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zard analysis

검색결과 2,748건 처리시간 0.041초

HAZARD ASSESSMENT OF CURRENT STATE OF VEGETATION DEGRADATION USING GIS, A CASE STUDY: SADRA REGION, IRAN

  • Masoudi, Masoud;Amiri, E.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6권1호
    • /
    • pp.49-56
    • /
    • 2013
  • The entire land of Southern Iran faces problems arising out of various types of land degradation of which vegetation degradation forms one of the major types. The present work introduces a model developed for assessing the current status of hazard of vegetation degradation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This kind of assessment differs from those assessments based on vulnerability or potential hazard assessments. The Sadra watershed which covers the upper reaches of Marharlu basin, Fars Province, has been chosen for a hazard assessment of this type of degradation. The different kinds of data for indicators of current status of vegetation degradation were gathered from collecting of field data and also records of the governmental offices of Iran. Taking into consideration three indicators of current status of vegetation degradation the model identifies areas with different hazard classes. By fixing the thresholds of severity classes of the three indicators including per cent of vegetation cover, biomass production and ratio of actual biomass to potential biomass production, a hazard map for each indicator was first prepared in GIS. The final hazard map of current status of vegetation degradation was prepared by intersecting three hazards in the GIS. Results show areas under severe hazard class have been found to be widespread (89 %) while areas under moderate and very severe hazard classes have been found less extensive in the Sadra watershed. The preparation of hazard maps based on the GIS analysis of these indicators will be helpful for prioritizing the areas to initiate remedial measures.

식품 위해요인 배제 급식에 대한 영양교사 및 영양사의 인식 및 사용실태 - 서울시교육청 '5무(無) 급식' 사업 중심으로 - (The Awareness and Usage of School Meals Excluding Food Hazards by Nutrition Teachers and Dieticians - Focusing on the 5 Hazard-free Meals Project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

  • 이혜리;박영일;주나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1-61
    • /
    • 2022
  • This study aimed 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dietitians who purchase ingredients for school meals. Therefore, for the study, the awareness and usage of nutritional information by 108 teachers and dieticians on 5 hazard-free meals using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were investigated during May 18~21, 2021. Among the five questions that asked the general perceptions of school meal dietitians of 5 hazard-free meals, the perception that the "5 hazard-free foods can be easily distinguished" was the lowest. Problems were associated with using the 5 hazard-free meals such as "expensive price," "no variety in items," "disruption in the supply and demand," "inconsistent quality," and "lack of taste," in that order. Therefore, to improve 5 hazard-free school meal service, it is necessary to not only lower the price burden by providing subsidies to schools but also improve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structure of various 5 hazard-free foods.

건축물내 통신용 케이블의 화재위험성 분석에 관한 실험연구 (A Experimental Study on the Fire Hazard Analysis For Communication Cable in Buildings)

  • 홍성호;최문수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20-25
    • /
    • 2011
  • This study presents on the fire hazard analysis of communication cable in buildings. In order to analyze fire hazards for communication cable IEC 60332-1, UL 94 and cone calorimeter test are conducted. The number of cable used to experiment is 10 communication cable which are generally applied to data communication in buildings. The results show that 9 cables do meet the performance requirement of IEC 60332-1 and 8 cables are V-0 classification. IEC 60332-1 and UL 94 test are inadequate for fire hazard classification. The various parameters obtained by cone calorimeter test such as HRR, peak HRR, smoke production rate and so on. Also it is able to evaluate multiply fire hazard for communication cable with cone calorimeter test results.

결정론적 홍수위 추적 모형을 이용한 우이천 유역의 홍수범람도 작성 (Flood Hazard Map in Woo Ee Stream Basin Using Conclusive Hydraulic Routing Model)

  • 문영일;윤선권;김재현;안재현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637-640
    • /
    • 2008
  • Flood control and river improvement works are carried out every year for the defense of the flood disaster, it is impossible to avoid the damage when there is a flood exceeding the capacity of hydraulic structures. Therefore, nonstructural counter plan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flood hazard maps, the flood warning systems are essential with structural counter plans. In this study, analysis of the internal inundation effect using rainfall runoff model such as PC-SWMM was applied to Woo Ee experimental stream basin. Also, the design frequency analysis for effects of the external inundation was accomplished by main parameter estimation for conclusive hydraulic routing using HEC-RAS model. Finally, inundated areas for flood hazard map were estimated at Woo Ee downstream basin according to flood frequency using HEC-GeoRAS model linked by Arc View GIS.

  • PDF

확률론적 지진재해도 분석을 위한 지진원 모델의 민감도 분석 (Sensitivity Analysis of Seismic Source Models for Probabilistic Seismic Hazard Analysis)

  • 김연중;전정윤;김태균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2003년도 추계 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36-45
    • /
    • 2003
  • Sensitivity analyses for several seismic source models were studied. For the area sources, the hazard is steeply decreasing with the source-to-site distance. Hazard is decreasing when the area of the source is increasing with fixed annual rate. For the fault sources, the fault length, distance from a site and dip angle of near fault show very sensitive effect to seismic hazard. But the various magnitude-rupture length relationships show effect to seismic hazard slightly. For the fault source with small magnitude, the exponential model is preferred rather than the characteristic model to the magnitude-recurrence law.

  • PDF

소방시설의 내진설계를 위한 등재해도 스펙트럼 (Uniform Hazard Spectrum for Seismic Design of Fire Protection Facilities)

  • 김준경;정기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1호
    • /
    • pp.26-35
    • /
    • 2017
  • 미국 노스리지 지진(1994)과 일본 고베지진(1995) 발생 이후 다양한 구조물 및 건축물을 설계 할 때 성능기반 내진설계 개념을 적용하고 있다. 최근 국내 소방시설물에 대해서도 내진설계기준이 제정되어 내진설계 규정에 따라 적합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성능기반 설계가 도입되면서 구조물 중요도에 따라 기능수행, 즉시복구, 인명보호, 붕괴방지 등 각각의 성능에 적합한 연발생빈도의 등재해도 스펙트럼이 요구되고 있다. 확률론적 방법을 적용하여 국내 주요 5개 도시에 대해 등재해도 스펙트럼(uniform hazard spectrum)을 분석하였다. 지진 및 지체구조 관련된 전문가 패널은 10인이며 전문가 패널이 제시한 다수의 지진지체구조구 모델 및 다양한 지진동 감쇠식을 적용하였다. 분석대상 진동수는 (0.5, 1.0, 2.0, 5.0, 10.0) Hz이고 또한 PGA(최대지반가속도) 결과를 이용하여 500년, 1,000년 및 2,500년 등 3개 주요 성능기준에 해당하는 재현주기에 대해 등재해도 스펙트럼을 분석하였다. 민감도 분석에 의하면 지진지체구조 구 모델 변수보다 지반진동 감쇠식 변수가 지진재해도에 보다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반적으로 등재해도 스펙트럼은 10 Hz에서 최대 지진재해도를 보여 주었고, 기존 연구 및 관련 기술기준에 제시된 등재해도 스펙트럼의 수준 및 모양 특성과 대단히 유사하였다.

공간 분석 기반 지진 위험도 정보를 활용한 우리나라 지진 취약 지역 평가 (Assessment of Regional Seismic Vulnerability in South Korea based on Spatial Analysis of Seismic Hazard Information)

  • 이선영;오석훈
    • 자원환경지질
    • /
    • 제52권6호
    • /
    • pp.573-586
    • /
    • 2019
  • 우리나라 전역을 대상으로 공간 분석 기반 지진 위험 지도를 작성하고 지진 취약 지역을 평가하였다. 지진 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지질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지표를 선정하였으며, 지진 활동 위험과 관련된 확률론적 지진 위험도 및 단층 특성, 지진 피해 위험과 연관된 기반암 심도 정보가 이용되었다. 각 지표는 정규 크리깅, 선 밀도 및 가변적 지역 평균 기반 단순 크리깅과 같은 GIS 및 지구 통계학 기법을 활용하여 공간 정보로 구축되었다. 구축된 세 가지 공간 정보는 연구 목적, 자료의 해상도 및 정확도에 따라 가중치를 할당하여 통합되었다. 지진 활동 위험 지표인 확률론적 지진 위험도와 단층 선 밀도의 경우 데이터의 불확실성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경향성 만을 반영하고자 먼저 가중 합한 후, 지진 피해 위험 지표인 기반암 심도 분포와 통합되었다. 이를 통해 세 가지 공간 자료의 분석에 기반한 지진 위험 지도가 작성되었으며, 우리나라 남동부와 북서부 지역이 지진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지진 재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지진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5개 주요 도시에 대한 등재해도 스펙트럼 (Uniform Hazard Spectra of 5 Major Cities in Korea)

  • 김준경;위성훈;경재복김준경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62-172
    • /
    • 2016
  • 최근 미국 노스리지 지진(1994)과 일본 고베 지진(1995) 발생 이후 다양한 구조물 및 건축물을 설계할 때 성능 기반 설계 개념이 적극적으로 도입되고 있다. 성능기반 설계가 도입되면서 구조물 각각의 성능에 적합한 연발생빈도의 등재해도 스펙트럼이 요구되고 있다. 10 인의 지진 및 지체구조 전문가가 제시한 국내 및 미국 중동부에서 개발된 스펙트럴 지반진동 감쇠식과 다수의 지진지체구조구 모델을 사용하였다. 인구 밀도가 높은 5개 주요 도시에 대해 확률론적 방법을 이용하여 등지진재해도 스펙트럼을 분석하였다. 0.5, 1.0, 2.0, 5.0, 10.0 Hz 및 PGA에 대해 확률론적 지진재해도 결과를 이용하여 500년, 1,000년 및 2,500년의 3개 재현주기에 대해 등재해도 스펙트럼을 분석하였다. 민감도 분석 결과 각각의 고유 진동수에 해당하는 지반진동 감쇠식이 지진지체구조구 모델에 비하여 지진재해도에 보다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등재해도 스펙트럼은 공통적으로 10 Hz에서 최대값을 보여 주었고, 원자력 관련 기술기준 또는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등지진재해도 스펙트럼과 수준과 모앙 특성에서 유사성을 보여주었다.

Blast fragility of base-isolated steel moment-resisting buildings

  • Dadkhah, Hamed;Mohebbi, Mohtasham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21권5호
    • /
    • pp.461-475
    • /
    • 2021
  • Strategic structures are a potential target of the growing terrorist attacks, so their performance under explosion hazard has been paid attention by researchers in the last years. In this regar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blast-resistance performance of lead-rubber bearing (LRB) base isolation system based on a probabilistic framework while uncertainties related to the charge weight and standoff distance have been taken into account. A sensitivity analysis is first performed to show the effect of explosion uncertainty on the response of base-isolated buildings. The blast fragility curve is then developed for three base-isolated steel moment-resisting buildings with different heights of 4, 8 and 12 stories. The results of sensitivity analysis show that although LRB has the capability of reducing the peak response of buildings under explosion hazard, this control system may lead to increase in the peak response of buildings under some explosion scenarios. This shows the high importance of probabilistic-based assessment of isolated structures under explosion hazard. The blast fragility analysis shows effective performance of LRB in mitigating the probability of failure of buildings. Therefore, LRB can be introduced as effective control system for the protection of buildings from explosion hazard regarding uncertainty effect.

자동차 기능안전성을 위한 온톨로지 기반의 위험원 분석 및 위험 평가 (An Ontology-Based Hazard Analysis and Risk Assessment for automotive functional safety)

  • 노현경;이금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9-17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자동차 기능안전 표준인 ISO 26262에서 요구하는 위험원 분석 및 위험 평가에서 온톨로지와 추론 규칙을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위험원 분석 및 위험 평가는 일반적으로 수작업으로 수행되어 많은 노력이 소요되고 오류가 발생하기 쉬우며 일관성과 정확성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위험원을 온톨로지로 표현하고, 평가를 위한 온톨로지 규칙을 정의하여 자동화하고 일관성 및 정확성 문제를 개선한다. 본 제안 방법을 검증하기 위해서 ESCL(electronic steering column lock) 시스템에 적용하였다. 온톨로지 규칙 적용 결과를 DL(Description Logics) Query를 실행하여 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위험 평가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파악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