리적 또는 생리적으로 미치는 치유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밝혀내기 위해 C대학 건강한 학부생 81명을 실험참가자로 2022. 9. 5~12. 9에 걸쳐 디지털 환경 내에서의 시각을 통한 산림자극 효과를 실험하였다. 실험은 디지털환경(2D, 3D)에서 숲 환경을 통한 시각적 산림자극의 심리적, 생리적 회복 효과를 평가하였다. 심리적 효과분석인 SRI(스트레스 반응척도)의 실험결과는 집단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스트레스 측정을 위한 SRI 실험 결과는 세 집단 중 Control 집단을 제외한 디지털 환경에서의 2D 집단은 사전과 사후 간 차이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3D 집단에서는 사전보다 사후가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 산림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환경(2D, 3D)에서 시각을 통한 산림자극이 심리적 스트레스를 유의하게 감소시켜주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디지털환경 내에서 시각을 통한 산림자극이 EEG(뇌파)에 미치는 변화 분석 결과, 이완이나 안정화 때 활성화 되는 것으로 나타나는 알파파(RA)가 긴장이나 각성 때 발현되는 베타파(RB) 보다 활성화 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본 연구는 신체적 거동 불편 등 이동 제약으로 인하여 자연 숲 환경에서 체험을 할 수 없는 이용자들에게 디지털환경 내에서 가상현실(VR) 속 숲 환경을 구현하여 시각적 산림자극 체험 기회를 제공함으로서 심리적, 생리적 회복 환경을 만들어 주는데 사용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디지털 환경에서 산림치유에 대한 활용의 기반이 되길 기대하고, 가상현실(VR)을 이용한 프로그램이 산림치유 활동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ISA 분석을 이용한 산림치유지도사 양성과정에 대한 수강생의 중요도와 만족도 연구 (A Study o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Students about Forest Healing Instructor Training Program Using ISA Analysis)

  • 김소연;김민아;김규리;최정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1호
    • /
    • pp.109-115
    • /
    • 2019
  • 본 연구는 2018년 산림치유지도사 수강생을 대상으로 산림치유지도사 양성과정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ISA)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40대 이상의 수강생들이 81 %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제2의 미래직업으로 산림치유지도사를 선호하고 있었다. 중요도와 만족도의 비교 결과, 수강생들은 중요도에 비해 모든 문항에서 만족도를 낮게 평가하였다. ISA 분석결과, 산림치유지도사 양성과정에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은 양성교재 정보의 최신화, 과목별 예시문제 기재, 양성교재에서의 시험 출제율 확대, 시험문제 및 답 공개, 시험 난이도 조절, 시험 합격률 조정, 시험 시행횟수 및 시험장 수의 증대, 학생을 이해시키기 위한 강사의 노력, 강의에 대한 준비, 실무에 알맞은 강의구성으로 나타났다.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f Forest Healing Experience in Forest Life

  • Kang, Hee Won;Lee, Geo Lyong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01-309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se of healing experience for lifestyle and environmental diseases through life and activities in the forest from the perspecitive of critical realism, and how the causal power and mechanism of the healing experience relate to forest healing factors and programs. Methods: 93 video data of people who started living in the forest for disease treatment were analyzed using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al realism. Categories for analysis include general categories (age, duration, occupation, disease name), forest therapy categories (climate therapy, plant therapy, water therapy, diet therapy, kinesiotherapy, psychotherapy), and other categories (ecology, learning and management, life tools), etc., and the unit of analysis is the context unit. Results: 1) The diseases that motivated life in the forest were digestive system diseases, lung diseases, cardiovascular diseases, endocrine system diseases, and various lifestyle-related diseases and environmental diseases in similar proportions. This indicates that forest life does not have specificity to respond to specific diseases, but provides treatment and recovery for all lifestyle and environmental diseases. 2) Among the forest therapies, climate therapy and plant therapy are related to the climatic and residential environment in the forest where 'natural persons' live. And others such as water therapy, diet therapy, kinesiotherapy, psychotherapy indicate the change from the lifestyle that caused the disease to the lifestyle for treatment and recovery. Conclusion: Life and activities in the forest provide an environment for treatment and recovery in which the healing principles such as aromatherapy, nutritional and dietary therapy, kinesiotherapy, and emotional psychotherapy are integrated in the 'real world'.

산림치유 활동이 노인에게 미치는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Systematic Review on the Effect of Forest Healing Activities on the Elderly)

  • 이미진;최정기;김소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2권1호
    • /
    • pp.93-104
    • /
    • 2023
  • 고령화로 인해 기대수명이 높아지고 있으며, 다양한 노인성 질병 등의 문제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산림치유 활동이 노인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체계적으로 문헌을 분석하여 노인 대상 산림치유 활동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문헌 수집을 위해 국내는 RISS, KISS, Korea Med, Science On, 국외는 PubMed, Cochrane central, MDPI, Google Scholar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문헌의 방법론적인 질적 평가를 위해 코크란 그룹의 RoB2와 RoBANS를 이용하여 비뚤림 평가를 진행하였다. 2000년부터 2022년 1월 사이에 게재된 노인 대상 산림치유 활동의 연구 논문으로 한정하여 총 1,856편에서 최종 21편의 문헌을 선정하였다. 대상자는 60세 이상이며, 선정된 문헌의 참가자는 최소 7명에서 최대88명으로 총 750명이 참가하였다. 분석결과, 각 지표에서 가장 많이 수행된 검사는 심리지표에서 우울 7편, 인지지표에서 MMSE(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2편, 생리지표에서 혈압 4편, 생화학지표에서 멜라토닌 2편, 신체지표에서 체지방과 근력 3편으로 나타났다. 총21편의 연구 중 19편의 연구가 2가지 이상의 검사항목을 사용하였으며, 심리적 지표를 가장 많이 측정하였다. 향후 노인대상 산림치유 활동의 적용을 위해서는 인지기능 예방의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개발 및 보급되어야 하며, 산림치유 활동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기 위해 후속연구는 지속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치유농업프로그램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능적 이미지와 감정적 이미지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Care Farming Program on Satisfact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Functional Image and Emotional Image-)

  • 오신영;허철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1호
    • /
    • pp.95-112
    • /
    • 2021
  • 본 연구는 치유농업프로그램이 기능적 이미지와 감정적 이미지를 매개하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파악하고자 치유농업프로그램 유형의 하위변수를 원예치유, 가축동물치유, 음식치유, 숲치유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전국에 거주하는 치유농업프로그램 체험자들로부터 수집한 설문지 328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v22.0과 프로세스매크로 v3.4을 사용하여 매개변수 간 인과관계가 없는 병렬다중매개모형을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치유농업프로그램 유형 중 원예치유를 제외한 가축동물치유, 음식치유, 숲치유는 기능적 이미지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치유농업프로그램 유형 모두가 감정적 이미지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능적 이미지와 감정적 이미지 모두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치유농업프로그램 유형 중 음식치유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으나 나머지는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기능적 이미지는 치유농업프로그램 모두와 만족도 간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감정적 이미지는 치유농업프로그램 유형 모두와 만족도 간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프로그램 유형별로 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한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으며, 후속 연구로는 본 연구의 매개변수 외에 다양한 의미있는 매개변수의 발굴 연구 또는 조건부과정 모형을 통한 조절된 매개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걷기, 경관감상 그리고 향기를 이용한 산림치유프로그램이 독거노인의 치매예방에 미치는 효과 연구 (A Study of Walking, Viewing and Fragrance-based Forest Therapy Programs Effect on Living Alone Adults' Dementia Prevention)

  • 김일두;구창덕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07-11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숲 환경을 이용한 산림치유 6대 요법 중 걷기, 경관 감상, 숲속 향기를 이용한 산림치유프로그램 체험활동이 독거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삼척시에 거주하며 우울증과 건망이 심하다고 호소하는 독거노인 17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은 각 두 집단으로 나뉘어 각 집단은 매 주 1회(총 6회기) 산림치유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이들은 모두 인지기능, 우울, 삶의 질에서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한국형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K), BDI(Beck Depression Inventory 한국판), SF-36(Short Form 36 health survey questionnaire)에 대한 사전-사후(one-group pre-post test design) 설문지 검사를 받았다. 연구결과 치유 프로그램 참여 후 응답자의 정신상태와 우울 수준 그리고 삶의 질이 모두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통해서 산림환경을 이용한 치유프로그램 활동 참여가 은둔형 독거노인에게 인지기능 향상과 우울 해소 그리고 삶의 질 개선에 도움이 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홀로 남겨져 외부활동을 기피하는 은둔형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정기적인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토록 유도할 경우 나이와 환경으로 인한 치매 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