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sh Chain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29초

IoT 환경에서 해시 체인 기반 센서 상호 인증 기법 (Mutual Authentication Method for Hash Chain Based Sensors in IoT Environment)

  • 이광형;이재승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303-309
    • /
    • 2018
  • 사물인터넷 기술은 모든 사물을 인터넷에 연결하고 상호 작용하는 지능형 서비스로 군사지역의 탐색 목적은 물론 산업시스템에서의 디바이스 관리, 공정 관리, 비인가 지역의 모니터링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 가능한 기술이다. 하지만, 모든 기기들이 인터넷에 연결됨에 따라, 보안 취약점을 이용하는 다양한 공격으로 경제적 손실이나 개인정보 유출 등 다양한 피해를 발생 시키고 있으며, 추후 의료 서비스나 군사적 목적의 취약점 공격을 이용할 경우 인명 피해까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안하는 논문에서는 통신 과정에서 해시체인 기반의 S/Key기술을 적용하여 디바이스간 상호인증과 키 생성과 갱신 등의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서 다양한 보안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상호인증 방법에 대해 연구 하였다. 제안하는 프로토콜은 이기종간 보안 통신에 적용 가능하며, IoT 환경에서 잘 알려진 공격인 재사용 공격, 중간자 공격, 데이터 무결성 등에 안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스마트그리드 환경에 적용 가능한 해쉬체인 기반의 그룹키 관리 메커니즘 (Hash chain based Group Key Management Mechanism for Smart Grid Environments)

  • 은선기;오수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149-160
    • /
    • 2011
  • 스마트그리드는 기존의 전력망과 정보통신 기술을 융합하여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는 차세대 지능형 전력망이다. 이는 소비자에게는 전력 요금의 실시간 확인을 통해 능동적인 전력소비를 유도하고, 공급자에게는 예상 발전량 측정을 통해 보다 안정적인 전력 시스템을 운용하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스마트그리드는 지능형 장치를 통한 양방향 통신 사이에서 데이터 노출, 데이터 도용, 프라이버시 침해와 같은 다양한 보안 위협들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스마트그리드의 보안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안전한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보안 메커니즘 개발에 핵심이 되는 키 관리 기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해쉬 체인을 이용하여 계층적 구조를 갖는 스마트그리드 환경에 효율적으로 적용 가능한 그룹키 관리 메커니즘을 제안하고, 제안하는 그룹키 관리 메커니즘의 안전성 및 효율성을 분석한다.

중소기업 환경에 적합한 해쉬 체인 기반의 IoT 인증 기법 (Hash-chain-based IoT authentication scheme suitabl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 정윤수;연용호;구진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105-111
    • /
    • 2017
  • 4차 산업 혁명이 대두되면서 IoT 기술을 제조 공정에 적용하여 제품을 출시하려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중소기업 중 제조업을 중심으로 IoT 장치를 손쉽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해쉬 체인기반의 IoT 인증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에서는 제조업 환경에 적합한 IoT 장치를 설치한 업체를 선별하여 전체 제조 공정 중 제품 정보와 출시 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 보관 관리 처리 할 수 있도록 IoT 장치 간 연계를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제안 기법은 IoT 장치의 인증 정보를 해쉬 체인을 기반으로 구축하였기 때문에 추가적인 암 복호 암호 알고리즘이 필요없는 것이 특징이다. 성능평가 결과, 제안 기법은 IoT 장치를 적용 유 무에따라 제조 프로세스의 효율성이 18.5% 향상되었고, IoT 장치를 부착한 제조 공정의 업무 처리가 평균 20.1% 단축되었다. 또한, 제조 공정에 투입된 인력 감축 비용이 평균 30.7%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방향 해시 함수를 활용한 효율적인 Off-chain Payment Channel 구현 및 실험 (Implement and Experiment of Efficient Off-Chain)

  • 김선형;정재열;정익래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9권6호
    • /
    • pp.1413-1424
    • /
    • 2019
  • 암호 화폐는 블록체인 합의 프로토콜의 확장성 문제들로 인하여 실제 지불 수단으로 사용되기에는 한계점이 존재하였으며, 이러한 한계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오프체인 솔루션들이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단방향 해시 함수를 활용한 효율적인 오프체인 결제 채널을 설계하고 설계한 결제 채널을 이더리움 스마트 컨트랙트를 사용하여 구현하였으며 이전에 구현되었던 플라즈마 MVP와 동일한 환경에서 배포하여 각 메소드에 대한 실행 시간과 비용을 측정 및 분석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플라즈마 MVP와 비교하여 제안된 솔루션은 전체 누적 시간의 경우에는 약 34%로 단축할 수 있었으며 전체 실행 비용은 약 41%로 절약할 수 있었다.

데이터 손실에 강하고 효율적 연산을 지원하는 XOR 체인을 이용한 트리기반 ${\mu}TESLA$ 프로토콜 개선 (Improved Tree-Based ${\mu}TESLA$ Broadcast Authentication Protocol Based on XOR Chain for Data-Loss Tolerant and Gigh-Efficiency)

  • 여돈구;정재훈;최현우;염흥열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43-55
    • /
    • 2010
  • 센서 네트워크에서 송신자와 수신자 간의 인증을 위한 ${\mu}TESLA$ 브로드캐스트 인증 기법은 다수의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되어 왔지만, 인증지연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Tree-based ${\mu}TESLA$${\mu}TESLA$의 대표적인 인증지연 문제를 해결하였지만, 머클 해쉬 트리 기반 인증서 구조로 인해 메시지 인증시 송신자나 키 체인의 수에 따라 가변적인 오버헤드를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mu}TPCT$-based ${\mu}TESLA$는 하위 머클 해쉬 트리 기반 인증서 구조를 해쉬 체인으로 변경함으로써 고정된 연산량 가지는 인증서 구조를 제안하였다. 하지만, 순차적으로 분배되는 해쉬 체인 값만으로 ${\mu}TESLA$ 파라메타를 인증하므로 데이터 손실률이 높은 네트워크에서는 성공적인 인증을 보장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XOR 체인 기반 인증서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mu}TPCT$-based ${\mu}TESLA$의 장점인 고정된 연산량과 Tree-based ${\mu}TESLA$의 장점인 데이터 손실에도 관대한 인증서 체인 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

A Study on KSI-based Authentication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for Secure Smart Home Environments

  • Ra, Gyeong-Jin;Lee, Im-Yeo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2권2호
    • /
    • pp.892-905
    • /
    • 2018
  • In smart home environment, certificate based signature technology is being studied by communication with Internet of Things(IoT) device. However, block - chain technology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because of the problems such as single - point error and management overhead of the trust server. Among them, Keyless Signature Infrastructure(KSI) provides integrity by configuring user authentication and global timestamp of distributed server into block chain by using hash-based one-time key. In this paper, we provide confidentiality by applying group key and key management based on multi - solution chain. In addition, we propose a smart home environment that can reduce the storage space by using Extended Merkle Tree and secure and efficient KSI-based authentication and communication with enhanced security strength.

GDPR 준수 가능한 블록체인 기반 접근제어 시스템 (GDPR Compliant Blockchain Based Access Control(GCBAC))

  • 임준호;천지영;노건태;정익래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0권6호
    • /
    • pp.981-997
    • /
    • 2020
  • 블록체인 기술은 탈중앙화된(decentralized)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과 합의 기반 구조를 바탕으로 높은 보안 수준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블록체인 기술의 활용도 증진을 위해서는 헬스 케어, 전자상거래 등 개인정보 처리가 필요한 분야에서의 활용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블록체인 기반 시스템에서도 유럽 연합(EU) 개인정보보호 규정(GDPR,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으로 대표되는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규 및 규정을 준수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블록체인의 자체 특성상 기록된 자료에 대한 불변성과 탈중앙성 때문에 기존 개인정보보호 규정의 요구사항을 블록체인상에서 기술적으로 구현함에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카멜레온 해시(chameleon hash)와 속성 기반 암호화(Attribute Based Encryption, 이하 ABE)를 활용하여 GDPR에서 요구하는 개인정보 주체의 권리를 보장 가능한 다중 체인(multi-chain)기반 접근제어 시스템을 제시한다. 끝으로 우리의 시스템에서는 기밀성과 무결성을 유지한 가운데, 개인정보 처리가 가능함을 보안 분석을 통해 보인다.

이더리움 기반 이메일 시스템 모델 (E-mail System Model based on Ethereum)

  • 김태경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99-106
    • /
    • 2017
  • With the advent of virtual money such as bit coins, interest in the block chain is increasing. Block Chain is a technology that supports Distributed Ledger and is a versatile technology applicable to various fields. Currently, the block chain is conducting research for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virtual money, trade finance, marketplace, power market, image contents service, and IoT. The technologies that make up the block chain are smart contract, digital signature/hash function and consensus algorithm. And these technologies operate on P2P networks. In this paper, we have studied e-mail system based on the ethereum which is one of the block chain based technologies. Most legacy mail systems use SMTP and the POP3/IMAP protocol to send and receive e-mail, and e-mail use S/MIME to protect the e-mail. However, S/MIME is vulnerable to DDoS attacks because it is configured centrally. And it also does not provide non-repudiation of mail reception. To overcome these weaknesses, we proposed an e-mail system model based on ethereum. The proposed model is able to cope with DDoS attack and forgery prevention by using block chain based technology, and reliable recording and management among block chain participants are provided,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non-repudiation function of e-mail transmission and reception.

소스 라우팅 기반의 이동 Ad-hoc 네트워크에서 안전한 데이터 전송 방법 (Secure Data Forwarding based on Source Routing in Mobile Ad Hoc Networks)

  • 노효선;정수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12C호
    • /
    • pp.1188-1193
    • /
    • 2007
  • 본 논문은 MANET 환경에서 소스 라우팅 기반의 안전한 데이터 전송 방법에 대해서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제 3의 신뢰할 수 있는 키 분배 서버로부터 두 개의 해쉬키 체인을 사용하여 생성된 키를 키 서버와 데이터 전달에 참여하는 노드 간에 미리 설정된 비밀키를 사용하여 안전하게 전달하고, 각 노드 간에 데이터 전송시 키 서버로부터 수신한 해쉬키를 사용하여 MAC 코드를 생성함으로써 각 중간 노드마다 데이터를 인증하는 방식이다. 제안된 방법은 인증서 기반의 PKI를 사용하는 방법보다 간단하며, 비밀키 방식의 경우 임의의 ad-hoc 노드 제어들 간에 비밀키를 미리 설정해야하는 부담을 감소시켰다.

RFID Access Control 보안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RFID Access Control Security Model)

  • 한동희;김동진;김수홍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293-296
    • /
    • 2007
  • RFID는 유비쿼터스 환경 구축에 있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이에 따른 RFID에 저장된 개인정보 유출과 이를 오남용하는 문제에 대해 많은 비판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으며 이에 대한 보안기술에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RFID의 보안모델 중 Access Control 기존 모델과 이를 보안한 RFID 2중 Access Control 보안모델을 제안한다. 2중 Access control모델은 기존 Hash-lock Access나 Hash-chain Method모델과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도청에 의한 키값 노출에 대한 보안성을 가지고 있으며 Tag인증에 대한 값을 계속 변화 시켜 2중으로 Access Control에 대한 인증 정보를 보안하는 구조이다.

  • PDF