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d growth

검색결과 740건 처리시간 0.029초

미숙아의 성장과 관련 요인 연구 (Factors associated with the growth of preterm infants)

  • 전지수;서원희;정상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5권5호
    • /
    • pp.572-586
    • /
    • 2022
  • 본 연구는 미숙아의 체중을 추적 조사하여 성장곡선 체중 z-score 값으로 성장 상태를 확인하고 관련 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종단적 연구이다. 출생 체중, 재태연령, 출생 시 NICU에서의 의료적 처치 (CPR, 산소치료, 위장관 삽관), NICU 입원 기간 및 퇴원연령, 수유 문제, 일일 추정 수유량이 체중 성장에 유의하게 영향을 가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출생 체중과 연령이 적은 그룹이 유의하게 초기 성장 정도가 더 낮았으나 교정연령 3개월 이후부터 12개월까지의 체중에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재태연령 40주 이후의 연령-체중 z-score가 평균 이하인 그룹이 출생 체중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보아 장기적인 성장에 출생체중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NICU에서 의료적 처치를 받고 NICU 입원 기간이 긴 경우 성장곡선의 50 백분율 이하로 성장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퇴원 후 2개월간 수유과정 중 문제가 없으며 더 많은 양을 섭취한 그룹이 성장곡선에서 더 상위에 있었으며 더 잘 자랐다. 또한 NICU 퇴원 후 가정에서 자녀가 초기보다 하향 성장을 하고 있을 때, 외부의 도움 및 커뮤니티 케어를 필요로 하므로 미숙아 성장 지원을 위하여 커뮤니티 케어 도입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미숙아의 출생 체중 및 연령, NICU에서의 처치는 초기의 체중 성장에 영향을 끼치며, 재태연령 40주 이후의 성장 증진과 성장지연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올바른 섭취를 통한 원활한 영양공급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미숙아 성장 추적은 NICU 퇴원 후에도 지속되어야 하며 성장 증진 관련 변수, 특히 영양 지원에 적극적인 개입과 지지가 필요하다.

Fatigue Crack Growth and Fracture behavior of Rail Steels

  • Seo, Jung Won;Kwon, Seok Jin;Lee, Dong Hyeong;Kwon, Sung Tae;Choi, Ha Y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Railway
    • /
    • 제5권3호
    • /
    • pp.129-134
    • /
    • 2012
  • Contact fatigue damages on the rail surface, such as head checks and squats are a growing problem. The fatigue cracks forming on the contact surface grow according to load and lubricating conditions and may end up breaking the rail. Rail fracture can be avoided by preventing the cracks from reaching the critical length. Therefore, the crack growth rate needs to be estimated precisely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track and load to develop a maintenance plan against rail damag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cracks initiation and growth on a rail due to repetitive rolling contact.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e crack growth behavior on the rail surface by using the twin-disc tests and the finite element analysis.

경부전이를 동반하여 이하선에 발생한 기저세포선암 1예 (A Case of Basal Cell Adenocarcinoma with Neck Metastasis in the Parotid Gland)

  • 박재홍;김원식;변형권;홍현준;정혜연;반명진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9-42
    • /
    • 2015
  • Basal cell adenocarcinoma is a extremely rare low grade malignancy of the salivary gland. It is composed of basaloid cells with dark cell, light cells and pale cytoplasm which shows infiltrative growth pattern into adjacent glandular parenchyme. The pathophysiology of basal cell adenocarcinoma is not well known. First hypothesis is a malignant transformation of the monomorphic adenoma and second one is a de novo origin. Metastasis to the regional lymph nodes is rare. Recently,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basal cell adenocarcinoma with neck metastasis after previous superficial parotidectomy. For this reason we report this rare case discussed with references.

  • PDF

돼지의 빠른 자세 결정과 머리 제거를 위한 영상처리 및 딥러닝 기법 (Image Processing and Deep Learning Techniques for Fast Pig's Posture Determining and Head Removal)

  • 안한세;최원석;박선화;정용화;박대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8권11호
    • /
    • pp.457-464
    • /
    • 2019
  • 양돈 업계에서 돼지의 무게는 돼지의 건강이나 성장 상태, 출하 여부, 사육 환경, 사료 배급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이며, 따라서 돼지의 무게를 측정하는 것은 돼지의 생산성 측면에서 중요한 문제이다. Top-view 카메라에서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돼지의 픽셀 수를 이용하여 돼지의 무게를 추정하고자 할 때, 정확한 픽셀 수 측정에 영향을 주는 돼지의 자세를 결정할 필요가 있으며, 픽셀 수 측정에 영향을 주는 머리부분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빠른 영상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돼지의 자세를 빠르게 결정하고, 딥러닝 기반의 빠른 객체탐지 기법인 YOLO를 이용하여 돼지 머리 위치를 파악한 후, 경량화된 영상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돼지의 머리와 몸통 경계를 획득하고 머리를 제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즉, 빠른 영상처리 기법으로 이진화된 돼지의 영상 데이터에서 돼지의 몸통 중심점으로부터 돼지의 외곽선까지의 길이를 비교하여 돼지의 자세를 결정한다. 또한, 돼지의 머리 위치를 탐지하기 위하여 YOLO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 내의 돼지의 머리, 몸통, 엉덩이의 위치를 학습시킨 후, 곧은 자세의 돼지 머리 위치를 획득하고 머리 바깥 영역을 제거한다. 마지막으로 Convex-hull을 이용하여 돼지의 머리와 몸통 경계를 추정한 후, 머리를 제거한다. 실험 결과, 0.98의 정확도와 250.00fps의 수행속도로 돼지의 자세를 결정하였으며, 0.96의 정확도와 48.97fps의 수행속도로 돼지의 머리탐지 및 제거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Effects of temperature and water management in rice fields on larval growth of Pantala flavescens (Odonata: Libellulidae)

  • Bosomtwe Augustine;Jinu Eo;Myung-Hyun Kim;Min-Kyeong Kim;Soon-Kun Choi;So-Jin Yeob;Jeong-Hwan Bang;Owusu Danquah Eric
    • 환경생물
    • /
    • 제39권4호
    • /
    • pp.536-541
    • /
    • 2021
  • Pantala flavescens is a dominant Odonata species in the rice fields in Korea.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fferent temperatures on its larval growth and emergence, field and laboratory experiments were conducted. Larval growth was also monitored in mono-cropping and double-cropping rice fields. The growth of larvae was monitored every week by measuring the head width. In the field experiment, no difference was found in larval growth and emergence between the control temperature and +1.9℃ of the control temperature. The larval growth was greater at 23℃ than at 20℃ laboratory temperatures, and no emergence was recorded at either temperature after eight weeks of monitoring. There was a quadratic relationship between larval growth and temperature in an incubator at five temperature regimes of 15, 20, 25, 30, and 35℃. Midseason water drainage caused the extinction of the existing individuals and newly hatched larvae dominated after re-watering in the rice fields. Larval size was greater in double-cropping fields than in mono-cropping fields in late July but the tendency was reversed in early Augu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emperature warming will directly promote the larval growth of P. flavescens and indirectly influence seasonal growth via changes in water management in rice fields.

Gomisin A의 신혈관형성 저해를 통한 종양 성장 및 전이 억제 효과 (Gomisin A Inhibits Tumor Growth and Metastasis through Suppression of Angiogenesis)

  • 김도윤;유호진;윤미소;박주훈;장상희;이환명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9호
    • /
    • pp.1224-1230
    • /
    • 2012
  • 항암화학요법제는 의약품 시장 중 가장 큰 시장의 하나이며, 세계적으로 수많은 연구와 신약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암 세포 뿐만 아니라 정상세포와 조직에 대한 독성과 내성으로 인해 심각한 부작용이 지속되어, 최근 신혈관형성 억제와 천연물 유래의 암 치료제 개발이 많은 관심을 얻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오미자의 활성성분 중 하나인 Gomisin A의 종양성장 및 전이억제 효과와 이들의 작용기전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Gomisin A의 종양성장 억제활성은 B16BL6 cell line을 C57/BL6 mice의 피하에 주입하여 유도된 종양모델을 활용 하였으며, Gomisin A 10 ${\mu}g/ml$, 100 ${\mu}g/ml$에서 양성 대조군에 비해 각각 $80.5{\pm}8.1%$, $96.2{\pm}2%$의 유의한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Gomisin A의 암세포에 대한 직접적인 독성은 MTT assay를 통해 확인하였고, 정상세포(HUVECs)와 종양세포주(A549, B16BL6, Du145, Huh7)에 대한 유의한 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종양조직에 의해 유도되는 신혈관형성 억제능은 C57/BL6 mice에 배양된 B16BL6 cell line을 피하주사하여 종양조직을 형성하고, 이들이 유도하는 신생혈관에 대한 Gomsin A의 억제활성을 확인하였다. Gomisin A를 10 ${\mu}g$/head와 100 ${\mu}g$/head에서 신혈관형성 억제활성은 양성 대조군에 비해 각각 $151{\pm}16.9%$, $98.5{\pm}29.5%$의 유의한 감소활성을 나타내었다. 종양전이 억제활성은 B16BL6 cell line을 C57/BL6 mice 미정맥에 주입하여 in vivo 폐전이 모델을 만들고 폐에 전이된 종양의 colony를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Gomisin A의 농도 10 ${\mu}g$/head, 100 ${\mu}g$/head에서 각각 양성 대조군에 비해 $13.5{\pm}8.56%$, $58.3{\pm}9.12%$의 전이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Gomisin A는 B16BL6 cell line이 세포외기질에 대한 부착능을 유의하게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Gomisin A의 종양성장 억제활성이 암세포에 대한 직접적인 독성에 의한 것이 아닌 신혈관형성 억제에 의한 것이며, 또한 종양 전이 억제 활성을 나타냄으로서 향후, 암 예방 및 치료제 개발의 선도물질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오미자의 주요 생리활성 물질인 Gomisin A의 종양성장 억제 활성과 전이억제 활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Gomisin A가 종양성장 억제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효과는 종양세포에 대한 직접적인 독성에 의한 것이 아니라, 종양조직에 의해 유도되는 신혈관형성 저해 활성에 의해 나타나는 것을 규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부분의 항암화학요법제가 가지는 독성작용을 극복하고, 선택적인 종양성장 억제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시사하여 주고 있다. 또한 Gomisin A는 종양세포의 세포외기질 부착억제활성을 통해 암 전이 억제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지금까지의 결과는, Gomisin A를 활용한 부작용이 적으며 효과적인 암 치료제 개발의 선도 물질로서 활용 가능성을 나타내 주고 있으며, 또한 고 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의 개발에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향후 종양 면역활성, 암세포 자살 유도능과 같은 다양한 부분의 연구가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Effect of Floor Space Allowance on Pig Productivity across Stages of Growth: A Field-scale Analysis

  • Lee, Joon H.;Choi, Hong L.;Heo, Yong J.;Chung, Yoon 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5호
    • /
    • pp.739-746
    • /
    • 2016
  • A total of 152 pig farm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the five provinces in South Korea. During the experiment, the average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was $24.7^{\circ}C$ and 74% in summer and $2.4^{\circ}C$ and 53% in winter, respectively. The correlation between floor space allowance (FSA) and productivity index was analyzed, including non-productive sow days (NPD), number of weaners (NOW), survival rate (SR), appearance rate of A-grade pork (ARA), and days at a slaughter weight of 110 kg (d-SW) at different growth stages.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were i) to determine the effect of FSA on the pig productivity index and ii) to suggest the minimum FSA for pigs based on scientific baseline data. For the pregnant sow, NPD could be decreased if pregnant sows were raised with a medium level (M) of FSA (3.10 to $3.67m^2/head$) while also keeping the pig house clean which improves hygiene, and operating the ventilation system properly. For the farrowing sows, the NOW tended to decrease as the FSA increased. Similarly, a high level of FSA (H) is significantly negative with weaner SR of farrowing sows (p-value = 0.017), indicating this FSA tends to depress SR. Therefore, a FSA of 2.30 to $6.40m^2/head$ (very low) could be appropriate for weaners because a limited space can provide a sense of security and protection from external interruptions. The opposite trend was observed that an increase in floor space (> $1.12m^2/head$ leads to increase the SR of growing pigs. For the fattening pigs, H level of FSA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R, but M level of FSA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R, indicating that SR tended to increase with the FSA of 1.10 to $1.27m^2/head$. In contrast, ARA of male fattening pigs showed opposite results. H level of FSA (1.27 to $1.47m^2/head$) was suggested to increase productivity because ARA was most affected by H level of space allowance with positive correlation ($R^2=0.52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SA and d-SW of fattening pigs was hard to identify because of the low $R^2$ value. However, the farms that provided a relatively large floor space (1.27 to $1.54m^2/head$) during the winter period showed d-SW was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affected by FSA.

종근부위(種根部位) 및 지주형(支柱形)이 마의 생육(生育)과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Seminal Sections of Tuber and Staking Methods on Growth and Yield of Chinese Yam (Dioscorea batatas Decne))

  • 강동균;조지형;김상국;민기군;정상환;최부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70-175
    • /
    • 1998
  • 단마의 종근부위에 따른 수량성을 밝혀 적정 종근부위를 확인하고 새로운 지주설치 방법이 단마와 장마의 수량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다수확 재배기술을 확립코자 수행한 실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현기는 동부과 미부가 노두나 두부에 비하여 15일 정도 늦고, 출현율은 동부에서 다소 낮은 경향이였다. 2. 종근부위별 지상부의 생육은 두부가 가장 왕성하였고 지하부의 생육은 두부와 미부가 가장 왕성하였다. 3. 10a당 수량은 노두에 비하여 두부와 미부가 각각 16, 15% 증수를 보였으나 동부는 8%의 증수를 보였다. 4. 개화기와 영여자착생기는 모든지주설치 방법에서 비슷하였으나 지상부 생체중은 관행지주법에서 보다 네트를 이용한 ${\wedge}$, I형 지주에서 높았다. 5. 단마는 지주형에 따라 큰 수량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장마는 ${\wedge}$, I형 지주에서 각각 11.8%의 증수를 보였다. 6. 경영비를 고려할 때 네트지주형은 I형이 적합하였다.

  • PDF

일 농촌지역 여성결혼이주자 자녀의 신체성장과 발달 평가 (Evaluation of Physical Growth and Developmental Status of Infants and Children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Rural Areas)

  • 김태임;김미종;권윤정;전만길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6권2호
    • /
    • pp.164-174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hysical growth and developmental status of infants and children of married immigrant women.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92 infants and children aged from birth to 6 yr whose mothers were married immigrant women living in one rural area. Physical growth and developmental status were evaluated by using anthropometric assessment, and Korean Denver II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Results: Of the participants, 10.8% were below the 3rd percentile for weight, 13.0% for length, 5.4% for head circumference, and from 69.6% to 79.3% were distributed below the 50th percentile on growth charts. Further, 18.5% were classified as having questionable development. Factors related to low physical growth in infants and children were mother's weight and mother's level in Korean language classes. Conclusion: The physical growth and developmental status of children is vulnerable and serious. The study results suggest a need for regular growth and developmental evaluations. Political support is important for these mothers. In addition, there also is a need to develop early intervention strategies to promot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infants and children of these married immigrant women.

악성 혼합종의 임상적 고찰 (Malignant Mixed Tumor of Salivary Glands: A Clinical Study)

  • 오경균;이국행;이종호;심윤상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27-233
    • /
    • 1993
  • For malignant neoplasms of salivary tissues. two of the better determinants of progosis are histologic classification and size of the neoplasm. Proper management of these tumors requires an accurate diagnosis by the pathologist and correct interpretation by the surgeon. Malignant mixed tumors account for between 3 and 13 precent of all cancers of the salivary glands and 2 percent of all tumors in these locations. The typical history of these tumors is that of slowly growing mass demonstrating a sudden increase in growth. The duration of onset of the tumor mass and the diagnosis of malignancy has been demonstrated to be 10 to 18 years. The risk of malignat transformation of a benign mixed tumor increases with the duration of the tumor. We analyzed retrospectively 13 cases of malignant mixed tumor who visited from Jan. 1985 to Dec. 1992.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56.5 years. The origin of tumors were parotid gland 7 cases, submandibular gland 2 cases, and minor salivary gland 4 cases(palate 3 cases, tonsil pillar 1 case).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the AJCC on staging, stage I was 1 case, stage II 1 case, stage III 2 cases, and stage IV 9 cases. Histopathologically, carcinma ex pleomorphic adenoma were 12 cases and the true malignant mixed tumor was 1 case. The major treatment modalities were curative surgery, and radiation therapy followed. In conclusion, aggressive therapy of combined surgery and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is required for these lesions, and patients with known or suspected benign tumor should be encouraged to undergo surgery early on in their disease to avoid malignant degeneration at a later det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