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zard area

검색결과 899건 처리시간 0.022초

추가령단층대의 중력장 데이터 해석 (Expected Segmentation of the Chugaryung Fault System Estimated by the Gravity Field Interpretation)

  • 최승찬;최은경;김성욱;이영철
    • 자원환경지질
    • /
    • 제54권6호
    • /
    • pp.743-752
    • /
    • 2021
  • 추가령 단층대가 발달하는 서울-경기 지역에서 단층의 3차원적인 규모를 확인하기 위해서, 곡률 분석(Curvature analysis)과 오일러 디콘볼루션(Euler deconvolution) 등의 중력장 해석 방법을 이용하여 잔여 중력이상을 해석하였다. 또한 2000년 이후 발생한 진앙과 비교하여 단열 특성을 비교하였다. 부게이상에서 포천단층은 경기 북부에서 서울의 중심부를 지나서 서해안 지역까지 연결된 약 100 km 단층으로 진앙이 빈도가 높아 활성 단층의 가능성이 있고, 단층을 경계로 동서 방향으로 7 km 정도의 변위가 관찰된다. 왕숙천단층은 서울을 중심으로 북동부와 서남부로 분절되어 있으나 지하에서 연결을 암시하는 단층 분절로 추정되는 중력이상대가 관찰된다. 특히 2010년 시흥에서 발생한 규모 3.0의 지진은 남북 방향으로 발달하는 20 km 길이의 단층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동두천단층의 서쪽 지역(≒5,500 m)은 중력경계면이 동쪽 지역(≒4,000 m)보다 깊게 나타나며 이는 동두천단층을 중심으로 서쪽 지역과 동쪽 지역의 지구조적인 운동이 다르다는 것을 시사한다. 동두천단층에서 발달한 파쇄대의 최대 깊이는 약 6,500 m이며 연구 지역에서는 가장 깊다. 포천 단층은 약 6,000 m, 왕숙천 단층은 약 5,000 m, 경강 단층은 약 6,000 m 깊이까지 파쇄대가 연장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봄철 영·호남 지역에서 유통되는 생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의 미생물학적·화학적 위해요소 분석 및 안전성 평가 (Risk Analysis and Safety Assessment of Microbiological and Chemical Hazards in the Raw Short-Neck Clams Ruditapes philippinarum Distributed in the Yeongnam and Honam Area During the Spring Season)

  • 김지윤;전은비;송민규;김진수;이정석;허민수;박신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4권6호
    • /
    • pp.896-903
    • /
    • 2021
  • For the safety assessment of microbiological and chemical hazards in raw short-neck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distributed in the Yeongnam and Honam areas during the spring season, the contamination levels of total viable bacteria, coliforms, Escherichia coli, and nine pathogenic bacteria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spp., Vibrio parahaemolyticus, Clostridium perfringens, Listeria monocytogenes,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Yersinia enterocolitica, Bacillus cereus, Campylobacter jejuni) as microbiological hazards, and heavy metals (lead, cadmium, total mercury), benzopyrene, shellfish poison (paralytic, diarrhetic, amnesic), and radioactivity (131I, 134Cs+137Cs) were also analyzed in 15 samples based on the methods of the Korean Food Code. The average contamination levels of total viable bacteria were 3.11 (1.40-4.49) log CFU/g, and coliforms were detected in 5 out of 15 samples (1.18-1.85 log CFU/g). E. coli and S. aureus were not detected in all samples. Furthermore, the presence of 8 pathogens were not detected in all samples. The average contamination levels of lead, cadmium, and total mercury were 0.155 (0.079-0.264), 0.160 (0.040-0.287), and 0.017 (0.008-0.026) mg/kg, respectively. Benzo(a)pyrene, shellfish poison, and radioactivity were not detected in all samp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safety against all microbiological and chemical hazard factors in raw short-neck clams distributed in markets has been assured.

초음파검사에서 인체모의 매질팬텀을 이용한 온도 변화와 TI MI 분석 (An Analysis of Temperature Change and TI MI using Tissue Mimicking Phantom in Ultrasonic Examination)

  • 전철민;한재복;곽종길;송종남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751-759
    • /
    • 2022
  • 현재 진단 초음파 및 건강검진 목적의 초음파 검사는 널리 이용되고 있고 건강보험 적용으로 더욱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초음파검사의 위해성은 현재까지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어 초음파 검사 시 인체 조직의 온도가 상승하는 열효과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에서는 인체 모의 매질 팬텀을 이용해 주파수, 모드별에 따른 표면과 심부 온도 변화를 시간별로 측정하였고 TI, MI 값도 비교하였다. 인체와 유사한 음향 특성 있는 카파 카라기난 분말과 고형화를 위해 염화칼륨을 소량 첨가하여 모의 팬텀 제작하였고 표면 온도계와 탐침용 온도계를 사용하여 표면과 심부 온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저주파수를 사용하는 Convex Probe가 고주파를 사용하는 Linear Probe보다 높은 온도 상승을 보여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표면에서 온도 상승이 가장 높았으며 1 cm의 낮은 깊이는 일시적 온도상승은 나타내지만 유의미한 온도변화는 없었다. 5 cm ~ 15 cm의 심부온도 변화는 없었으며 검사 시간동안 TI, MI값은 변화가 없었다. 이는 15분 실험동안 표면온도만 상승하였고 심부에는 온도변화가 없었기 때문에 인체에 유해할 만큼의 온도 변화를 나타내지 않을 것으로 사료되며 통상적인 진단초음파의 15분의 검사시간은 임상에서의 사용에는 무리가 없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특정 부위의 장시간 검사는 온도 상승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지양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Prediction of 6-Month Mortality Using Pre-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Lactate in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 Undergoing Veno-Arterial-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 Kim, Eunchong;Sodirzhon-Ugli, Nodirbek Yuldashev;Kim, Do Wan;Lee, Kyo Seon;Lim, Yonghwan;Kim, Min-Chul;Cho, Yong Soo;Jung, Yong Hun;Jeung, Kyung Woon;Cho, Hwa Jin;Jeong, In Seok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5권2호
    • /
    • pp.143-150
    • /
    • 2022
  • Background: The effectiveness of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for patients with refractory cardiogenic shock or cardiac arrest is being established, and serum lactate is well known as a biomarker of end-organ perfusion. We evaluated the efficacy of pre-ECMO lactate for predicting 6-month survival in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 (ACS) undergoing ECMO.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148 patients who underwent veno-arterial (VA) ECMO for ACS between January 2015 and June 2020. These patients were divided into survivors and non-survivors based on 6-month survival. All clinical data before and during ECMO were compared between the 2 groups. Results: Patients' mean age was 66.0±10.5 years, and 116 (78.4%) were men. The total survival rate was 45.9% (n=68). Cox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pre-ECMO lactate level wa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6-month mortality (hazard ratio, 1.210; 95% confidence interval [CI], 1.064-1.376; p=0.004). The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of pre-ECMO lactate was 0.64 (95% CI, 0.56-0.72; p=0.002; cut-off value=9.8 mmol/L).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 showed that the cumulative survival rate at 6 months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patients with a pre-ECMO lactate level of 9.8 mmol/L or less than among those with a level exceeding 9.8 mmol/L (57.3% vs. 31.8%, p=0.0008). Conclusion: A pre-ECMO lactate of 9.8 mmol/L or less may predict a favorable outcome at 6 months in ACS patients undergoing VA-ECMO. Further research aiming to improve the accuracy of predictions of reversibility in patients with high pre-ECMO lactate levels is essential.

코로나19 발생 전후 상권 생존율 변화 분석 - 서울 강남구와 대구 수성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nge in the business closure rate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using survival analysis - Focused on Gangnam-gu, Seoul and Suseong-gu, Daegu)

  • 박진백;김민섭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121-126
    • /
    • 2022
  • 본 연구는 상권의 형성 배경이나 분포 등이 유사하지만 지역간 독립적인 지역으로 서울 강남구와 대구 수성구를 분석 대상으로 코로나19 발생 전후 상권의 생존율을 분석하였다. 기초분석에서는 상권의 규모는 서울 강남구가 훨씬 더 크지만, 업종별 분포가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다. 두 지역은 공통적으로 코로나19가 발생하기 전에는 개업이 폐업보다 많았지만, 코로나19가 발생함에 따라 대면서비스 중심의 업종의 폐업배율이 크게 증가하였다. 생존 분석결과, 코로나19 이전에는 대부분의 업종이 학원의 폐업위험과 무차별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코로나19 발생 이후에는 학원의 폐업위험보다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특히 초기 코로나19 확산지역이었던 대구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지역간 생존율을 비교를 한 결과에서는 코로나19 발생 이후 상대적으로 강남구의 폐업위험이 높아진 것으로 분석되어 유동인구가 많은 서울 상권의 위축이 더 컸음을 확인하였다.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시행 여부에 따른 실내 PM2.5 농도 분포 및 노출에 따른 건강위해성 평가 (Indoor PM2.5 Concentration Distribution and Health Risk Assessment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a Seasonal Management System)

  • 박신영;윤단기;장혁;윤성원;이철민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218-227
    • /
    • 2023
  • Background: Since 2019, the Ministry of Environment has implemented a seasonal fine dust management system from December to March, targeting high PM2.5 levels with the aim of reducing PM2.5 concentrations and protecting public health. The focus of improving the seasonal management system lies in the atmospheric PM2.5 levels. Considering the primary goal of protecting public health,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policy effects from an exposure perspective rather than a concentration-based approach.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quantitatively assess the improvement of indoor PM2.5 levels and the health impacts of the seasonal management system by comparing the periods before and during its implementation in residential environments. Methods: PM2.5 concentrations within residential environments in a metropolitan area were measured using an optical particle counter (IAQ-C7, K-weather, Ltd, Korea) at one-minute intervals during the pre-implementation period (November 21~25, 2022) and during the implementation period (December 19~23, 2022). Based on the measured PM2.5 concentrations, a quantitative evaluation of cancer and mortality risks was conducted according to age and gender. Results: The results of comparing indoor and outdoor PM2.5 concentrations before and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seasonal management system showed a decrease of approximately 56.6% and 47.9%, respectively. Health risk assessments revealed that both the safety-limit-based and safety-target-based Hazard Quotients (HQ) exceeded the threshold of 0.1 for children under 19 years of age, both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The mortality risk decreased by approximately 47.9% after the implementation, with children aged 0-9 showing the highest mortality risk at 0.9%.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firmed the positive health impacts of the seasonal management system across all age groups, particularly children under 19 who are more vulnerable to fine dust exposure.

Delphi/AHP 기반 발사장 주변 및 비행경로의 해상안전 강화를 위한 위협요인 분석 (An Analysis of Threat Factors for Strengthen Maritime Safety around Delphi/AHP-Based Launch Site and Flight Paths)

  • 신안태;박병문;변헌수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1권2호
    • /
    • pp.208-216
    • /
    • 2023
  • 본 연구는 Delphi/AHP 기법을 사용하여 발사장 주변 및 비행경로의 해상안전 강화를 위한 위협요인 및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우선 Delphi 기법으로, 발사체/공공안전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4개 질문(발사안전통제 필요성, 발사 공공안전 확보 최우선 고려사항, 해상안전 확보를 위하여 개선할 사항, 해상안전 위협요인)에 대하여 20개 항목으로 답변을 도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AHP 기법으로 각 항목의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AHP 분석결과 4개 질문에 대한 평균 일관성 비율은 4.8%이고, 각 측정지표의 일관성 비율은 3.9~5.7%로써 CR ≤ 0.1(10%) 보다 낮으므로 모두 일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고려한 결과, 발사안전통제가 필요한 이유로 발사 사고 시 인적, 물적으로 큰 피해가 발생 가능성 때문(0.36)으로, 발사안전통제에서 최우선으로 고려할 사항은 위험구역 내 인원, 장비, 시설의 안전 확보(0.31)로 나타났다. 또한, 발사 해상안전 위협요인으로 가장 우려되는 항목은 통제해역 내 선박의 무단 진입, 통제 불가 상황(0.30)이며, 현재 개선하여야 할 대책으로는 이러한 상황을 법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근거마련(0.32)이 가장 시급하다고 나타났다. 본 논문은 위협요인을 전문가 의견 수렴을 통하여 도출하고,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객관적으로 평가한 부분에 의미가 있다. 향후 위험성 평가 및 안전통제 계획수립 단계에서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Hypoalbuminemia and Albumin Replacement during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in Patients with Cardiogenic Shock

  • Jae Beom Jeon;Cho Hee Lee;Yongwhan Lim;Min-Chul Kim;Hwa Jin Cho;Do Wan Kim;Kyo Seon Lee;In Seok Jeon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6권4호
    • /
    • pp.244-251
    • /
    • 2023
  • Background: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has been widely used in patients with cardiorespiratory failure. The serum albumin level is an important prognostic marker in critically ill patients. We evaluated the efficacy of using pre-ECMO serum albumin levels to predict 30-day mortality in patients with cardiogenic shock (CS) who underwent venoarterial (VA) ECMO.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114 adult patients who underwent VA-ECMO between March 2021 and September 2022.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survivors and non-survivors. Clinical data before and during ECMO were compared. Results: Patients' mean age was 67.8±13.6 years, and 36 (31.6%) were female. The proportion of survival to discharge was 48.6% (n=56). Cox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pre-ECMO albumin level independently predicted 30-day mortality (hazard ratio, 0.25; 95% confidence interval [CI], 0.11-0.59; p=0.002). The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of albumin levels (pre-ECMO) was 0.73 (standard error [SE], 0.05; 95% CI, 0.63-0.81; p<0.001; cut-off value=3.4 g/dL).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 showed that the cumulative 30-day mortal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a pre-ECMO albumin level ≤3.4 g/dL than in those with a level >3.4 g/dL (68.9% vs. 23.8%, p<0.001). As the adjusted amount of albumin infused increased, the possibility of 30-day mortality also increased (coefficient=0.140; SE, 0.037; p<0.001). Conclusion: Hypoalbuminemia during ECMO was associated with higher mortality, even with higher amounts of albumin replacement, in patients with CS who underwent VA-ECMO.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predict the timing of albumin replacement during ECMO.

암모니아 연료추진 선박의 벙커링 누출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azard Area of Bunkering for Ammonia Fueled Vessel)

  • 신일섭;천정민;이지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9권7호
    • /
    • pp.964-970
    • /
    • 2023
  • 국제해사기구의 온실가스 감축 노력으로, 해운 산업에서는 저탄소 연료로서 액화천연가스와 메탄올, 그리고 무탄소 연료로서 수소와 암모니아가 대두되고 있으며, 환경 친화적인 연료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암모니아의 경우 화물로써 운반선을 통한 상당 기간의 운항 경험을 보유하고 있으며, 24년 하반기에는 암모니아 선박 엔진이 공급 예정으로, 상용화가 상대적으로 용이한 연료 중 하나로 간주되고 있다. 그러나 암모니아를 연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독성의 문제점을 극복해야할 필요가 있다. 5ppm 수준의 농도에서 후각으로 판단이 가능하며, 300ppm 이상을 30분 이상 흡입할 경우 회복이 불가능한 상태에 이를 수 있는 독성물질이다. 화학물질안전원에서 제공하는 KORA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암모니아 벙커링시 누설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에 대하여 평가하였으며, 1분간의 누설로 인해서 반경 약 7.5km에서 5ppm의 영향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부산시 주요지역에 해당하며, 인체에 치명적일 수 있는 300ppm의 경우 벙커링 인근 인구밀집지역 및 학교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암모니아 벙커링 관련 법제도가 부재한 상태로 작은 누설에도 광범위한 지역에 독성의 영향이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지자체, 소방, 환경관서 등과의 유기적인 체계 구축이 마련될 수 있도록 법제도 개발이 필요하다.

차량 전도 위험 영향 평가를 위한 도로 취약성 기준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imation of Road Vulnerability Criteria for Vehicle Overturning Hazard Impact Assessment)

  • 추경수;강동호;김병식;송인재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49-56
    • /
    • 2023
  • 영향예보는 기존의 기상요소 중심의 예보에서 벗어나 기상상황에 따른 잠재적 사회경제적 위험도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상 선진국들은 영향정보 제공 및 확산을 위한 기술개발에 인력과 재정을 투입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영향예보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어 있지 않다. 또한 영향예보 피해가 많이 발생하는 홍수, 태풍 등의 재난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상대적으로 피해발생이 적은 교통 분야의 강풍으로 인한 차량 위험 영향 평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국내에서는 강풍으로 인한 차량 전도에 대한 피해 사례는 많이 없지만 과거 피해 사례가 존재하며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강풍으로 인한 차량의 위험(Risk) 평가를 위해서는 도로의 취약성(Vulnerability)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도로의 취약성 기준을 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도로의 취약성 평가는 도로의 고도, 차선 수, 도로 유형으로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사고사례가 있던 지역의 취약성 지역을 잘 재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성과를 이용하여 차량 운전자에게 잠재적 위험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 마련에 대한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