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zardous Material Facilities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1초

위험물시설의 융합형 안전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vergence Safety Management Improvement of Hazardous Material Facilities)

  • 구재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47-53
    • /
    • 2018
  • 국가산업단지 내 위험물시설을 대상으로 위험물설비안전, 소방시설안전, 건축안전, 공간안전 분야에서 위험물시설의 안전관리 실태 조사 및 문제점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부분 법적 준수사항의 불이행 및 유지관리 상 화재 취약요인들이 지적되었다. 결과적으로 지적된 문제점 건수는 총 466건으로 이 중에서 위험물설비분야의 문제점이 가장 많이 지적되었다. 또한 위험물시설 중 제조소 및 일반취급소의 문제점 지적 건수가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안전진단제도의 융합적 도입 방향성 및 정밀안전진단의 제도적 도입 방안을 제시함에 따라 향후 국가산업단지의 안전관리역량의 강화에 기여할 것이다.

위험물시설의 설계·시공·감리업 등록제 도입에 대한 타당성 검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ssesment of Aalidity of Introducing of Design·Construction·Supervision Register Criteria Measures for Hazardous Materials Facilities)

  • 차정민;이용재;김인범;현성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1호
    • /
    • pp.27-3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미흡한 위험물시설설치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고 소방시설설치를 위한 설계 공사 감리업에 대한 등록제 도입에 대한 타당성을 조사하여 합리적 기준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위험물시설에 대한 설계 시공 및 감리업 등록제 도입방안 연구를 통해 국가적으로 위험물 시설에 대한 전문적이고 높은 수준의 안전성 확보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위험물시설의 설치와 관련하여 설계업과 감리업에 대한 등록기준을 제도화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공사업의 경우는 보다 점진적인 제도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기술력의 육성과 확보를 위해 국가자격의 신설을 고려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위험물 저장시설의 무기질 바닥마감재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Methods of the Inorganic Floor Finishing Material of Hazardous Material Storage Facilities)

  • 오동석;유철희;김병덕;김흠;박상민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5-43
    • /
    • 2014
  • 무기질 바닥마감재로 기존 위험물 저장시설의 유기질계 바닥재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 시공된 바닥재를 제거하는데 있어서 제거기와 바닥재의 물리적 충돌에 의해 불꽃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위험물 저장시설에서의 폭발에 의한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를 억제하도록 기존 바닥재를 제거하지 않고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상도제는 대전방지제가 함유되어 있어 위험물 저장시설에 있어서 바닥마감재 시공 후 발생될 수 있는 정전기에 의한 2차적 피해를 억제 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무기질 바닥마감재는 점검자의 안전 관리적 측면과 경제적 측면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수슬러지 소각시설의 중금속 배출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in sewage sludge Incinerator)

  • 박정민;이상보;김민정;김진필;김종춘;이석조;이상학
    • 환경위생공학
    • /
    • 제24권3호
    • /
    • pp.28-36
    • /
    • 2009
  • We have closely examined the concentration change characteristics, emission amounts, and the material balance of hazardous air pollutants at both early and later stages of the prevention facilities. These results will be uses as the basic data when preparing for the regulatory and management plans for hazardous air pollutants. The results of the study on heavy metals illustrated that the content of heavy metals in sludge across five facilities were as follows: copper> zinc> chrome> nickel> cadmium> mercury. In terms of heavy metal content in swage sludge, the sludge in incinerating facilities other than the sludge in the D incinerating facility containing industrial water waste, was examined in order to satisfy the ocean contamination standard and fertilizer specifications. Most of the items were shown to have satisfied the emission tolerance standards in the latter part of the prevention facilities(The average elimination rate was over 90%).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swage sludge containing high-concentrate heavy metals needs to be incinerated rather than recycled as fertilizer.

해양산업시설의 위험유해물질 해양배출 규제체계 개선의 필요성과 규제방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Regulations on the Emission of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from Marine Industrial Facilities)

  • 이문진;김계원;강원수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37-743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해양산업시설 현황과 규제법규 체계, 그리고 이들 시설의 위험유해물질 배출실태 등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규제체계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2020년말 현재, 해양환경관리법의 적용을 받는 해양산업시설은 약 1천1백여개소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들 해양산업시설로부터 배출되어 해양유입 가능성이 높은 위험유해물질은 190여종으로 추정되며, 이중 해양유입의 가능성이 가장 높은 물질은 수계로 배출되는 것으로 파악된 20여종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관련 법규정의 미비로 인하여, 배출되는 물질이 예외적 배출물질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명확히 판단하기가 어려워, 현장에서의 효과적인 규제집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해양환경관리법의 예외적 배출기준과 해당 물질의 종류에 대해 명확히 규정해야 하며, 예외적 배출물질을 무엇으로 할 것인지를 결정할 선정체계와 물질의 위해성 평가체계, 그리고 관련 위험유해물질의 배출정보수집 및 모니터링체계를 명확히 해야 한다.

The Study for Hazardous Material Incidents in Korea

  • Kim, Geun-Young;Il, James E. Moore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91-97
    • /
    • 2009
  • 유해물질은 다양한 기체 액체 고체형태로 수송될 때 인간의 안전과 건강, 재산에 예측할 수 없는 위험을 야기시킬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유해물질은 실수로 유출된다면 인명과 재산 그리고 환경측면에서 재난을 결과할 수 있다. 한국의 경제가 발전 할수록 유해물질의 사용은 증가한다. 그리고 유해물질 사고의 총 건수와 영향 역시 증가하게 되어 유해물질 사고의 위험도도 증가하고 있다. 다양한 유형의 유해물질이 공급지에서 수요지로 이동할 때 유해물질 사고의 유형과 특성이 어떠한가를 아는 것은 재난관리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유해물질 사고를 발생시키는 유해물질의 유형과 특성을 조사하고, 시설과 교통측면에서 유해물질 사고의 시계열적 추세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빈도분석, 교차분석과 같은 통계분석기법을 유해물질 사고의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하기 위해 적용하였다.

Identifying Characteristics of Incidents at Hazardous Material Facilities

  • Kim, Geun-Young;Kim, Sang-Won;Won, Jai-Mu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9권6호
    • /
    • pp.51-56
    • /
    • 2009
  • 안전 및 품질 평가시스템은 유해물질 재난을 예방하기 위해 유해물질의 생산 저장 수송 취급에 매우 중요하다. 현재 유해물질은 플라스틱, 가정의 세척제, 비료 또는 석유관련제품으로 우리의 일상생활 어디에서든지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유해물질은 인간이나 환경에 누출되었을 때 매우 위험한 물질이다. 유해물질은 석유기반 경제시대에 매우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환경부는 전세계적으로 유해물질의 유형이 약 십만개가 넘을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또한 매년 4백개 이상의 새로운 물질이 개발되고 있다. 따라서 유해물질 관리측면에서 우리는 유해물질 사고로부터 안전한가에 대해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1984년에 발생해 6,400명이 넘는 사망자와 3만명 이상의 부상자를 낸 인도 보팔사고는 이러한 우리의 유해물질 안전에 대한 불안을 증폭시키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우리나라는 최근 산업의 고도화로 각종 유해물질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낙후된 유해물질 관리시스템을 자기관리가 가능한 안전시스템으로 전환하기 위한 위험평가시스템의 구축이 우리사회에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유해물질 위험평가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반을 제공하기 위해 지난 10년동안 유해물질 관련시설에서 발생한 사고사례들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여 유해물질 시설사고의 특성을 빈도분석, 교차분석 등의 통계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고시설 유형과 연도, 계절, 발생지역, 사망자 발생간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증표준물질을 이용한 중금속류와 플루오르화물 전처리방법 비교 연구 (Evaluation of analytical methods for several metals and fluoride by certified reference materials)

  • 전태완;정다위;신선경;최훈근;정영희
    • 분석과학
    • /
    • 제19권2호
    • /
    • pp.172-180
    • /
    • 2006
  • 본 연구는 유해폐기물에 의한 환경오염을 예방하기 위해 폐기물 시험방법과 신규 항목을 설정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국내외 유해폐기물의 규제기준, 시험항목 등을 조사검토하여 유해물질에 대한 우선순위를 선정하였다. 선정한 Ba, Be, Cr(VI), F, Ni, Sb, Se, V 8종의 유해물질을 함유한 오니, 폐유, 소각재 등 폐기물 인증표준물질을 사용하여 전처리방법을 비교분석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시험방법(안)을 확립하고, 관련 항목 배출 가능성이 있는 표본사업장을 선정하여 시료 37건을 채취분석하였다.

국외 NaTech 사례연구를 통한 재난관리 방안 고찰 (Discussions on the Disaster Management for NaTech based on the Foreign Case Studies)

  • 유병태;백종배;고재욱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1-117
    • /
    • 2016
  • Natural disasters can cause major accidents in chemical facilities where they can lead to the release of hazardous materials which in turn can result in fires, explosions or toxic dispersion. Technological disasters triggered by natural disasters are referred to as NaTech(Natural Disaster Triggered Technological Disaster). These trends increase the probability of catastrophic future disasters and the potential for mass human exposure to hazardous materials released during disasters. In the present study, we proposed some methods for effective disaster management by conducting case study of major NaTech. First, establishing information sharing system of chemical accident for stakeholders and improving disaster manuals and standards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and co-operation support system. Second, activating information service of emergency planning and community right to know. Third, improving the integrated chemical accident database including NaTech accidents.

위험물질 수송 시 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isk Assessment in Transporting Hazardous Material)

  • 류병태;고재욱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53-58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의 고정설비에 대한 정량적 위험성 평가에서 벗어나 위험물질 수송 시 고려되는 여러 가지 요소들을 확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잠재위험성을 확인하였다. 수송 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위험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수송 시 발생할 수 있는 최악의 사고 시나리오와 대안적인 사고 시나리오를 통하여 피해 영향 범위에 대한 개인적 위험성 및 사회적 위험성을 평가하였으며 최적의 경로를 선정하였다. 이러한 평가를 기반으로 수송 시 중대사고의 피해 영향 범위에 대한 효율적인 위험성 감소 대책과 지역사회, 공공기관, 산업체들과의 연계를 통한 사고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체계적인 비상대응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