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d of Ri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9초

인도 신체표현(āṅgika abhinaya)체계의 전통성과 정체성에 관한 고찰 - 『나띠야 샤스뜨라』의 규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radition and Identity of Bodily Expression System in India)

  • 허동성
    • 공연문화연구
    • /
    • 제18호
    • /
    • pp.223-255
    • /
    • 2009
  • 이 글은 현전하는 인도 최초의 연극론서인 "나띠야 샤스뜨라"의 규정을 중심으로 인도의 전통연극과 무용에 계승되어 온 신체표현기법인 앙기까 아비나야의 전통성과 정체성을 고찰한다. 이를 위해 마르기와 데시, 나띠야다르미와 로까다르미의 양식구분 개념, 아비나야의 분류, 앙기까 아비나야의 의의와 중요성, 기원과 형성과정, 범주와 종류, 계통성과 지역적 차이를 살펴본다.

제주 넓은못 습지에서 관찰된 아마존노란점거북(Podocnemis unifilis)의 국내 첫 서식 보고 (First report of Yellow-spotted Amazon River Turtle(Podocnemis unifilis) in neolb-eun pond area in Jeju Island)

  • 박선미;오홍식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6-121
    • /
    • 2021
  • 이 연구는 현재까지 국내 야생에서 확인되지 않았던 외래종 견목거북과(Podocnemididae) 아마존노란점거북(Yellow-spotted Amazon River Turtle, Podocnemis unifilis)을 처음으로 관찰한 사실을 학술적으로 보고하고자 한다. 2020년 7월 24일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와흘리 33°30'20.08"N 126°38'0.23"E 지점에서 아마존노란점거북 2개체가 바위에서 일광욕하고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1개체는 머리에 노란색 반점이 있었고, 다른 1개체는 흑화되어 검은색을 띠었다. 관찰된 장소는 도로와 인접해 있고, 사람들의 출입이 잦은 곳으로, 애완용으로 사육되던 개체가 연못으로 방사된 것으로 추측된다. 최근 호수, 저수지 등 국내 야생에서 확인되는 외래거북이 증가하고 있으며, 외래거북 유입으로 인한 수생태계의 피해가 예상되는 만큼, 외래생물에 대한 시민과학 프로젝트와 환경교육을 통한 대중들의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향후 발견된 개체에 대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야생 적응 여부, 번식과 관련된 추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지하수유동해석을 위한 한국형 분석시스템의 개발 (Koreanized Analysis System Development for Groundwater Flow Interpretation)

  • 최윤영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3권3호
    • /
    • pp.151-163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지하수 프로그램 개발(3-DFM, 3-Dimensional Finite Difference Method)을 위하여 대수층에 있어 지형 지질상태가 지하수유동시스템내에서 동적거동을 하는 것으로 취급하여 유동과정의 알고리즘을 확립토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3-DFM모델은 입력변수 자료에 대한 설정이 모두 한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입력자료와 매개변수들의 이해와 적용치에 대한 도움말을 설정하여 두었다. 따라서, 입력변수에 대해서는 아이콘을 입력변수에 두면 각각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알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각 지층의 지질경계 상태나 초기수위자료를 지정할 때는 work sheet상에서 간단히 지정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각 대수층의 특성과 더불어 정류 및 부정류 해석시에 각 매개변수들에 대한 입력은 기존의 모델과 같이 복잡하지 않도록 활성칸이 설정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최종 입력자료를 이용한 분석결과에서는 우측에 입력자료에 대하여 설명과 더불어 좌측에 분석 결과치를 나타나게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는 TXT파일로도 출력할 수 있도록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델은 유한차분법을 이용한 수치모델이며, 실제 함양량을 적용하고 매개변수들을 결정하여 관측 지하수두치와 모의발생으로 얻은 계산 지하수두치를 비교 분석하여 개발모델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세화리 및 송당리일대의 양수에 따른 지하수 유동시스템 해석을 위하여 3-DFM모델을 적용 분석한 결과, 정류상태에서 따른 관측치와 계산된 지하수두와의 상대오차백분율(E.P.)이 $0.03{\sim}0.07$의 범위로서 관측치와 거의 일치하였다. 그리고 분석유역의 양수 전의 모의발생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지하등수두분포와 유속벡터를 산정한 결과 지하수 유동분포는 높은오름과 문석이오름 등에서 월랑봉, 용눈이오름 및 손자봉 등 각 방향으로 고르게 유출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MODFLOW모델과 비교할 때 일치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밀양(密陽) 퇴노리(退老里) 서고정사(西皐精舍)와 삼은정(三隱亭) 별서(別墅)의 조영(造營) 특성(特性)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Seogo-jeongsa & Sameun-jeong Byeolseo Gardens in Toerori Miryang)

  • 이현우;노재현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70-83
    • /
    • 2013
  • 한국전통정원으로서 별서의 지평을 넓히고자, 경남 밀양 퇴로리에 소재한 여주이씨의 서고정사와 삼은정의 조영 특성을 고찰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축약된다. 서고정사와 삼은정은 종택을 중심으로 서고정사는 약 340m, 삼은정은 약 630m 가량 이격되어 있으나, 모두 1km 권역권내에 포치되어 있음으로써, 종택과의 일체감은 유지하면서도 은일을 실현하고자 했던 조영자의 작정의도가 여실히 읽혀진다. 항재(恒齋)와 용재(庸齋)라는 조영자의 아호를 당호로 삼은 서고정사 항재와 삼은정 용재 그리고 한서암은 서로 다른 좌향 차이에도 불구하고, 정원의 중심이자 핵심시설인 지당(池塘)으로의 시선 유도와 적극적인 완상을 최적화시키기 위한 공간구성이라는 측면에서 동질적이다. 서고정사의 활수당과 삼은정의 삼은지의 지당 연출기법은 공히 매우 특징적이다. 특히 배후로부터 전면을 향한 3단 구성의 단계적인 물의 연출과 전개 그리고 방지방도(方池方島)의 지당 구성은 기존 별서에서는 찾기 힘든 양식으로 양 별서의 동질적인 요소로 귀결된다. 또한 활수당과 삼은지의 중도(中島)는 식재를 위한 공간이라기보다는 석가산(石假山)을 추구한 다분히 관념성과 상징성이 두드러진 조형 특징으로 파악된다. 이는 서고정사의 과육천 배면에 형상화한 3개의 석가산과의 관련성을 고려할 때 더욱 흥미로운 연출이다. 한편, 서고정사와 삼은정은 자체의 완상뿐만 아니라, 특별한 시각구성의 연출을 목표로 외래수종을 도입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별서와는 차별화된 특성을 보인다. 특히 삼은정에 화백 편백 백송 대왕송 금송 메타세쿼이아 그리고 히말라야시다 등의 교목성 침엽수종을 비중 있게 도입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특징으로, 서고정사 또한 풍치용으로 식재된 비자나무 주목 섬잣 나무 등의 자생 침엽수와 백송 삼나무 편백 등의 외래 조경수는 조선 말기라는 전환기적 시기의 식재 양상으로 판단된다. 한편, 양 별서에 설정된 집경(集景)인 '서고잡영17영'과 '삼은정12경'에서도 알 수 있듯, 일곽 밖의 경외로까지 정원영역을 확장 해석하고자한 발상 등에서는 원림적 풍취가 강하게 드러나고 있음이 발견된다. 이 같은 특성을 종합할 때 밀양 퇴로리 소재 서고정사와 삼은정은 입지와 공간 및 시각구성 등에 있어서는 조선조 별서의 유풍은 공유하지만, 수공간과 석가산의 조성 및 조경식물의 활용 측면에서는 매우 독특한 양상을 띄는 정원유적으로 주목된다.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Patients' Involved in Traffic Accidents and the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Effectivenes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 A Retrospective Review

  • Kim, Seon-Hye;Kim, Hye-Ryeon;Sung, Won-Suk;Cho, Hyun-Seok;Moon, So-Ri;Keum, Dong-Ho;Lee, Seung-Deok;Kim, Eun-Jung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6권1호
    • /
    • pp.12-20
    • /
    • 2019
  • Backgrou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and effectiveness-related factors of Korean medicine (KM) treatment for patients who have been involved in traffic accidents (TA).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150 TA patients hospitalized in Dongguk University Bundang Oriental Medicine Hospital from September 2017 to May 2018 were reviewed. Medical records included information on patien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A situations, use of KM treatment, clinical characteristics, 4 scales [numeric rating scale (NRS), visual analogue scale (VAS), EuroQol-visual analogue scale (EQ-VAS) and neck disability index (NDI)].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and effectiveness-related factors of treatment. Results: The 150 patients (almost 1:1 gender ratio) were typically in their 40's (26.67%), had rear impact to their vehicle (37.33%), were in the driver's seat (70.00%), and without head trauma and loss of consciousness (83.33%). The main symptoms were neck pain (60.66%) and lower back pain (54.00%). All 150 patien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KM treatment. 4 scales significantly improved when the treatment started within 3 days from the accident and patients were hospitalized longer and took more diverse treatments. The patients experiencing a higher initial pain level (NRS 8-10, $VAS{\geq}70$)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of NRS and VAS scores with faster and longer inpatient treatments than the other patients. The patients with higher initial pain levels ($VAS{\geq}70$) also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EQ-VAS scores. Conclusion: KM treatment was effective for TA patients in this study. Treatment initiation time, hospitalization period, treatment diversity and initial pain level are related to the degree of improvement of a patient's symptoms.

Changes of abdominal muscle thickness during stable and unstable surface bridging exercise in young people

  • Kim, Tae Hoon;Hahn, Joohee;Jeong, Ju-Ri;Lee, Changjoo;Kim, You Jin;Choi, Sung Min;Jeon, Da Young;Lee, Jin Hwa;Lim, In-Hyuk;Lee, Wan-Hee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5권4호
    • /
    • pp.210-214
    • /
    • 2016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muscle architectural parameters of abdominal muscles in healthy individuals by rehabilitative ultrasound imaging (RUSI) and to investigate their changes after bridging exercise in various environments. Design: Cross-sectional study. Methods: The study included 40 healthy participants (19 men, 21 women). Subjec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a stable surface group (SG, n=20) or an unstable surface group (UG, n=20). The participants assumed three positions in rest, bridging exercise with knee flexion $60^{\circ}$, and bridging exercise with knee flexion $90^{\circ}$ for the measurement of abdominal muscle thickness by RUSI. For the resting position, the participants held the head neutral in a hook-lying position and the dominant side was measured. For contraction, the participants performed the bridging exercise with the knee joint in $60^{\circ}$ and $90^{\circ}$ of flexion for 10 seconds each. Results: For transversus abdominis, external oblique muscle thickness, within the stable surface group and the unstable surface group, no significant contraction difference was observed in both the $60^{\circ}$ and $90^{\circ}$ bridge exercise conditions. Contraction difference of internal oblique muscle was significantly larger at $90^{\circ}$ than at $60^{\circ}$ within the SG (p<0.05). But within the UG, no significant contraction difference was shown. There was no significant contraction difference between the surface group and the unstable SG at $60^{\circ}$ condition and at $90^{\circ}$ condition in all measured muscles. Conclusions: The contraction difference is different for each muscle during bridge exercise with knee flexion $60^{\circ}$ and bridging exercise with knee flexion $90^{\circ}$. Muscle contraction difference is generally large when exercised on an unstable surface than a stable surface, but these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bridging exercise is performed using dynamic air cushion for unstable surface.

청소년 갑상선 중독증에서 발현된 가역적 오트너 증후군에 대한 드문 증례 보고 (Reversible Ortner's Syndrome as a Presenting Feature of Thyrotoxicosis in an Adolescent: A Rare Case Report)

  • 서예린;김정재;김민범;이정섭;고수연;김두리;남인출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5호
    • /
    • pp.1158-1162
    • /
    • 2023
  • 오트너 증후군은 중증 심혈관질환에 의해 대동맥궁과 폐동맥 사이에 왼쪽 되돌이후두신경이 압박되면서 마비가 발생하는 질환으로 쉰 목소리가 특징적 증상이다. 조절되지 않는 갑상선중독증은 폐동맥 고혈압을 유발할 수 있는데, 이때 확장된 폐동맥에 의하여 대동맥궁과 폐동맥 사이를 주행하는 왼쪽 되돌이후두신경이 물리적 영향을 받게 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발생한 쉰 목소리는 갑상선중독증의 적절한 치료를 통해 완전히 회복될 수 있지만, 초기에 원인에 대한 이해가 없어 진단이 늦어질 경우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치거나 불필요한 수술적 치료의 위험이 있어 영상의학적 판단이 중요하다. 이에 갑상선 중독증을 보인 청소년에서 발생한 오트너 증후군이 갑상선 중독증에 대한 약물 치료 후 호전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일부지역 치과의 기관, 감염관리자, 환자의 감염관리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Organization, Infection Controller, Patient Infection Control of Dental Clinic in Certain Areas)

  • 최두리;김설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99-406
    • /
    • 2015
  • 치과의료기관의 감염관리 수행 조사를 위해 2014년 6~7월 기간 동안 일부 지역사회 치과위생사 158명을 대상으로 기관, 감염관리자, 환자의 감염관리 수행을 자기기입식 설문조사하였다. 치과병원은 감염관리지침서 구비, 감염관리 담당자 지정, 정기감염관리 교육지원, 1인 멸균핸드피스 사용 비율은 57~74%였으나 치과의원은 13~20% 수준이었다(p<0.05). 감염관리자의 감염관리지침 인지는 치과병원 17.4%, 치과의원 5.9%였고 정기예방접종 시행은 치과병원 60.9%, 치과의원 34.1%였다(p<0.05). 환자의 손 위생 수행, 진료 전 칫솔질, 교차 감염 교육경험은 20% 미만이었고, 병력조사 협조는 90% 이상이었다(p<0.05). 감염관리 실천 상관분석 결과 기관 지원은 치과위생사 감염관리자실천, 환자감염관리협조, 개인방호실천, 진료실감염관리실천, 폐기물관리실천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분석되었다(p<0.05). 감염관리 실천을 위해 의료진, 환자, 기관의 지원과 협조가 요구되며 감염관리 관리자는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감염관리지침을 인지하고 실천할 것이 요구된다.

개베도라치(Petroscirtes variabilis)의 산란행동 유도 및 난 발생, 자어의 형태발달 (Induced Spawning Behavior and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the Eggs and Larvae of the Variable Sabretooth Blenny, Petroscirtes variabilis (Pisces: Blenniidae))

  • 박재민;한경호;김나리;조재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67-273
    • /
    • 2014
  • 본 연구는 개베도라치의 산란행동 및 난 발생과 자어의 형태발달을 조사하여 분류학적 연구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수정란은 구형으로 백색의 불투명한 침성 점착란이었고 유구의 수는 10~11개였으며, 난의 크기는 0.90~1.43 mm (평균 $1.11{\pm}0.23mm$, n=10)범위였다. 사육 수온은 $25.5{\sim}28.5^{\circ}C$ (평균 $27.0^{\circ}C$), 염분 32.5~33.5‰ (평균 33.0‰) 범위를 유지하였다. 난 발생 과정은 2세포기 후 24시간에 배반이 난황의 2/3 이상을 덮고 내려와 초기 낭배기에 달하였다. 2세포기 후 330시간에는 비공과 입이 형성되었고, 머리부터 난막을 뚫고 나오면서 부화가 시작되었다. 부화 직후의 전기 자어는 전장 2.59~3.02 mm ($2.81{\pm}0.25mm$, n=5)로 입과 항문은 열려 있었고, 난황과 유구는 흡수된 상태였다. 부화 후 3일째 후기 자어는 전장 3.02~3.07 mm ($3.04{\pm}0.04mm$)로 막으로 된 꼬리지느러미가 원기모양으로 분화하기 시작하였다. 부화 후 13일째 후기 자어는 전장 3.04~3.20 mm ($3.12{\pm}0.11mm$)로 아래턱과 윗턱이 발달하면서 먹이 섭취하기 시작하였다.

경주 서악리 삼층석탑의 훼손상태 및 보존처리 (Deterioration and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Three Storied Stone Pagoda in Seoak-ri, Gyeongju)

  • 이명성;정민호;정영동;이찬희
    • 보존과학회지
    • /
    • 제18권
    • /
    • pp.63-74
    • /
    • 2006
  • 경주서악리 삼층석탑의 모든 부재는 정동이 잘 발달된 중립질의 회백색 알카리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석탑은 이미 보수되어 전체적으로 안정감을 주며 상륜부를 제외하면 거의 원형을 보존하고 있다. 그러나 석탑에 직접적인 영향을 가하는 주변의 수목과 지반에 서식하는 잔디의 영향으로 지대석과 기단부 및 옥개석의 상부에는 지의류를 비롯한 미생물의 서식이 심각한 상태이다. 따라서 보존처리는 일차 건식세정을 실시하였고 이차로 습식세정을 실시하였다. 이때 잘 제거되지 않는 지의류 및 오염물 등은 고온스팀을 이용하여 제거하였다. 또한 이미 보수에 사용되었던 콘크리트와 에폭시 수지를 제거를 하고 에폭시계 합성수지에 탈크와 알카리 화강암 파우더 등의 충전제를 혼합하여 복원하였다. 부재들의 질감을 맞추기 위해 합성수지와 충전제의 혼합과정에서 색 맞춤을 하였다. 또한 석탑의 동쪽에 있는 사면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빗물의 유입을 최소화하기 위해 배수로를 설치하였으며, 석탑주변에 서식하고 있는 수목 및 잔디를 제거하여 습기 발생을 최소화함으로서 향후지의류의 발생을 억제시키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